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actors Productivity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치과기공사의 직무만족과 직장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satisfaction and Turn-over(Transferability) of Dental Technicians in Korea)

  • 임병철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81
    • /
    • 1989
  • This study was aimed for bettering productivity and technical level of the dental 1 aboratory, and helping the dental technician's benefits and rights, and then endowing them some belonged atmospher and stability on their post by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maintaining the transferability of one's post at a proper limitation. Therefore, 320 dental technicians extracted randomly from all the technicians working at 494 dental laboratories were subjected for this study. The approach to the study was a way through some postal questionaires executed from March 29, 1988 until May 4, the same year, in which total 254 technicians answered, showing 79% resp"nserate. responserate. The data-analysis was done by a model of the dental technician's transferability from their post, as considering Mobley's(1978)-model of post-transferability, and results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 1. Satisfaction at a given post showed that the married is better than the unmarried(<0.05), and the experienced is better than the inexperienced(P<0.01). 2. Age, sex, educational experience, and one's service-duration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o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on their post, statistically. 3. Satisfaction at a given post differed in adccordance with given conditions of one's post, i. e.,it stowed high when the monthly payment was good(P<0.05), and when too much duty on their job was given, it was the worst as shown in an example of the next order, too much

  • PDF

수도품종의 위고현상과 생리 및 형태해부학적 구조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of Physiologieal Activity and Anatomical Structure to the Wilting Phenomena in Rice Plant 1. Reappearance of the Wilting Phenomena concerning to Physiological Aspects and Environment)

  • 이종훈;윤종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1980
  • 본 시험은 신품종인 유신을 공시하여 실소와 가리의 시비수준을 달리하고 출수후 차광처리를 하여 급성위고현상의 발생을 재현시고, 위고현상의 발생과 식물체내 무기성분의 함양 및 근의 생리적 활역과의 관련성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1976년에 전국적으로 .유신품종에 대발생한 위고현상과 1977년에 전혀 발생이 없었던 기상적인 요인을 비교 검토하여 위고현상의 발생요인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신품종은 실소증비에 의해 엽신중당 영화수 (Sink/source)가 현저히 증가하고, 상위절간에 비해 하위절간의 신장률이 뚜렷한 품종적인 특징이 있다. 2. 유신품종은 실업증비에 따라 엽신의 호흡양이 타품종에 비해 현저히 증대하는 특성이 있음을 인정 할 수 있었다. 3. 위고극다비( $N_{30}$, $K_{10)}$ 하에서 근발육과 근의 생리적 활력이 저하했으며, 실소극다비+차광처리에서 더욱 현저한 저하를 보였다. 4. 또한 실고극다비+차광처리는 도체내 엽초와 간내의 K_2 O함량을 저하시키고, 특히 간내 K_2O/N 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을 명백히 저하시켰다. 5. 유신의 위고현상은 실소극다비구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고, 실고극다비+차광에서 50 % 처리구에서 격심한 발생을 유발 재현시킬 수 있었다. 6. 본 시험결과로 미루어 1976년에 대발생한 유신의 급성위고현상은 도작기간 일사양이 현저히 부족했던 기상적인 요인이 주요인이며, 농민의 실소과잉시용이 위고현상을 조장하는 부요인으로 해석되었다.

  • PDF

청국장 발효 중 surfactin 생산량 품질지표 설정 (Establishment of a quality index of surfactin production during cheonggukjang fermentation)

  • 지창근;홍정화;이상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1-32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 발효 시간별 surfactin 생산량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품질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물리화학적 인자들(pH, 색차, 굴절률, 흡광도, 표면장력, 단백질)을 측정하여 surfactin 생산량과 비교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최대 surfactin 생산량(125.94±4.15 mg/kg)을 확인하였으며, 발효 36시간 이후부터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물리화학적 인자들 중 pH, 단백질 측정은 발효 48시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표면장력은 발효 시작 후 감소하여 24시간 이후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물리적 인자인 색차, 굴절률, 흡광도는 발효 36시간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36시간 이후로는 유의적인 변화가 측정되지 않았다. Surfactin 함량과 물리화학적인 인자들 간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색차, 굴절률, 흡광도 측정이 유의적으로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청국장의 발효과정 중 surfactin 생산량을 과학적으로 규명된 지표인자를 사용함으로써 우리 전통 발효식품의 품질관리 지표로 활용함으로써 공정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피스환경 도입에 따른 확산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Cloud Computing Adoption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 김종목;이준관;김형재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1호
    • /
    • pp.97-1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소기업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자,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혁신확산이론을 토대로 하여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을 추가한 확장된 모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오피스환경의 확산요인을 마련한 후, 이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클라우드 컴퓨팅 오피스환경의 확산요인이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오피스환경 사용자 교육과 지원 서비스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과 업무효용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은 업무효용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효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으로는 시스템사용능력 > 시스템의질 > 정보의질 > 조직의인식 > 시스템사용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과 업무능률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은 업무능률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능률성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으로는 시스템사용능력 > 시스템의질 > 정보의질 > 시스템사용태도 > 조직의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과 업무생산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은 업무생산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으로는 정보의질 > 시스템사용태도 > 조직의인식 > 시스템의질 > 시스템사용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용자교육 제공여부 및 전산부서 지원서비스 유무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요인은 사용자교육 제공여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업무성과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전산부서 지원서비스 유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업무성과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비순환식 양액재배에서 발생하는 폐양액, 폐배지, 폐작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Environmental impact of hydroponic nutrient wastewater, used hydroponic growing media, and crop wastes from acyclic hydroponic farming system)

  • 박병록;조홍목;김민상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1호
    • /
    • pp.19-27
    • /
    • 2021
  • 양액재배는 기존 비닐하우스 안의 토양재배 방식에서 물이나 배지에 작물을 심고 생육에 필요한 양분(비료)을 녹인 양액을 공급하여 재배하는 방식으로 기존 시설재배 방식에서 영농기술이 발전하여 양액재배는 작물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폐양액이 다량의 비료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에 하천으로 유입되면 인근 하천을 오염시키며, 양액재배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폐배지, 폐작물의 처리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처리시 처리비용의 발생과 현재 국내 양액재배 농장의 대부분이 비순환식 양액재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배출되는 양액의 잔여비료로 인한 환경오염 및 비료의 불필요한 과다 사용 문제점을 지적하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전조사와 실험을 진행하였다. 현재 양약재배 비순환식 시스템 재배방식 농장에서 발생하는 폐양액, 폐배지, 폐작물이 농장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수질, 토양분석 결과 수치를 통해 규명하고자 현장자료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 수질, 토양분석을 위해서 지역별 양액재배 5개 농가의 작형, 양액재배 시스템를 확인하였으며, 강원 C지역 토경재배 3개 농장의 작형, 양액재배 시스템 농장 현장을 방문하여 농장의 시설내·외부 수질, 토양 샘플을 채취하였다. 추가적으로 폐작물 야적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 및 토양샘플을 채취하여 수질, 토양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비순환식 시스템 재배방식 농장에서 발생되는 폐양액의 평균 total nitrogen(TN) 농도는 402 mg/L 이였고, total phosphate(TP)의 경우 77.4mg/L 이였으며, 이는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상 하천의 생활환경 TP기준 993.7배 초과한 수치였다. 또한, 물환경보전법의 산업폐수 배출기준 TN기준 6~19배, TP기준 2~27배 초과한 수치결과를 확인하였다. 폐작물 야적지에서 발생된 침출수의 경우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상 하천의 생활환경 COD 기준 11,828배 초과, TP기준 395~2663배 초과한 수치이며, 물환경보전법의 산업폐수 배출기준 TN기준 788배, TP기준 5배 초과한 수치결과를 확인하였다. 비순환식 양액재배에서 발생하는 폐양액, 폐배지, 폐작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정밀한 연구를 위해 전국 양액재배 농가수(호), 재배면적(ha)를 기준으로 하여 양액재배면적이 넓은 지역 도출해내어야 한다. 이를 통해 넓을 지역의 양액재배 시설 주변 소하천을 중심으로 계절적 요인, 기후 요인, 날씨 요인, 재배면적, 재배지역, 농가 재배특성 등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수질 및 토양 샘플링 채취와 분석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목적 여과저류지에서 여과수의 산출율과 수질개선도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duction Rate and Contaminant Removal of Filtrate in Multi-purpose Filtration Pond)

  • 정재민;최홍규;정관수;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518-524
    • /
    • 2013
  • 다목적 여과저류지에서 모래여재의 여과수 여과능, 적정한 표층폐색 제거주기 그리고 오염제거효율 등 설계와 운영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3가지 입경의 낙동강 준설토를 채운 파일럿 규모의 테스트베드를 운영하였으며, 여과저류지에서의 다양한 인공하천의 유속을 모사하기 위하여 표류수 유속을 0~40 cm/sec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운영결과 여재표층의 슬러지를 7~13일의 주기로 제거함으로써 여과수량을 5~3 $m^3/m^2-day$로 유지할 수 있었고, 여과수량과 여재입경 그리고 표류수 유속 등의 차이에 의한 여과수의 수질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오염제거는 표층 50 cm 부근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고, 여과거리 2.4 m에서의 오염제거율은 탁도 80~95%, COD 20~30%, BOD 75~90%, T-N 5~20% 그리고 T-P 20~60%로, 주로 입자성 오염물의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지생태계의 물리화학적환경과 식물성 플랭크톤군집의 생산성 (Physico-Chemical Environment and Productivity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Jido Pond Ecosystem)

  • Song Seung-Dal;M. Anwarul Huque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2호
    • /
    • pp.117-122
    • /
    • 1990
  • 인공지인 지도지생태에 대하여 1979년 4월부터 1980년 3월까지 수온, pH, $Cl^-,\; Mg^{++}$, alkalinity, detergent, $SiO_2-Si, PO_4-P\;^{3-}, NO_3-N\;NO_2-N\;NH_4-N$, BOD, COD, DO, OM 및 OC등의 물리화학적 수질환경의 동태를 분석하고 일차생산자인 식물성플랭크톤의 다양성 및 생장과 생산성을 측정하여 생태계의 물직대사와 에너지이효율을 정량화하였다. 식물성플랭크톤의 분포는 총 28종의 우점종(Chlorophyta 11종, Bacillariophyta 9종 및 Cyanophyta 3종)이 출현하였고, chlorophyta는 전체 algal counts의 75%를 점하였다. 다양성지수는 d=0.85~2.80, $\={H}$=1.10~2.40, e=0.56~0.90였다. 현재량은 0.043~0.385g chl/$m^2$의 범위였고, 광합성율 및 호흡율의 변화는 각각 0.36~4.50와 0.10~1.40mg $O_2$/l/hr이며, 동화량은 0.6~3.8mg C/$m^2$, 태양에너지 이용효율은 연평균 2.44%였다. 인과 질소의 turnover time은 각각 20days와 3days였다.

  • PDF

북극 스발바드섬 Kongsfjorden의 해양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on the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of Kongsfjorden, Svalbard, Arctic)

  • 강성호;김예동;강재신;유규철;윤호일;이원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213-226
    • /
    • 2003
  • Kongsfjorden near Korean Arctic Station, Dasan, is a glacial fjord in the Svalbard archipelago, Arctic that is influenced by both Atlantic and Arctic water masses. During the Arctic field season August 2002, surface temperature, salinity, density, and phytoplankton biomass (chi a) was measured in Kongsfjorden. A total of 15 surface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phytoplankton related measurements. Chl a values ranged from 0.08 to 1.4mg chi a $m^{-3}$ (mean of 0.53mg chl a $m^{-3}$) in the overall surface stations. The highest values of the chi a concentrations (> 1.0mg chi a $m^{-3}$) were found near glacie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ngsfjorden. Nanoplanktonic (< $20{\mu}m$) phytoflagellates were important contributors for the increase of the chi a. The nano-sized phytoflagellates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chi a biomass in the study area. Surface temperatures and salinities ranged from 2.5 to $7.18^{\circ}C$ (mean of $4.65^{\circ}C$) and from 22.55 to 32.97 psu (mean of 30.16 psu), respectively. The physical factors were not highly correlated with phytoplankton distribution. The character of surface water due to down-fjord wind was highly similar to phytoplankton distribution. Drifting ice, freshwater, and semdiment inputs from large tidal glacier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Konsfjorden create steep physico- and biogeochemical environmental gradients along the length of this ford. The glacial inputs cause reduced biodiversity biomass and productivity in the pelagic community in the inner fjord. Primary production of benthic and pelagic microalgae is reduced due to the limited light levels in the turbid and mixed inner waters. The magnitude of glacial effects diminishes towards the outer fjord. Kongsfjorden is an important feeding ground fer marine mammals and seabirds. Especially, seabirds play the largest energy intake and also export nutrients for primary production of the marine microalgae. Kongsfjorden has received a lot of research attention as a site for explor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s. Dasan Station in Kongsfjorden will be an important Arctic site for monitoring and detecting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딸기재배농가(栽培農家)의 기술수용(技術受容)에 관한 연구(硏究) -충남(忠南) 논산지방(論山地方)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 of Farming Technology in Controlled Strawberry Cultivation -with Reference to Nonsan County in Chungnam Province-)

  • 권용대;오세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1-236
    • /
    • 1993
  • Economic conditions of Korean agriculture have been aggravated since farmers experienced the shortage of labor, instability of farm product price, lack of capital and pressure of opening domestic market. Nevertheless, agriculture must be maintained because structure of national economy can not be progressed without balanced growth of food industry. So the problem that we must solve is to keep agriculture competitive. In that case technology is important in terms of improving productivity, overcoming labor shortage and stabilizing price. This paper is to study the technology adoption on the farm level, focusing on the theories of technology adoption, their empirical test and effect of technology adoption on the farm household income. In this study five theories-independent model, linear model, middle class conservation model, modified middle class conservation model, basic needs and wealfare model- were introduced concerning differentiated technology adoption rate by farmers' class. Based on the survey of controlled strawberry farming in Nonsan County, Chungnam Province, who adopted six kinds of technology, modified middle class conservation model was found to explain five kinds of technology adoption pattern and linear model was useful to explain one kind of technology, that is, irrigation method, These results may mean that controlled strawbary cultivators of middle class were reluctant to accept new technology. There are many variables to effect on the technology accepting rate, that is, farmer's age, labor capacity, education level, cultivation career, size of total cultivated land, and size of strawberry farming land. LOGIT model was used to find which variable influence the technology adoption rate. Results of estimation showed that variables of cultivation career and total land size, of which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percent level, might be main influential factors in accepting more than three farming techniques. There was a significant income difference between farm households accepting new methods and those rejecting them. Especially in case of low class of farming group, income of farmers who was adopting new technology was examined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farmers who did not adopt. This result suggests that new technolog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farm household income. Finally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per measure of technology transfer considering various socioeconomic conditions of farm households.

  • PDF

Effect of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on soil condition and yield in Northern Laos

  • Fujisao, Kazuhiko;Khanthavong, Phanthasin;Oudthachit, Saythong;Matsumoto, Naruo;Homma, Koki;Asai, Hidetoshi;Shiraiwa, Tats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46-346
    • /
    • 2017
  • In Northern Laos, maize is cultivated in continuous cropping without fertilizer, fallowing nor any other soil conservation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his inadequate management in maize cultivation will degrade soil and decrease yield.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of soil condition and yield under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We tried to evaluate the change of soil condition and yield under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in Northern Laos. Our study was conducted in farmer's flat and slope fields in Sainyabuli province where maize cultivation had been introduced earlier than the other provinces of Northern Laos. Our study was conducted in 21 fields in 2014, and in 19 fields in 2015. We analyzed grain yield and soil characteristic (total carbon (TC), total nitrogen (TN), available phosphorus (Av-P), exchangeable cation, pH, soil texture) at 3 places in each field. The 3 places were set at different elevation level (lower position, middle position, upper position) in slope fields. Further, the period of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and crop management practice were investigated. Then, by evalu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eriod of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and yield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maize cultivation was estimated. Crop management practices were similar among the investigated fields. Maize was cultivated in rain season. Grain seed and cob were harvested on September or October, but shoot was left on the fields. No crop was cultivated during dry season. Fertilization and fallowing has never been conducted under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riod of maize cultivation was different among the fields, and ranged from 2 years to 30 years. In the slope fields, as the period of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was longer, the contents of TC and TN were lower at all 3 positions, Av-P content was lower at the upper position, exchangeable potassium (Ex-K) content was lower at the middle and the upper positions. The other soil characteristics weren't related with the period of maize cultivation in the slope fields. In contrast, soil characteristics weren't related with the period of maize cultivation in the flat fields. Yield was lower as the period of maize cultivation was longer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slope fields. At middle position of slope fields, yield tended to be low with increase of the period of maize cultivation. In contrast, yield wasn't related with the period of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in flat fields. From the results about crop management, it was presumed that the period of maize cultivation was one of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difference of yield and soil characteristics among the fields. Therefore, from the result of yield and soil con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tinuous maize cultivation decreased soil productivity in the slope fields with decline of TC, TN, Av-P, Ex-K and yield at upper position of slope fields, and decline of TC and TN in the other positions in Sainyabuli provi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