• 제목/요약/키워드: Total carotenoid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9초

저온 처리한 상추의 잎 내에서 ascorbate peroxidase와 dehydroascorbate reductase의 반응 (Response of Ascorbate Peroxidase and Dehydroascorbate Reductase in Lettuce (Lactuca sativa L.) Leaves Exposed to Cold Stress)

  • 강상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05-1711
    • /
    • 2008
  • 상추식물에서 저온 처리를 하였을 때 저온 적응성 획득 메카니즘과 관련된 APX와 DHAR의 활성도와 mRNA 발현 수준 등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잎 조직내 과산화수소의 함량은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20^{\circ}C$에서 저온처리를 회복시키면 그 함량이 정상상태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단백질의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엽록소의 함량은 저온스트레스를 처리할 경우 엽록소 a와 b 및 총 엽록소의 함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스트레스 회복 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엽록소에 대한 엽록소a의 비율은 저온처리 12시간까지는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고 저온스트레스를 회복시켰을 때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PX와 DHAR의 활성도는 저온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상추의 잎 조직 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적온으로 회복시키면 정상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저온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APX와 DHAR의 mRNA의 발현 수준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가 원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APX의 활성도와 과산화수소의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상추의 잎 조직 내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하면 APX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 ($R^2$=0.8715)을 보였으며, DHAR의 활성도와 과산화수소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증가($R^2$=0.8643)하였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함에 따라 엽록소의 함량과 단백질의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처리로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하면 엽록소의 함량($R^2$=0.5021)과 수용성단백질의 함량과는 감소하는 경향($R^2$=0.8915)을 보였다.

칼륨 독성에 의한 배추의 생리적 특성과 형태적 변화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campestris) to Potassium Toxicity)

  • 이택종;루이텔 비노드;허권;최봉준;강원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1-319
    • /
    • 2011
  • 본 연구는 칼륨의 독성에 따른 배추의 생육과 생리적 특성 그리고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00mM의 칼륨 농도 처리구까지 전체적인 생육이 증가한 반면, 600mM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칼륨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N, P, K, 함량은 증가하였지만 Ca, Mg, Na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미량원소, Fe, Mn, Zn의 경우 100mM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생체중당 Chl a, b와 carotenoid 함량은 600mM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증가한 엽록소 함량에 비해 광합성효율($F_v/F_m$)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고 $CO_2$ 동화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칼륨 과다에 의한 삼투스트레스의 결과로 기공의 퇴화와 $CO_2$ 동화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형태학적 관찰로 확인되었다. Total free amino acid의 경우 100mM 처리구까지 칼륨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 600mM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의 배추는100mM의 칼륨 농도까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묘단계에서 단시간 마이크로웨이브 처리가 상추의 생육 및 이차대사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 Microwave Irradiation Time at the Seedlings Stage on the Growth and Secondary Metabolite Content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 이용재;박수용;신주형;함승용;이광야;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5
    • /
    • 2023
  • 본 실험은 마이크로웨이브 처리가 상추 유묘의 생육 변화와 이차대사산물 함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파종 후 3주째 상추 유묘에 2.45GHz 주파수와 200W의 마이크로웨이브를 0, 4, 8 및 12초 동안 처리하고, 4주간 식물공장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하부와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엽면적, 엽장 및 엽수는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4초 처리구와 비교하여 12초 처리구에서 chlorophyll a, chlorophyll b 및 총 carotenoids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감소하였다.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8초 처리구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이차대사산물 함량이 변화된 것으로 사료된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제외한 이차대사산물 함량은 각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각 처리구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200W와 2.45GHz의 마이크로웨이브 처리가 4주 후 상추의 이차대사산물 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with Size Fraction Results at Southwestern East/Japan Sea

  • Park, Mi-Ok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301-313
    • /
    • 2006
  •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seawater at southwestern East/Japan Sea near Gampo were investigated by HPLC analysis of photosynthetic pigments during summer of 1999. Detected photosynthetic pigments were chlorophyll a, b, $c_{1+2}$ (Chl a, Chl b, Chl $c_{1+2}$), fucoxanthin (Fuco), prasinoxanthin (Pras), zeaxanthin (Zea), 19'-butanoyloxyfucoxanthin (But-fuco) and beta-carotene (B-Car). Major carotenoid was fucoxanthin (bacillariophyte) and minor carotenoids were Pras (prasinophyte), Zea (cyanophyte) and But-fuco (chrysophyte). Chl a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16-8.3\;{\mu}g/land$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were observed at 0-10m at inshore and 30-50 m at offshore. Thermocline and nutricline tilted to the offshore direction showed a mild upwelling condition. Results from size-fraction showed that contribution from nano+picoplankton at Chl a maximum layer was increased from 18% at inshore to 69% at offshore on average. The maximum contribution from nano+picoplankton was found as 87% at St. E4. It was noteworthy that contribution from nano+picoplanktonic crysophytes and green algae to total biomass of phytoplankton was significant at offshore. Satellite ima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dicated that an extensive area of the East/Japan Sea showed lower temperature ($<18\;^{\circ}C$) but the enhanced Chi a patch was confined to a narrow coastal region in summer, 1999. Exceptionally high flux of low saline water from the Korea/Tsushima Strait seemed to make upwelling weak in summer of 1999 in the study area. Results of comparisons among Chi a from SeaWiFS, HPLC and fluorometric analysis showed that presence of Chi b cause underestimation of Chi a about 30% by fluorometric analysis but overestimation by satellite data about 30-75% compared to HPLC data.

사료 내 파프리카 함량에 따른 당년생 및 1년생 비단잉어(Cyprinus carpio var. koi) 홍백 표피의 체색 변화 (Skin Pigmentation of 0-age and 1-age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Paprika)

  • 김이오;방인철;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5-37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paprika on the skin coloration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in two age groups: 0-age ($7.4{\pm}0.1$ g/fish) and 1-age ($164{\pm}2.9$ g/fish). Three isonitrogenous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0, 5, and 10% paprika (Con, P5 and P10, respectively). Three replicate groups of 0-age fish and two replicate groups of 1-age fish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for 9 weeks. Survival,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ary paprika level (P>0.05) at both fish sizes. The dietary paprika level influenced the redness ($a^*$),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fish skin. The $L^*$ value of the skin of the fish fed the P5 and P10 diets tended to decrease with feeding period. The skin $a^*$ value of 0-age fish (small) fed the diets containing paprika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feeding period and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after 3 weeks (P<0.05). However, the $a^*$ value of 1-age fish (large) fed the diets containing paprika tended to increase slightly with feeding perio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skin total carotenoid lev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fish of both sizes fed the P5 and P10 diets compared to fish fed the control diet. Therefore, 5% paprika powder in the diet increases the skin redness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especially in small fish.

차광처리에 따른 수리취의 광합성 관련 특성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in Synurus deltoid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 이경철;노희선;김종환;안수용;한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20-330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chlorophyll fluorescence, photosynthetic parameters, and leaf growth of Synurus deltoid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S. deltoides was grown under non-treated (full sunlight) and three different shading conditions (Shaded 88~93%, 65~75%, and 45%~55%). Light compensation point ($L_{comp}$), dark respiration ($D_{resp}$), maximum photosynthesis rate ($Pn_{max}$), photo respiration rate ($P_{resp}$), carboxylation efficiency ($\Phi_{carb}$), and photochemical efficiency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ding level; However, $CO_2$ compensation point ($CO_{2\;comp}$),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specific leaf area (SLA) were shown the opposite trend. S. deltoides under 88~93% treatment showed the lowest photosynthetic activity such as maximum photosynthetic rate ($Pn_{max}$), photochemical efficiency, and $CO_2$ compensation point ($CO_{2\;comp}$). Therefore, photosynthetic activity will be sharply decreased with a long period of 8~12% of full sunlight. With the shading level decreased, carotenoid content and non-photochemical fluorescence quenching (NPQ) increased to prevent excessive light damage. This result suggested that growth and physiology of S. deltoides adapted to high light intensity through regulating its internal mechanism.

한국산 각시붕어 수컷의 혼인색과 암컷의 배우자 선택 (Male Colors and Female Mate Preference in Korean Rosy Bitterling, Rhodeus uyeki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 전형배;석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3-271
    • /
    • 2012
  • 암컷의 배우자 선택은 여러 수컷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에서 각기 다른 종류의 정보를 수집, 종합하여 가장 최적의 개체를 배우자로 결정하는 매우 복잡한 행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인 교배 시스템($4{\times}4$ block breeding)을 이용하여 각시붕어(Rhodeus uyekii) 암컷의 배우자 선택방식을 조사하였고, 가중과 비가중 유전적 이득의 상대적 기여도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장치 내에서 총 48회의 암, 수간 배우자 상호작용이 관찰되었고, 암컷은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 혼인색 발현이 강한 수컷들을 배우자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우자 선호 정도가 개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므로, 비가중적 요소도 암컷이 배우자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effect on photosynthesis and osmotic regulation in Beta vulgaris L. var. Flavescens DC. by salt stress

  • Choi, Deok-Gyun;Hwang, Jeong-Sook;Choi, Sung-Chul;Lim, Sung-Hwan;Kim, Jong-Guk;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81-90
    • /
    • 201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stress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growth, photosynthesis, solutes related to osmoregulation of Beta vulgaris. A significant increase of dry weight was observed in 50 mM and 100 mM NaCl. The contents of Chl a, b and carotenoid were lower in NaCl treatments than the control. On 14 day after NaCl treatment, photosynthetic rate (PN), the transpiration rate (E) and stomatal conductance of CO2 (gs) were reduced by NaCl treatment. On 28 day after NaCl treatment,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gs and E was shown in NaCl 200 mM. However, PN and water use efficiency (WUE) in all NaCl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Total ion contents (TIC) and osmolality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On 14 day after treatment, the contents of proline (Pro)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0 mM and 300 mM NaCl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on 28 day in all treatments i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contents of glycine betaine (GB)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The contents of Na+, Cl-, GB, osmolality and TIC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nder severe NaCl stress conditions, NaCl treatment did not induce photochemical inhibition on fluorescence in the leaves of B. vulgaris, but the reduction of chlorophyll contents was related in a decrease in leaf production. Furthermore, increased GB as well as Na+ and Cl- contents resulted in a increase of osmolality, which can help to overcome NaCl stress.

변색김으로부터 porphyran의 추출 (Extraction of Porphyran from Decolored Laver)

  • 김선재;문지숙;강성국;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17-1021
    • /
    • 2003
  • 건조김과 변색김의 탄수화물과 지방 및 회분함량은 거의 동일한 함량을 나타냈으나 단백질함량은 건조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김의 chlorophyll과 carotenoids 색소는 95% 에탄올 농도에서 그 추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변색김 보다 건조김에서 그 함량이 총 chlorophyll은 1.5배, 총 carotenoids는 10배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건조김과 변색김의 비타민 C 함량은 건조김은 35.9 mg%, 변색김은 21.4 mg%를 나타내, 건조김이 변색 김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당은 건조김이 15.6%, 변색김이 15.2%를 나타내 거의 동일한 함량이 존재하였다. Crude porphyran의 함량은 건조김이 12.5%, 변색김이 12.3%를 나타내 건조김과 변색김으로부터 crude porphyran의 추출율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건조김과 변색김으로부터 얻어진 porphyran의 화학적 조성을 비교해 보면 crude porphyran의 총당 함량은 건조김 porphyran이 64.5%, 변색김 porphyran은 63.7%를 나타내어 각각의 crude porphyran의 총당은 거의 비슷한 함량임을 나타냈다. 황산기 함량은 총당 중에 황산기의 함량이 건조김 porphyran은 17.6%, 변색김은 16.9%을 나타내었고, 3,6-anhydrogalactose은 건조김 porphyran이 18.8%, 변색김 porphyran이 18.1%를 나타내어 거의 같은 수준의 화학조성을 갖고 있어 변색김으로부터도 포피란의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에 대한 pH 수준별 처리가 항산화 물질 및 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Antioxidants and Related Enzymes in Garden Balsam (Impatiens balsamina L.))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2-386
    • /
    • 2005
  • 산성비가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을 조사하고자 봉선화를 이용하여 인공 산성비(pH 2.0, 3.0, 4.0, 5.6)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 피해는 심하게 나타났으며 pH 3.0 이하의 처리에 의해 잎에 암회색 또는 적갈색의 괴사반점이 생성되었다. MDA 함량은 pH 2.0 처리에서 약 $4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산성비의 $H^+$ 부하량 증가에 따라 산화형인 DHA 및 GSSG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항산화효소인 SOD, APX, DHAR, GP등의 활성도 산성비의 $H^+$ 부하량의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성비는 봉선화 식물에 활성산소 생성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며, 이를 무독화하기 위해 식물의 생화학적 방어반응이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