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ntioxidant Activity

검색결과 3,291건 처리시간 0.027초

렌틸콩 앙금 첨가에 따른 양갱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anggaeng with Lentil Bean Sediment)

  • 노단비;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65-8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렌틸콩 앙금을 만들어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렌틸콩 앙금의 비율(0%, 25%, 50%, 75%)을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한 후, 수분함량, pH, 당도, 색도, 조직감,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평가하고 기호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렌틸콩 앙금의 수분함량은 15.63%, 조단백질은 17.31%, 조회분은 0.92%, 조지방은 0.31%, 건조수율은 54.25%를 나타냈다. 렌틸콩 앙금을 첨가한 양갱의 수분함량은 렌틸콩 앙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42.83~65.17 %로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당도는 3.40에서 1.20으로 감소하였으나, pH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는 렌틸콩 앙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직감은 렌틸콩앙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력성, 검성,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경도와 응집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렌틸콩 앙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기호도 평가 결과 맛,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2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렌틸콩 앙금을 25%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한다면 양갱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기능성 식품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DSS로 궤양성 대장염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의이아(薏苡芽) 열수 추출물의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Sprout of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Water Extract on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 김민주;신미래;이진아;박순애;박해진;이정훈;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1-28
    • /
    • 2020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effect of Sprout of Coix lacryma-jobi var. mayuen Stapf water extract (SC) on the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mice.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C was measured through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vitro.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seven-week-old male Balb/c mice. After 1 week adaptation, acute colitis was induced by oral administration of 5% DSS dissolved in drinking water, for 7 days. And normal mice received drinking water without DSS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For each experiment, th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24 colitis mice were arbitrarily allocated into 3 groups (n = 8/group); Normal group, Control group, SC 100 mg/kg treated group (SCL), SC 200 mg/kg treated group (SCH). Serum and colon tissues were collected after one weeks of drug administration. Results : ROS levels, ONOO- levels, AST, and ALT in serum were decreased in SC 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estern blotting measurements of Nrf2, HO-1, SOD, catalase, GPx-1/2, IL-4, IL-10, and Bcl2 showed that the SC treated groups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western blot measurements of NF-κBp65, p-IκBα, COX-2, iNOS, TNF-α, IL-1β, Bax, and Caspase-3 showed that the SC treated groups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 treatment can attenuate the DSS-induced colitis though inhibiting NF-κB pathway and enhancing Nrf2 pathway. Therefore, SC w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natural therapeutic drug.

주요 식용버섯의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활성 및 아미노산 성분 차이 비교 (Comparisons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amino acid contents of edible mushrooms extracted using different solvents)

  • 안기홍;한재구;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3-6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 느타리, 팽이, 표고, 양송이를 대상으로 건강기능성 식품과 김치, 장아찌 등의 저장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30%와 70% 발효주정 및 5%, 10%, 15% NaCl 조건에서 추출물 내의 생리활성 성분과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버섯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분석 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큰느타리와 느타리의 3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큰느타리와 느타리의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소거능이 높았으며, 팽이 및 표고, 양송이는 30% 발효주정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큰느타리는 3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느타리는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치를 보였으며 팽이는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표고와 양송이의 경우 3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각 추출용매별 아미노산 분석결과, 총 아미노산 함량은 큰느타리가 가장 높았으며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버섯 별로 큰느타리의 경우 70%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프롤린(Pro)과 페닐알라닌(Phe)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느타리는 글루탐산(Gle)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 성분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팽이는 글루탐산(Glu), 알라닌(Ala), 프롤린(Pro)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표고는 글루탐산(Glu)이 가장 높은 함량치를 보였고, 양송이는 5% NaCl 염추출물에서 글루탐산(Glu)과 알라닌(Ala)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항산화와 관련된 생리활성 성분은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아미노산 함량은 버섯의 종류, 품종 또는 추출용매 별로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차이가 나타나 향후 용도에 따라 더욱 세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완전제어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 함량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Ice Plant as Affected by Light Quality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김영진;김혜민;황승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78-885
    • /
    • 2016
  •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에 따른 광질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아이스플랜트 종자를 128구 플러그 트레이에 암면을 이용하여 파종하였고, 묘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담액식 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정식하고 재배하였다(EC $1.5dS{\cdot}m^{-1}$, pH 6.5). 정식 후 2주째부터 아이스플랜트의 블러더 세포 발달을 위해 2mM의 염화나트륨(NaCl)을 첨가하여 공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다른 광질을 가진 세 개의 인공광원으로는 형광등과 RW LED, RBW LED를 사용하였다. 이때 광주기는 14/10(명기/암기), 광도는 $150{\mu}mol{\cdot}m^{-2}{\cdot}s^{-1}$ PPFD로 설정했다. 결과적으로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PAD 값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각각 29.8과 30.6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염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엽록소 형광은 형광등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함량과 항산화능은 RBW LED 처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 플랜트의 생육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성물질은R BW LED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목이버섯 품종간 생리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uricularia spp.)

  • 조세현;김태호;유영복;오진아;장미향;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0-3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이버섯 품종간의 생리활성을 실험하였다. ORAC assay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털목이, 갈색목이, 흑목이 순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lpha}$-Amyloglucosidase 저해활성을 통한 항당뇨 활성은 3품종 모두 10 mg/mL에서 60% 정도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Raw 264.7 macrophage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활성은 1 mg/mL 처리시 털목이와 흑목이는 dexamethasone 1 ${\mu}g$/mL에 상응하는 활성을 나타냈다. 20% 지방을 첨가하여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ICR 마우스의 목이버섯 급여에 따른 항비만 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든 군에서 체중 및 증체량, 식이효율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 갈색목이버섯인 JNM21012군은 0.45 g/day로 7% 지방을 첨가한 일반식이(NC) 군과 동일 수준의 증체량을 보였다. 부고환 무게는 털목이 및 흑목이, 갈색목이 모두 고지방식이(HFC) 군에 비해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갈색목이 군은 HFC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혈액성분 중 triglyceride의 경우 목이버섯 첨가 식이군 모두 HFC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갈색목이 군은 고지방식이 HFC군에 비해 42%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은 털목이와 갈색목이군이 HFC군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갈색목이군은 HFC군에 비해 각각 81%와 66%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DL-cholestrol의 경우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NC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제조방법별 솔잎추출물의 항산화성 검토 (Antioxidants of Pine Needle Extracts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 김수민;김은주;조영석;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27-534
    • /
    • 1999
  • 솔잎의 제조방법별 열수추출물(HPNP, CPNP, FPN)의 항산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상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추출물들의 지방산화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Fe^{2+}$이온 첨가구에서는 HPNP와 FPN이 $Fe^{2+}$ 이온 binding능력이 우수하였으나, CPNP는 오히려 지방산화를 촉진하였고, $Fe^{3+}$이온 첨가구에서는 $Fe^{3+}$이온 binding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 산소종 존재 하에서 솔잎추출물의 첨가가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은 활성산소종보다 지방산화도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FPN도 $KO_2$보다 높게 나타나 포집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화를 촉진하는 iron 함량은 ferrous iron과 total iron 모두 CPNP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HPNP, FPN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함량은 FPN, HPNP, CPNP 순으로 나타났다. 산화성 활성 free radical에 전자를 공여하여 산화를 억제시키는 척도인 전자공여능은 HPNP, CPNP, FPN순이었고, HPNP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HPNP, CPNP, FPN순으로 나타나 SOD 유사활성능은 HPNP가 가장 우수하였다. 솔잎추출물을 각기 다른 pH에서 측정한 아질산염 분해능은 반응용액의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분해능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pH 1.2에서 높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 PDF

수소음심경 오수혈 혈위별 레이저 침자가 고혈압 흰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ser Acupuncture of Five-Transport-Points of the Heart Meridian in L-NAME-Induced Hypertensive Rats)

  • 신욱;이유미;김왕인;최동희;김미래;윤대환;나창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4권1호
    • /
    • pp.56-69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laser acupuncture to the 532 nm on the five transport points with the heart meridian for treatment to hypertensive disease in rats with L-NAME induced hypertensive. Methods : Hypertensive was induced by L-NAME for 3 weeks. The laser acupuncture therapy on the five transport points of heart meridian(Laser Well Point-HT9, Laser Brook Point-HT8. Laser Stream Point-HT7, Laser River Point-HT4 and Laser Sea Point-HT3) was treated twice a week for 5 times. The hypertensive was measured using a cardiac hypertrophy, atherogenic index, TG/HDL-cholesterol ratio, TCHO, HDLC, TG, AST, ALT, antioxidative effectiveness and glutathione peroxidase quality of hypertensive rats induced by L-NAME. Results : Blood pressur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laser acupuncture of Well, Brook and Sea Point groups. Cardiac hypertrophy were decreased at the laser acupuncture of Brook and Stream Point groups. Athrogenic index was decreased at the laser acupuncture of Well, Stream, River and Sea Point groups. TG/HDL-cholesterol ratio was decreased at the laser acupuncture of all groups.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laser acupuncture of Well Point group.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laser acupuncture of Well, Stream and River Point groups. Triglycerid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laser acupuncture of Stream Point group. Cu/Zn-Superoxide Dismutase (Cu/Zn-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GPX)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laser acupuncture of Well Point group. Conclusions : The laser acupuncture treatment in five transport points of the Heart Meridian was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cardiac hypertrophy, Atherogenic index and HTR, and for enhancing antioxidant activity.

미역귀에서 추출한 알긴산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ginic Acid from Sea Mustard Sporophyll)

  • 고영우;진성우;김경제;임승빈;하늘이;정희경;제해신;반승언;정상욱;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8-78
    • /
    • 2018
  • 미역은 갈조식물인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바닷말로서 주로 어린 줄기와 잎부분을 식용으로 한다. 폐기부로 분류되는 미역귀 부분 또한 가식부 이상으로 풍부한 미네랄과 알긴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건강 친화적인 슬라이스 잼의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품 개발의 소재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역귀 알긴산 추출, 알긴산의 항산화활성(DPPH, ABTS, SOD 유사활성, total polyphenol, 세포 독성, NO생성 억제능을 수행한 바는 아래와 같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을 각각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시험구들의 전자공여능을 확인한 결과 각각 2.8, 27.5, 35.9, 43.4%로 나타났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2, 21.6, 33.4, 67.4%로 나타났다.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OD 유사활성은 각각 9.2, 12.4, 23.2, 30.8%로 나타났다.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은 $19.16{\pm}0.08mg%$로 확인되었다. 세포생존율은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118.8%, 120.7%, 121.1%, 124.9%로 나타났다. NO생성 억제능을 동일한 농도에서 확인한 결과 각각 3.1, 5.1, 7.9, 9.6%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미역귀 알긴산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탁월하게 나타나 건강 친화적인 기능성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감귤 부산물 급여가 냉장 중 토종 닭고기의 표면 색도, 지방산패도 및 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trus Byproduct Diet on Meat Color, Rancidity and Freshness in Korean Native Chickens during Cold Storage)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1-557
    • /
    • 2009
  • 감귤 부산물 급여가 냉장 중 토종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토종닭고기(39주령, $1.30{\pm}0.5$ kg)는 감귤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T0구, 17주령부터 39주령까지 감귤 부산물을 4% 급여한 T1구로 나누었다. 각각 가슴살과 다리살을 진공포장하고 $3^{\circ}C$에서 2주일간 냉장하면서 표면 색도, 지방산패도, 항산화력 및 선도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감귤 부산물 급여구(T1구)는 T0구보다 냉장 중 표면 색도의 $L^*$ 값, $a^*$ 값, $b^*$ 값의 변화가 느리게 나타났다. T1구는 T0구보다 냉장 중 산가, 과산화물가, TBA 값의 상승 속도가 늦었으며 항산화력이 우수하였다. T1구는 T0구보다 냉장 중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 및 일반 세균수의 증가 현상이 느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감귤 부산물 급여에 의하여 냉장 중 토종닭고기의 표면 색도, 지방산패도, 선도의 변화가 억제되고 전자공여능 값이 높게 나타나서(p<0.05) 품질 유지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먹물버섯(Coprinus comatus )의 항산화 활성 및 Zucker rat에 대한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besity effect of Coprinus comatus in Zucker rat (fa/fa))

  • 이수정;박형준;송윤오;장선희;구애진;고응규;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1-58
    • /
    • 2014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Coprinus comatus (CC) in high-fat diet-fed Zucker rat (fa/fa). Obesity was induced by feeding on high-fat diet (HFD) containing 60% kcal fat for 10 weeks, in which CC extracts were administrated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at a concentration of 200 mg/kg BW/day for 10 week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CC extracts were found to be $18.5{\pm}1.1mg$ of catechin equivalent/g, and $5.24{\pm}0.54mg$ of quercetin equivalent/g extract, respectively. The DPPH, ABTS,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C extracts were 15.34 %, 17.25%, and 16.18%, respectively. In animal study, CC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body weight,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ily food intake between the HFD-fed Zucker rats and HFD plus CC-fed rats. CC treatment decreased epididymal and perirenal fat weights in HFD-fed Zucker rats.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the serum and liver were observed in the CC-treated group compared with HFD-fed Zucker rats. Serum HDL-cholesterol levels in the CC-treated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HFD-fed groups. Serum AST and ALT activities in the CC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HFD-fed group.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CC has potential in preventing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and is a good candidate for an anti-obesity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