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eruption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5초

치아발육시기에서의 RANKL 및 OPG의 발현 양상 (The expression patterns of RANKL and OPG in murine tooth eruption)

  • 황경문;김은정;김영진;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90-303
    • /
    • 2006
  • 치아의 맹출은 치아기 (dental organ)와 치조골의 세포와 연관된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우선 치아 맹출이 일어나기 전에 파골세포가 치낭으로 집결하게 된다. 이러한 치낭의 역할은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골개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치아 맹출과 연관된 많은 유전자들이 치낭에서 발현되기 때문이다. RANKL는 TNF ligand family로써 조골세포에 존재하며 파골세포의 형성 및 전구세포로 부터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이러한 RANKL는 OPG에 의해 그 작용이 억제되며 RANKL와 OPG의 상대적인 비율이 파골세포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Runx2 유전자의 변이는 조골세포의 분화와 활성 에 차질을 가져오고 결국 RANKL/OPG pathway를 통해 파골세포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치아의 발육 및 맹출에 미치는 RANKL및 OPG의 영향을 알아보고 Runx2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in situ hybridization방법으로 태생 1, 3, 5, 7, 9, 11일된 쥐의 하악 및 제1대구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RANKL, OPG, Runx2의 mRNA가 태생 1일부터 11일까지 치낭 및 치아주위조직에 특성 있게 나타났다. 이중 태생 5일에서 9일 사이에 RANKL 및 Runx2는 치아의 교합면측과 하방 치조골 부위의 발현이 강하게 나타난 반면 OPG는 약한 발현을 보였다. 이는 또한 파골세포의 활성부위를 알아보기 위해 TRAP염색을 실시하여 태생 5일에서 9일 사이에 최대의 활성화를 나타낸 결과와 연관성 있게 나타났다. RANKL, OPG, Runx2의 특성 있는 발현양상들을 종합해 볼 때, 치아 맹출은 치낭, 치아기, 치조골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치낭이 치아 맹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유전자들 (RANKL, OPG, Runx2) 이 치아의 맹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의 치아 맹출과 치간 이개 과정에서 수종의 치주인대 단백질 발현의 변화에 관한 면역 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several protein changes in periodontal ligament during tooth eruption and interdental separation of rats)

  • 임성훈;박형수;윤영주;김광원;김흥중;정문진;박주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81
    • /
    • 2004
  • 치아의 맹출 과정과 치간이개로 유도된 치아 및 치조골의 흡수 과정에서 치주인대 세포와 치주인대 단백질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육 중인 흰쥐를 치근 형성 전, 치근 형성 시작과 치근 형성 및 맹출 시기로 구분하여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또한 성 장 중인 흰쥐를 2주간 치간 이개시켜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며 치주인대의 분화와 성숙에 관여하는 PDLs22단백질과 치아와 치조골의 파괴와 흡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RANKL과 OPG의 발현을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연구하였다. PDLs22 단백질은 치근 형성이 시작되면서부터 치낭세포와 골모세포에서 발현되어, 치아가 맹출하는 과정에서도 그 발현이 계속 유지되었으나, 치간이개에 의하여 치주인대가 개조되는 부위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RANKL은 치근형성 과정에서는 미약한 발현을 나타내었으나, 치아가 맹출하면서 발현이 증대되었으며, 치간이개에 의한 치근과 치조골 흡수과정에서는 치주인대세포, 골모세포, 치수세포 및 파치세포에서 발현이 증대되었다. OPG는 치근이 형성되는 시기에는 강한 발현을 보였으나, 치아가 맹출하면서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치아와 치조골의 흡수가 진행됨에 따라서 발현이 다소 감소하였다.

Development of dental charts according to tooth development and eruption for Turkish children and young adults

  • Karadayi, Beytullah;Afsin, Huseyin;Ozaslan, Abdi;Karadayi, Sukriy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2호
    • /
    • pp.103-113
    • /
    • 2014
  • Purpose: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dental charts for Turkish children and young adults of both genders within the age group of 4.5-22.5 years according to tooth mineralization and eruption in a format similar to that proposed by AlQahtani et al. Materials and Methods: In total, 753 digital panoramic radiographs from 350 males and 403 females were assessed. The permanent teeth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described by Demirjian et al. The eruption stage was assessed with Bengston's system, which was modified by AlQahtani et al at four points. Results: Teeth generally developed earlier in females than in males. This was particularly notable in the age group of 5-14 years. However, this difference was usually visible in only one stage, not in all teeth.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mixed dentition period ended with the shedding of the second deciduous molars in both genders. Conclusion: The dental charts presented here included information that could be beneficial to dental clinicians in making appropriate diagnosis and planning orthodontic and surgical procedures. These charts also provided datasets for preliminary dental age estimation in Turkish children and young adults.

Esthetic enhancement of a traumatized anterior tooth with a combination of forced eruption and tooth alignment: a case report

  • Kang, So-Hee;Ha, Jung-Hong;Jin, Myoung-Uk;Kim, Sung-Kyo;Kim, Young-Ky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3호
    • /
    • pp.210-217
    • /
    • 2016
  • Exposing sound structure of a subgingivally fractured tooth using orthodontic extrusion is considered to be a conservative way to re-establish biologic width without sacrificing esthetics or jeopardizing periodontal support of neighboring teeth. When a misaligned tooth is traumatically involved,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combining tooth extrusion and re-alignment may be necessary for a successful restorative outcome.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successful esthetic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 o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nd pre-existing malocclusion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Forced eruption along with re-alignment of teeth by orthodontic movement seems to allow re-positioning of the fracture line to a favorable position and correction of crowding, providing a better esthetic result.

The effect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and demineralized bone matrix on tooth eruption in mongrel dogs

  • Lee, Si Woo;Kim, Ji-Young;Hong, Ki Yong;Choi, Tae Hyun;Kim, Byung Jun;Kim, Sukwha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39-246
    • /
    • 2021
  • Background: Bone grafts can provide an optimal environment for permanent tooth to erupt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alveolar maxilla. Although autologous bone is an optimal source for osteogenesis, its inevitable donor site morbidity has led to active research on bone substitut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using biphasic calcium phosphate (BCP; Osteon) as a bone substitute in dogs. Methods: Bilateral third and fourth premolars of four 15-week-old mongrel dogs were used. All teeth were extracted except the third premolar of the right mandible, which was used as a control. After extraction of the premolars, each dog was administered BCP (Osteon),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DBX), and no graft in the hollow sockets of the right fourth premolar, left fourth premolar, and left third premolar, respectively. Radiographs were taken at 2-week intervals to check for tooth eruption. After 8 weeks, each dog was sacrificed, and tooth and bone biopsies were performed to check for the presence of tooth and bone substitute particle remnants. Results: Four weeks after the operation, permanent tooth eruptions had started at all the extraction sites in each dog. Eight weeks after the operation, all teeth had normally erupted,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CP particles at the right fourth premolar. Conclusion: In all four dogs, no delay in the eruption of the teeth or shape disfigurement of permanent teeth was observed on gross inspection and radiologic evaluation. On histological examination, most of the BCP and DBM were replaced by new bone. Bone substitutes can be used as graft materials in patients with alveolar clefts.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보이는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SPONTANEOUS NORMAL ERUPTION OF PERMANENT TOOTH WITH ABNORMAL ERUPTION PATH)

  • 김상민;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2-87
    • /
    • 2011
  • 유치의 치수 감염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치료가 실패한 경우 치근단 병소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발육중인 계승 영구치에도 영향을 주어 법랑질 형성 부전, 치배의 위치 및 맹출 경로 변화, 치근 만곡, 치아 매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계승 영구치의 맹출 방향에 이상을 일으키는 장애 요인으로는 유치의 만기 잔존, 유구치의 불균형적인 치근 흡수, 유치의 치근단 병소 등의 맹출 전 장애 요인과 외상이나 구강 악습관과 같은 맹출 후 장애 요인이 있다. 맹출 경로의 이상을 보이는 계승 영구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주기적인 관찰, 외과적 노출, 교정적 견인, 치아 이식, 발치 등이 있으며 치료 방법 선택시 치아의 위치, 상태, 치근 형성 정도 및 만곡 여부, 맹출 방향, 인접 구조물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증례들은 유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해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보이는 소구치를 가진 환자들에서 감염된 유치의 발거와 공간 유지만으로 이환된 소구치의 양호한 자발적 맹출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영구치의 맹출 장애에 관한 조사 연구 (ERUPTION DISTURBANCES OF TEETH IN KOREAN CHILDREN)

  • 이종범;장철호;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18
    • /
    • 2007
  • 맹출 중인 치아는 오랜 기간 동안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여러 요인들, 즉 유치의 조기 상실, 과잉치, 국소적 병소, 혀, 입술, 저작근, 외상 등에 의해서 다양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요인들이 작용할 경우 치아의 정상적인 맹출 과정이 방해를 받게 되어 치아의 맹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2004년 1월 2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신환으로 내원한 환자들, 총 8,010명의 주소를 분석하였고, 맹출 장애를 보이는 환자는 전체의 8.79%를 보였다. 맹출 장애의 유형은 맹출 지연이나 조기 맹출, 이소 맹출로 분류할 수 있었고, 맹출 지연이 가장 많이 나타난 치아는 상악 중절치이며, 조기 맹출이 호발한 치아는 하악 유중절치이고, 이소 맹출이 가장 많이 나타난 치아는 상악 제1대구치였다.

  • PDF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 발거에 의한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SECOND PREMOLAR TOOTH BY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 이근혜;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5-501
    • /
    • 2003
  • 매복은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인식할 만한 맹출로의 장애물이나 잘못된 치배의 위치로 인하여 치아의 맹출에 진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 3 대구치와 상악 견치를 제외하고 제 2 소구치에서 가장 흔히 매복이 발생하며, 소구치의 매복은 전체 매복의 0.5%를 차지한다. 소구치 매복의 치료에는 교정적 견인과 외과적 재위치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만기 잔존된 유구치에 의해 발생한 소구치 매복은 유구치의 발거 및 공간 유지로서 소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제 2 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를 발거하고 공간 유지를 하여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시도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와 연관된 매복된 제 2 소구치는 유치 발거를 통한 최소한의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 2 소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적절한 공간 유지와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3.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 재위치를 시도하기 전 치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4.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에서 좀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비정상 맹출로와 치근 만곡을 지닌 매복 상악영구전치의 자가치아이식 치험례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DISPLACED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DILACERATED ROOT : CASE REPORT)

  • 이예리;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6-522
    • /
    • 2008
  • 매복치의 치료는 그 발생원인, 치아의 발육단계, 매복된 위치 및 맹출 경로, 환자의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맹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적, 전신적 유발인자가 있다면 이의 치료와 더불어 맹출 유도를 위한 조기치료의 필요성이 있으며, 맹출에 장애를 주는 물리적 요소가 존재한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맹출과 관련된 어떠한 요인이나 맹출공간 부족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유치 발거 이외에 치아를 외과적으로 노출시킨 후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교정력을 이용하는 치아맹출 유도법, 그리고 매복치를 외과적 재위치 또는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술을 시행할 경우 치아발육 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시기의 선택, 적절한 치조와 형성 및 이식치아의 발거와 식립에 있어 외상의 최소화 등이 성공에 중요한 요소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우측중절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7세 여자 환자에서 CT검사결과 상악우측중절치의 치관부가 전비극에 근접하여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치관부에서 만곡이 관찰되었다. 치근은 Nolla's stage 7정도의 발육을 보였으며 이에 자가치아이식을 시행하였다. 주기적인 관찰결과 치근흡수 등의 합병증 없이 양호한 치유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치은 연하로 파절된 상악 전치부의 수복 (Restoration of Subgingivally Fractured Upper Incisor)

  • 김자영;이홍석;안승근;박주미;송광엽;박찬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2권4호
    • /
    • pp.301-307
    • /
    • 2006
  • The subgingival fracture near the alveolar bone is difficult to treat. This fractured tooth will be treated by many methods. First approach is to preserve the fractured tooth. Periodontal surgery has been used to lengthen the clinical crown, thereby allowing the tooth to be restored. Another method is erupting the tooth with orthodontic eruption (forced eruption) or surgical extrusion. Second approach is the restoration after extraction of the subgingivally fractured tooth. This is restorative with conventional fixed partial denture or implant. This article presents the variable restorative approach of subgingivally fractured upper inci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