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whitening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치아 미백 효과의 장기화를 위한 Resin Infiltration의 활용 (Utilization of Resin Infiltration for Prolonging of Tooth Whitening Effects)

  • 이경호;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0
    • /
    • 2017
  • 최근 들어 치아 미백술이 대중화되고 있으나, 단기간내 색소 재침착 등 고유의 한계점이 극복되지는 못 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치아 미백 효과의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방법의 하나로서, resin infiltration의 활용 타당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건전한 총 40개 우치 전치 순면으로부터 법랑질 시편을 채취, 제작하여 1차 착색 및 미백술을 시행하였다. 21일 경과후 시편을 무작위로 3개 군으로 나누어, resin infiltration군(RI군) 과 레진 접착제군(RA군)에 각 15개씩, 그리고 나머지 10개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 시편에 대하여 2차 착색을 시행하였다. 전 연구과정에서 색조 평가는 최초상태, 착색 직후, 미백제 적용후, 각 재료 적용후 및 2차 착색 후의 총 5회를 시행하였으며,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CIE $L^*a^*b^*$ 색조계로 기록하였다. 모든 군이 착색 후 $L^*$ 값은 감소, $a^*$, $b^*$ 값은 증가하였으며, RI군과 RI군 모두 재료 적용 전후의 유의한 색조변화는 없었다(p > 0.05). 1차 착색 전후의 색조변화량은 RI군, RA군 및 대조군에서 각각, $12.16{\pm}3.50$, $12.16{\pm}3.38$, $15.81{\pm}6.39$였던 반면, 2차 착색 전후의 변화량은 각각 $15.21{\pm}7.19$, $15.93{\pm}4.31$, 그리고 $26.62{\pm}17.89$로 나타났다. 2차 착색 후의 색조변화량은 RI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1, 2 차 착색 전후의 각 군내 색조변화량 비교에 있어서는, RA 군과 대조군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 < 0.05), RI군에서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p = 0.26).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재착색에 민감한 미백후의 치아에 대하여 레진 접착제의 적용으로는 미흡하며, resin infiltration을 통하여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whitening mouth rinses formulated with mushroom residues and their effect on enamel's physical properties

  • Julliana Andrade da Silva;Dayse Alexia de Carvalho de Brito;Debora Alves Nunes Leite Lima;Juliano Lemos Bicas;Gislaine Ricci Leonardi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9권3호
    • /
    • pp.27.1-27.13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whitening mouth rinses formulated with industrial mushrooms and compare them with over-the-counter whitening mouth rinses. Materials and Methods: Formulations with black shimeji mushrooms, mushroom substrates, and mushroom stalks were developed. Bovine enamel/dentin samples were divided into 7 groups (n = 10): Colgate Luminous White, Listerine Whitening Extreme (LWE), Listerine Cool Mint (LC), mushroom extract rinse (MEC), mushroom substrate rinse (MSB), mushroom stalk rinse (MTC), and artificial saliva. Samples were stained with black tea for 6 days, and then were immersed in 100 mL of each mouth rinse twice daily for 14 days. Color parameters (CIELAB [ΔE*], CIEDE2000 [ΔE00], whiteness index for dentistry [ΔWID]) and microhardness (Knoop hardness number [KHN]) were analyzed at T1 (initial), T2 (24 hours), and T3 (7 days). Mouth rinse pH was measured, and enamel was examin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Data were analyzed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and KHN with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p ≤ 0.05). Results: ΔE* was higher in LW and MSB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ΔE00 (p = 0.0982) and ΔWID (p = 0.2536). Experimental mouth rinses did not promote enamel whitening based on ΔE00 and ΔWID. LWE and LC reduced KHN and had a more acidic pH, while MEC had higher KHN at T2. MEC, MSB, and MTC had alkaline pH, not altering the tooth surface. Conclusions: Black shimeji mushrooms are promising for mouth rinse development due to their alkaline pH and non-altering effect on surface microhardness.

Wrap을 사용하는 자가 도포 미백젤의 치아 미백 효과 (Efficacy of a self - applied paint - on whitening gel combined with wrap)

  • 김수연;안재현;김지영;김진우;박세희;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75-185
    • /
    • 2018
  • 목적: 미백젤의 효과 증대 및 치은 자극의 최소화를 위해 wrap을 사용하는 자가 도포 치아 미백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90명의 피험자를 대조군과 2.8%, 3.0%의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미백젤을 사용하는 두 개의 실험군으로 각각 30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그들은 상악 4전치 부위에 하루 1번 30분씩 2주간 미백젤과 wrap을 사용하였다. VITA shade guide와 ShadeEye $NCC^{(R)}$를 이용하여 치아 색조 측정을 하였고, 부작용은 인터뷰와 구내 검사로 조사하였다. 효능과 안전성 평가를 위해 통계 처리 하였다. 결과: 비타 색조 기준표에 의한 평가에서는 미백 성분이 들어있는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한 미백 효과를 보였다. 측색기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3.0% 실험군이 대조군과 2.8% 실험군에 비해 유의한 미백 효과를 보였다(P < 0.05). 경미한 부작용의 호소가 일부 있었으나 모든 군에서 치은 자극에 대한 이상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Wrap을 사용한 자가 도포 미백젤은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2.8%에서 3.0%로 높아질수록 그 효과가 증가되며 유의하게 심각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아 유용한 자가 미백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광을 이용한 2.9% 과산화수소 함유 젤과 첩부제의 치아미백효과 비교 (Comparison of Tooth Whitening Efficacy between Gel and Strip with Light Activator)

  • 김지혜;방성은;김지영;안재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81-486
    • /
    • 2017
  • 본 연구는 OTC 미백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2.9% 과산화수소 함유 젤과 과산화수소 함유 첩부제 제품을 광조사기와 각각 혼합 사용했을 때의 실험실 및 임상적 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실적 평가는 변형된 Stookey's method를 이용하여 착색시킨 HAP 시편을 이용하여 20분간 각 실험제품을 적용하고 광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하루 15분씩 4일간 각 실험제품과 광조사를 진행하였고, Vita 색조편을 이용한 육안적 평가와 Shade eye-NCC를 이용한 기기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적 평가 결과 과산화수소 함유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과산화수소 함유 젤과 광을 사용한 군에 비해 색조 변화 값(${\Delta}E^*$)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임상적 평가에서는 Vita 색조편을 이용한 육안평가 결과,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젤과 광을 사용한 군보다 제품 사용 전후 색조 변화 값이 좀 더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군간 유의차는 없었다(p>0.05). Shade eye-NCC를 이용한 기기적 평가 결과에서 ${\Delta}E^*$값은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젤과 광을 사용한 군보다 좀 더 높았으나 군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p>0.05), ${\Delta}b^*$값은 첩부제와 광을 사용한 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24). 본 연구에서는 광조사기와 혼합 사용하는 과산화수소 젤 또는 첩부제 형태의 물리적 성상에 따른 치아미백제품의 미백효과 평가 결과 첩부제 형태의 과산화수소 제제가 젤 형태보다 치아미백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과산화수소와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한 미백 치료에 있어서 불소의 효과 (Effect of Fluoride Treatment after Bleaching with Hydrogen Peroxide exposed to Plasma Arc)

  • 정선영;이영은;안상헌;양해영;전은숙;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75-380
    • /
    • 2011
  •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fluoride treatment can affect recovery of the irregularity of enamel surface after tooth whitening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HP) activated by plasma arc light. A total of 36 bovine teeth stained with cok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following three groups (two different commercial plasma arc groups and a control group without light curing source): (1) 35% HP gel only, (2): 35% HP gel and Plasma arc A, and (3) 35% HP gel and Plasma arc B. To measure color changes and surface morphologies before and after the bleaching, colorimete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respectively. When the specimens were bleach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plasma arc lights, the bleaching effect was greater than when only hydrogen peroxide gels were used (Kruskal-Wallis test, p<0.05). In addition, plasma arc B showed the more color changes than plasma arc A (Bonferroni post-hoc test, p<0.05). The surfaces of the teeth treated with fluoride gel after the whitening treatment came to be smooth.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luoride application for patients who got tooth whitening therapy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gels activated by plasma arc light will be effective to recover rough enamel surfaces.

Color Change of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for Different Staining and Whitening Dentifrices

  • Choi, EunJung;Jang, HyeonSoo;Seo, YeLim;Kim, YoungJu;Lee, GaYoung;Kim, YouLim;Hwang, Soo-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8-184
    • /
    • 2021
  • Background: As the importance of the esthetic function of teeth increases, the use of esthetic restoration materials and whitening treatment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change of esthetic restoration materials upon using staining and whitening toothpaste. Methods: Light curing (LC) packable composite resin, LC flowable resin, LC glass ionomer (GI), and self-curing GI specimens were colored in coffee or curry for three hours a day for seven days. After that, regular toothpaste, whitening toothpaste containing hydrogen peroxide, and whitening toothpaste containing activated charcoal were applied for three minutes three times a day for two weeks. Luminosity (L), chromaticity a (a), and chromaticity b (b)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once a week. Results: In the coffee-colored group, the change in L2*a2*b2 (E2) with time was significant (p=0.004), there was no difference for different toothpaste types (p=0.646),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for different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The change of E2 in the curry-colored group was significant only for different 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p<0.001). In the coffee-colored group, the L, a, and b values of the light-curing GI showed greater change than other materials after staining and one week after whitening, turning dark, red, and yellow. In the curry-colored group, L did not differ for different materials and times, and a and b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light-curing GI after staining and one and two weeks after whitening. Conclusion: The use of whitening toothpaste for two weeks was not different from the use of general toothpaste in the removal of staining or whitening. Since light-curing GI is the most vulnerable to coloration, it is recommended that coloring by food chromogen should be explained in advance, before using light-curing GI for teeth restoration.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를 함유한 3.5% 과산화수소가 치아표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3.5%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on the Tooth Enamel Surface)

  • 심연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0-328
    • /
    • 2012
  • 본 연구는 3.5%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P)에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DCPD)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치아 미백과 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치한 건전한 소구치 30개를 치아 시편으로 하였고, 이 시편을 3군(A1, A2, A3)으로 나누었다(n=10). 3.5% HP에 DCPD를 0 g(대조군, A1), 0.1 g(A2), 1 g(A3)을 함유시켜 치아 미백제를 제조했다. 모든 군은 하루에 8시간 미백하여 14일 동안 반복하였다. 미백제의 pH 측정, 유도 결합플라스마 원자 방출 분광기(ICP-AES)를 이용한 원소분석을 실시하고, 법랑질의 색, 경도, 표면의 형태 및 무기질 성분을 측정하였고,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치아미백제의 pH를 측정한 결과 DCPD를 함유한 치아미백제의 pH는 함유하지 않은 치아미백제의 pH에 비해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2. 치아미백제의 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DCPD 농도가 증가할수록 칼슘과 인의 농도가 증가했으며, Ca/P 비는 1.1~1.2 정도로 나타났다. 3. 모든 군에서 $L^*$ 값은 미백 후가 미백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p<.05). 4. 치아의 경도는 미백 후가 미백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세경도의 감소를 보였다(p<.05). 하지만 DCPD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미세경도 감소율이 적게 나타났다. 5. 미백 후 법랑질 표면의 형태는 대조군에서 표면의 다공성과 침식 현상이 보였으나(A1), DCPD 함유량이 가장 높은 군(A3)에서는 표면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6. 미백 후 법랑질 표면의 성분은 DCPD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Ca, P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CPD를 함유한 3.5% HP의 치아미백제는 대조군과 동등한 치아미백 효과가 있고, pH를 상승시켜서 치아 표면의 탈회를 감소시키며 법랑질의 표면 형태와 성분 변화에 덜 영향을 줌으로써, 치아미백제의 구성성분으로 실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rimer와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자가 미백 부착대의 미백 효과에 대한 실험실 실험 연구 (In-Vitro Whitening Efficacy of Hydrogen Peroxide Strips with Primer)

  • 김종훈;문교태;김지혜;안재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1-197
    • /
    • 2014
  •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지도 없이 소비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일반적 치아 미백제에 대한 연구로 과산화수소의 함량제한이 있는 국내 사용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미백 효능을 제공하고자 동일 과산화수소 함량에서 미백 효과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금속 이온 등을 함유한 primer에 대해 착색시킨 수산화인회석 시편을 이용한 실험실적 방법으로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원료들은 인체 안전성을 고려하여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원료에서 선별하였으며 금속 이온의 종류 및 염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평가한 결과 3가 철 이온을 방출하는 염화제이철을 함유한 primer를 적용 시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여기에 제삼인산칼륨을 사용하여 pH를 알칼리조건으로 만든 pH 10.0 primer를 적용 시 더욱 미백 효과가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primer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시간에 따른 미백 효과를 비교한 결과 30분 부착 시 1.75배의 명도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공 재료와 인공적 실험 환경에서 이뤄진 실험실적 연구로서 실제 인체에 적용 시 안전성이나 부수적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 추가적으로 평가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제한된 과산화수소 함량에서 primer의 사용으로 미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