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oth Loss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9초

Bone-supported pendulum을 이용한 상악대구치 원심이동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THE BONE-SUPPORTED PENDULUM)

  • 장용걸;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64-474
    • /
    • 2009
  •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요구되는 경우, 구외견인, Wilson distalizing arches, 가철식 스프링 장치 그리고 Schwarz plate-type 장치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대구치의 원심이동 장치들로 치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많은 소아치과 의사들은 환자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임상가가 통제 할 수 있는 장치들로 전환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pendulum 장치인데, 고정원이 되는 전방치아의 원하지 않는 이동과 고정원 소실, 그리고 구개부 고정원이 좋지 않은 경우 원하는 정도의 구치부 원심이동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pendulum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SAS(Skeletal Anchorage System)를 pendulum에 접목하여 골에서 직접 지지를 얻는 변형된 형태의 pendulum, 즉 bone-supported pendulum을 제작하여 장착 시킨 후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대상으로 bone-supported pendulum을 사용하여 안정된 고정원 유지, 원치 않는 치아이동의 최소화 및 양호한 상악 대구치 원심이동 등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ormocresol pulpotomy와 연관된 함치성 낭종의 치험례 (DENTIGEROUS CYST ASSOCIATED WITH FORMOCRESOL PULPOTOMY)

  • 주태준;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81-488
    • /
    • 2009
  • 1904년 Buckley에 의해 치근관 살균제로 도입된 이후로 1:5로 희석된 formocresol을 사용한 치수절단술이 치아우식에 의한 유치의 비가역적 치수염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 Formocresol은 치수조직의 높은 고정능력으로 높은 임상적 성공률을 보이고 있으나 자체독성이 매우 강하여 영구 계승치 치배의 변위나 결손, 법랑질 형성 부전, 전신흡수로 인한 돌연변이 가능성과 암유발 가능성 역시 보고되고 있다. 또한 formocresol을 사용한 치수절단술 후에 과사용된 formocresol에 의한 만성적인 염증이 계승 영구치로 확산되어 퇴축법랑상피의 증식을 자극하고 법랑질로부터 퇴축법랑상피를 분리시켜 함치성 낭종을 형성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3년 전 응급으로 하악 좌측 제 2유구치의 formocresol을 사용한 치수절단술 후 정기 검진을 위해 내원한 환자의 방사선 사진에서 함치성 낭종이 발견되어 낭종 제거와 함께 유치의 발치를 시행했고 발치된 유치에서 formocresol cotton pellet이 제거되지 않은 채로 발견되어 formocresol이 장기간 남아있음으로 인해 낭종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선천성 식도폐쇄를 가진 식이장애 환아의 치아우식 치료 증례 보고 (DENTAL CARIES TREATMENT IN FEEDING PROBLEM PATIENT WITH CONGENITAL ESOPHAGEAL ATRESIA : A CASE REPORT)

  • 허선재;이미연;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0
    • /
    • 2016
  • 저자는 선천적 식도폐쇄로 인한 섭식장애를 가진 5세 환아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환아는 식도-기관 누공을 동반하는 선천성 식도폐쇄로 인해 위절제술 및 식도 문합술을 시행받았다. 2. 환아는 잦은 음식 섭취와 구토로 치아부식과 함께 다발성 치아우식증 소견을 보이고 있다. 3. 환아의 구강 위생 관리 및 우식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치과 내원과 가정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식이와 관련된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하악편측치아의 결손에 따른 악관절의 조직반응에 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ISSUE RESPON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UNILATERAL MANDIBULAR EDENTULISM)

  • 백희선;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85-294
    • /
    • 1991
  •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as a ginglymoarthrodial one has much in common with the other synovial joints of the body, but it does possess an unique charachteristic in that it must accomodate the various occlusal relations of dentition during an end point of closure. For that reason, the movement of the condyle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s susceptible to influences from the nature of occlusion. Undue loading 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an be applied on the occasion of premature contacts in centric relation, balancing side interferences, change of occlusal surfaces due to excessive attrition, loss of tooth. Such occlusal disharmonies in association with the systemic and emotional factors may give rise to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 On the other hand, the changes of occlusal patterns in the growing body can also have an effect on the growth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rough the alterations of functional str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istopathologic respons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unilateral chewing on one side exclusively for 10 months. Three dogs showing normal masticatory function were chosen. One dog aged about 12 months was for control, two dogs for experimental specimens were about 12 and 18 months old respectively. For chewing on the left side only, unilateral lower right premolar and molar were extracted in two experimental specimens. And then three dogs were sacrificed 10 months later. Frontal histologic sectioning of joints were done for the observation of the effects of one-side chewing. 24 specimens from three dogs were obtained and fixed in 10% formalin and routinly processed with H-E staining for histologic examination. The light microscopic findings were interpretated as follows: 1. Experimental specimen 1 aged about 22 months: In comparison with control and right non-chewing side, the proliferative and hypertrophic zone were increased at the mesial and lateral part of left chewing side condyle. There was no change of the articular tissue of temporal bone. 2. Experimental specimen 2 aged about 28 months: The articular tissues of adult joint were observ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ewing and non-chewing side were not seen in the articular tissues of condyle and temporal bone.

  • PDF

Periodontal wound healing following reciprocal autologous root transplantation in class III furcation defects

  • Takeuchi, Naoshi;Shirakata, Yoshinori;Shinohara, Yukiya;Sena, Kotaro;Noguchi, Kazuyuki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6호
    • /
    • pp.352-362
    • /
    • 2017
  • Purpose: Furcation involvement in the molars is difficult to treat,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for tooth loss. Although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ies, includ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various types of bone grafts, have been applied to furcation defects, the effects of these treatments are limited, especially in large class III furcation defects.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ciprocal autologous root transplantation on periodontal wound healing and regeneration in class III furcation defects in dogs. Methods: Furcation defects (7 mm wide and 6 mm high) were surgically created after root separation of the unilateral third and fourth premolars in 4 dogs. Eight furcation defec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reciprocal autologous root transplantation (test) or no further treatment (control). In the test group, the mesial and distal roots were transplanted into the distal and mesial extraction sockets, respectivel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10 weeks after surgery for histologic evaluation. Results: The healing pattern in the control group was characterized by extensive collapse of the flap and limited periodontal regeneration. New bone formation in the test group ($3.56{\pm}0.57mm$)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0.62{\pm}0.21mm$). Dense collagen fibers inserting into the residual cementum on the transplanted root surfaces were observed in the test group. Slight ankylosis was observed in 2 of the 4 specimens in the test group on the mesiodistal sides where the root-planed surfaces faced the existing bone. Root resorption (RR) was detected in both the control and test group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eciprocal autologous root transplantation was effective for bone regeneration in class III furcation defects in dog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tandardize the approach in order to prevent unwanted RR prior to clinical application.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금관 및 국소의치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Monolithic surveyed restoration and electronic surveying in RPD metal framework fabrication: A case report)

  • 최영하;김형섭;권긍록;배아란;노관태;백장현;홍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43-249
    • /
    • 2018
  •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들을 치료를 시작할 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과 수복을 위한 공간의 적절성으로 분류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의 여성으로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어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나고 잔존 치아의 마모 증가가 동반되어 보철을 위한 약간의 악간 공간의 상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부여하고 안정화기간을 거쳐 안정된 교합접촉을 제공한다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과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근단 변위 판막술을 이용한 매복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APICALLY POSITIONED FLAP)

  • 류현섭;권훈;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83-390
    • /
    • 2001
  • 상악중절치의 매복은 임상적으로 흔히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중절치는 협측에 매복되어 있다. 이러한 협측매복은 치료가 무척 어렵다. 협측매복시 치은퇴축과 부착치은의 상실,치주낭이 발견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술식을 통해서 부착치은의 소실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매복치의 위치와 부착치은의 양에 따라 수술방법으로 간단한 치은절제술(gingivectomy)외에도 필요하면 근단변위판막술(apically positioned flap), 측방변위판막술(laterally positioned flap), 유리치은 이식술(free gingival graft) 등과 같은 여러 판막술과 치아의 생리적인 맹출기전을 복제한 폐쇄 맹출법 (closed eruption technique)을 고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치은절제술은 근단변위판막술에 비하여 부착치은의 양이 적어 많은 양의 부착치은 이 필요한 경우에는 근단변위판막술이 적응증이며 매복치아가 nasal spine근처에 있을 때는 폐쇄 맹출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본 증례에서 두 증례에서는 근단변위 판막술을 한 증례에서는 폐쇄 맹출법을 사용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쇄 맹출법이 더 심미적이었으나 부착치은의 양은 작았다. 이에 상악 중절치의 매복의 경우에서 올바른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해 적응증에 맞는 외과적 수술로써 외과적 견인후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 PDF

함입된 상악 중절치의 외과적 재위치 후 예후 (PROGNOSIS OF THE SURGICALLY REPOSITIONED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INTRUSIVE INJURY)

  • 민성진;류정아;김성오;이제호;최병재;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22-528
    • /
    • 2006
  • 치아가 치조골 내에서 변위 시 치근단부 혈관이 압박, 파열될 수 있으며, 치수의 반응은 치근 발육정도, 치아 함입정도, 치수 감염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치수생활력 상실 시 치수치료가 필요하므로 외상 후 정기 검진을 통해 치수 생활력 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해야 하며, 치관에서 나타나는 색조 변화 및 방사선 사진 상 치근의 흡수 유무를 관찰해야 한다. 탈구성 손상 후 치수 괴사 치근관 폐쇄, 치근 외흡수, 치근 유착 그리고 주변골 상실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수생활력 검사 시, 양성 반응에서 시간 경과 후에 음성 반응을 보이는 경우는 치수 괴사를 의심해야 하며 가능한 한 치근 흡수가 일어나기 전에 치수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두 증례에서 나타난 결과를 비교하여 함입 후의 합병증과 이를 야기하는 인자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인의 치주질환에 관한 지식, 인식과 신념에 미치는 영향 (Influential Factors for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Adults on Periodontal Diseases and Their Belief)

  • 이지연;이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95-307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사회구성원들의 치주질환인식도, 지식, 신념 및 태도와 치주건강을 분석하여 구강보건교육과 계속적인 관리를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구강보건실을 내방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주질환에 대한 생각과 치주건강도를 조사하여 관련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치주질환의 기술 역학적 특성의 인지도는 2.77점, 초기의 치은염 증상에 대한 지식 정도에 관한 문항의 평균은 2.97점, 치주질환 발생요인에 대한 인지도에 관한 문항의 평균은 2.90점,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인지도에 관한 문항의 평균은 2.95점, 치주질환에 대한 신념 및 태도에 관한 문항의 평균은 3.04로 높고 올바른 인지도, 지식도, 신념 및 태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치주질환 관련 문항 중 비교적 낮은 점수의 문항은 노화에 의한 치아상실에 대한 인식과 음식물과 치주질환 예방과 발생과의 관계 인지, 칫솔질 시간과 잇몸건강과의 관계, 올바른 칫솔질 방법과 관리법 등이었다. 초기의 치은염 증상에 대한 지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음주횟수, 치주낭 깊이, 성별이었으며, 치주질환 발생요인에 대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나이, 3분 칫솔질이,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음주횟수가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을 위한 생활행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Steri-Oss 임플랜트의 임상 결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INICAL RESULTS ON STERI-OSS ENDOSSEOUS IMPLANTS)

  • 민영규;권혁신;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8-272
    • /
    • 1998
  • This investigation evaluated patients who received Steri-Oss implants from the Dental Hospital of Chosun University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89 to August 1997. 346 fixtures of 12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The follow-up period was defined as the period between the surgical placement of the implants and the last follow-up examinatio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17{\pm}1.21$ years. 2.The period between fixture installation and second surgery was $0.71{\pm}0.44$ years in the maxilla and $0.46{\pm}0.21$ years in the mandible. 3.The number of fixtures which were installed in the upper jaw(112) was less than that in the lower jaw(234) and in the posterior region(260) was more than in the anterior region(86). 4.The length of fixture which was most frequently used was 12 mm and least was 8mm. Screw implants were installed more than cylindrical implants. 3.8mm implant was the most common implans, followed by 4.5mm and 3.25mm. 5.The number of augmentation cases was more than that of non-augmentation cases and the rate of augmentation cases in the maxilla was more than that in the mandible. 6.Implant restorations for partial edentulos patients(94cases) were more than single- tooth implant restorations(33cases) or implant restorations for complete edentulos patients(10cases). 7.Free-standing prosthese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ere more commom than any other type of connection between implants and natural teeth. 8.Plaque Index($0.95{\pm}0.74$) and Gingival Index($0.31{\pm}0.52$) were very similar around the natural teeth and reflected an acceptable level of plaque and gingivitis control. Mean value for keratinized mucosa index($1.93{\pm}1.20$) remained fairly constant around level 2(1-2 mm keratinized epithelium). 9.Pati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implant in terms of comfort, function, speech and esthetics. 10.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survial rate between implants placed in the maxilla (91.5%) and those placed in the mandible (93.8%). Fourteen implants lost before the prosthetic rehabilitation and eleven implants lost following variable periods in function after the prosthetic phase of the treatment. 11.Cause of implant failures was exfoliation or removal of fixture due to non-osseointegration before the prosthetic rehabilitation or due to fracture of fixture, masticatory pain after the prosthetic rehabilitation. 12.The survival rate of Steri-Oss implants using the Kaplan-Meier statistical analysis was 93.8% at 2 year and 86.6% at 5 year, In all cases, implant losses occured predominantly in the healing period. There was a steep decline in the rate of implant loss after the first year. 13.The survival rate of Steri-Oss implants in the anterior region was 94.8% at 2 year and 94.8% at 5 year and that in the posterior region was 92.8% at 2 year and 75.9% at 5 year.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a number of parameters and guidelines for achieving an optimal success rate in osseointeg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