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ne's method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유색미 속겨의 안토시아닌 색소에 의한 견직물염색 (Silk Dyeing Method in Natural Pigments - In Case of Korean Colored Rice Bran -)

  • 이혜자;유혜자;김정희;이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69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fficient use of the colored rice bran fur dyeing textiles. To investigate the fabric dyeability of the colored rice bran extract, the anthocyanin pigments were extracted with water of different temperature ranges of 40 ~ 8$0^{\circ}C$ and were dyed on silk fabrics with different dyeing temperature $25^{\circ}C$~6$0^{\circ}C$, at acidic pH and neutral pH, respectively. Aluminum chloride was preheated with mordant K/S value and dyeing 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were examined. The anthocyanins of the colored rice bran were stable and red color at acidic pH, red purple or purple blue at neutral pH, but unstable, blue color at alkaline pH. If extracting temperature and dyeing temperature of dyeing solution were higher, the dyeability was high, but the color of dyed fabric showed red tone. When extracting temperature was 8$0^{\circ}C$ and dyeing temperature of dyeing solution was 6$0^{\circ}C$, the dyeability was best. Without mordant,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as higher in acidic pH than in neutral pH solution. With mordant, the dyeability was higher than without mordant, and also higher in acidic pH. Pretreatment of aluminum chloride resulted in the increase of color intensity and stability. The laundering fastness of dyed fabrics was good from grade 5 to grade 3-4. Because of the anthocyanins sensitivity on light radiation, the light fastness of dyed fabrics was poor from grade 3 to grade 1-2.

Direct Brow Lift Combined with Suspension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 Lee, Jeong Woo;Cho, Byung Chae;Lee, Kyung Yo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603-609
    • /
    • 2013
  • Background Although the conventional direct brow lift operation provides a simple means of managing lateral brow ptosis, the scars produced have been unacceptable. However, using the modifications proposed here, scarring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This article reviews our experiences with the presented technique, mainly with respect to postoperative scarring. Methods Measured amounts of supra-eyebrow skin and subcutaneous fat were excised en bloc in the conventional manner under 'hyper-hydrated' local infiltration anesthesia. The lower flap and the edge of the upper flap were undermined above the muscular plane, and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was directly suture-plicated and suspended upward to the distal frontalis muscle. Skin closure was performed in a basic plastic surgical manner. Results From April 2007 to April 2012, a consecutive series of 60 patients underwent surgery using the above method. The average width of the excised skin was 8 mm (range, 5-15 mm) at the apex of the eyebrow. Preoperative complaints were resolved without occurrence of significant complications. The surgical scars showed remarkable improvement and were negligible in the majority of the cases. Conclusions The direct brow lift operation combined with plication/suspension of the superior and lateral portion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provides a simple, safe, and predictable means of correcting lateral brow ptosis. The scars were acceptable to all of the patients. For proper management of the frontalis tone, upper blepharoplasty and/or repair of eyelid levator function must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brow lift procedures.

다수의 음원을 사용한 공간의 소리 제어 방법론 (Spatial Manipulation of Sound Using Multiple Sources)

  • 최정우;김양한;박영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2호
    • /
    • pp.1378-1388
    • /
    • 2005
  • Spatial control of sound is essential to deliver better sound to the listener's position in space. As it can be experienced in many listening environments. the quality of sound can not be manifested over every Position in a hall. This motivates us to control sound in a region we select. The primary focus of the developed method has to do with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acoustic image in space. In particular, the acoustic brightness control seeks a way to increase loudness of sound over a chosen area, and the contrast control aims to enhance loudness difference between two neighboring regions. This enables us to make two different kinds of zone - the zone of quiet and the zone of loud sound - at the same time. The other perspective of this study is on the direction of sound. It is shown that we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perceived sound source by focusing acoustic energy in wavenumber domain. To begin with, the proposed approaches are formulated for pure-tone case. Then the control methods are extended to a more general case, where the excitation signal has broadband spectrum. In order to control the broadband signal in time domain, an inverse filter design problem is defined and solved in frequency domai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various conditions certainly validate that the acoustic brightness, acoustic contrast, direction of wave front can be manipulated for some finite region in space and time.

전통문양의 활용에 관한 기존연구 분석 - 의류학 분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Previous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 Focused on Textile & Clothing related Part -)

  • 강민정;조진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1-14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the design processe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by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For this purpose, 96 studies which include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8 Korean academic journals on Clothing from 2000 to 2010 were chos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ubject matter, they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 on clothing design, research on textile design, research on the design of cultural commodities, and research on mixed design. Second, the researches that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ubject matter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year of publication. It was shown that the most active research was on the clothing design. The research on textile design, when compared with clothing design, alternated an increase and an decrease in every other year. Also, research on the design of cultural commodities were fewer than the research on clothing design or textile design although it is on the increase from 2008. Third,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designs based on a flora were most common. Fourth, in most cases, in the process of the designs, the designswere dispensed with the original form or were simplified. The choice of the tone of color, in most cases, were based on the concept selected by the designer. The most common method for the expression of the designs was based on the printing. Also, when it came to the presentation of the designs, the original work greatly outnumbered an imaginary work.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designs which, in turn, can popularize the aesthetic beauty of Korea.

Parmotrema austrosinence(지의류)를 이용한 직물염색과 키토산 처리에 의한 염색성 향상 (Fabric Dyeing with Lichen Parmotrema austrosinence and Improvement of Dyeability by Chitosan Treatment)

  • 유혜자;이혜자;이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82-889
    • /
    • 2008
  • 국내에서 자라는 지의류의 한 종류인 Parmotrema austrosinence를 채취하여 염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염액을 사용하여 견직물, 나일론직물과 면직물을 염색하였다. Parmotrema austrosinence를 암모니아수에 넣고 발효시켜 얻은 염액을 사용하여 pH를 4, 7, 10으로, 염색온도를 $30^{\circ}C$, 50^{\circ}C$, $80^{\circ}C$로 각각 조절한 후 염색을 하였다. 면직물은 견직물과 나일론직물에 비해 염색성이 낮게 나타났다. 면직물의 염색성 향상을 위해 키토산 액으로 처리하고 염색성과 염색견뢰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염색된 시료들의 염색성은 K/S값, ${\Delta}E$와 Munsell값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염색된 시료들의 K/S값은 견직물의 경우에는 520nm에서, 나일론직물과 면직물은 480nm에서 최대 흡광파장을 나타냈다. 견직물 염색포의 K/S값은 $4.6{\sim}9.3$으로 $1.0{\sim}2.7$인 나일론직물이나 $0.8{\sim}1.6$인 면직물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견직물이 Parmotrema austrosinence 염액에 대해 우수한 염색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염색온도가 높아질수록 먼셀 색상값이 red나 yellow red에서 yellow쪽으로 이동하는 색상변화가 나타났다. 견직물의 경우, 염색온도가 $50^{\circ}C$$80^{\circ}C$일 때의 염색성이 비슷하였으며, 다른 직물의 경우에는 염색온도 상승에 따라 K/S값도 높아졌다. 따라서 지의류를 사용한 적정 염색온도는 견직물의 경우 $50^{\circ}C$, 다른 직물의 경우 $80^{\circ}C$임을 확인하였다. 염색된 시료의 먼셀 색상은 견직물에서는 R(red) 영역에서, 나일론 직물에서는 YR(yellow red)-R 영역에서, 면직물은 YR 영역으로 나타났다. 면직물과 나일론직물은 중성 또는 산성염액에서 염색이 잘 되었고, 견직물의 경우는 중성 염액에서의 염색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염색성이 낮게 나타난 면직물은 키토산 가공에 의해 염색성과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색된 시료들의 일광견뢰도와 세탁견뢰도는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나 드라이크리닝 견뢰도는 4-5급 또는 5급으로 모두 우수하였다.

'오디' 음악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of study on Children's Responses to Audie Music Activity)

  • 윤은미;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41-65
    • /
    • 2007
  • 본 연구는 '오디' 음악활동을 통해 유아의 반응이 행동적 음악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만 5세 유아 24명을 연구대상으로 '오디' 음악활동을 주 2-3회씩 15주 총 3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3명의 유아를 선정하고 연구 보조자의 참여 관찰, VTR과 디지털 카메라 촬영, 연구자 저널 쓰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 초기에 교사가 육성으로 부르는 가사 없는 노래를 낯설어하고 반응이 없었던 유아들은 점차 교사가 노래를 시작하면 관심을 기울여 듣는 태도를 보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침묵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음과 리듬이 들리지 않아도 사고과정을 통해 마음속으로 인지하였으며,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마음속으로 노래를 기억하여 동작을 구사하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다양한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했으며, 또래간의 상호작용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 초기에 기다리지 못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활동을 방해했던 유아는 점차 자신을 조절하며 활동에 참여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획일적인 반응을 보이고 교사와 또래를 의식하고 모방하는 것에 그치며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던 유아는 활동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점차 음악의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신체로 표현하고 신체의 여러 부분을 인식하고 스스로 조절해 가면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을 자발적으로 하게 되었다.

  • PDF

경추부 및 하악부 약침 치료를 포함한 한의복합치료로 호전된 만성 메니에르병 환자 1례 - 증례 보고 (A Case of Chronic Meniere's Disease Improved by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Pharmacoacupuncture of Cervical and Temporomandibular Area - A Case Report)

  • 김동주;허경화;이경화;이혜진;조승연;박정미;고창남;박성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50-162
    • /
    • 2023
  • Meniere'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episodic vertigo, fluctuating hearing loss, tinnitus and ear fullness. The main pathological finding is endolymphatic hydrops, but the etiology of disease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s are still disputed. Recently, Cervical spine disorders(CSD)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one of the causes of Meniere's disease. A 65-year-old female Meniere patient with musculoskeletal problems in the cervical and mandible area was treated by Korean medical therapies including pharmacoacupuncture treatment. After 5 weeks of treatment, there was no meaningful change in hearing level evaluated with pure tone audiometry, but the subjective symptoms of Meniere improved significantly. Numerical rating scale (NRS) decreased from 10 to 0 for hearing loss, 10 to 3 for tinnitus and 8 to 3 for ear fullness. Also NRS of cervicalgia was reduced from 5 to 0 after treatment.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Korean medical therapy including pharmacoapuncture targeting CSD and TMD could be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patients with Meniere's disease.

설농탕 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제1보 : 전래설농탕과 시판설농탕의 영양학적 비교연구- (Scientific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for SULNONGTANG.)

  • 임희수;윤서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46
    • /
    • 1987
  • 전래설농탕 조리법의 재료를 기준으로 하여 조리시간과 재료의 첨가방법을 달리한것, 현재의 시판 조리법에 의한 것과 여기에다 쇠머리·쇠족·무릎도가니를 각각 더 첨가한 것으로 구분하여 각 설농탕의 영양성 분석을 한 결과에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전래설농탕 조리법에 의한 것 전래설농탕 조리법에 의한 A.B군의 가열시간별, 재료첨가방법에 따른 국물의 영양성분분석 결과에서는 가열시간에 비례하며 단백질, 지방, 회분, 유리 아미노산 5'-IMP, Cholesterol, Ca, P, Fe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재료첨가방법은 B군과 같이 재료를 3회로 나누어 첨가하여 끓인 것이 처음부터 모든 재료를 넣고 끓인 A군보다 영양성분이 높았다. 단, 5'-IMP만은 A군이 B군보다 다소 높았는데 이는 양지머리와 사골의 5'-lMP 용출량 실험에서 가열시간 3시간 이상이 되면 감소하였던 결과로 미루어 B군은 양지머리의 5'-IMP용출량 감소로 인하여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건데기에서는 지방과 cholesterol을 제외한 나머지 영양성분은 가열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A군이 B군보다 영양성분의 함유량이 많았는데 이것은 A군이 재료를 3회로 나누어 첨가하여 끓였으므로 건데기의 영양성분이 국물로 용출되는 시간이 단축되었기 때문이다. 2. 시판설농탕 조리법에 의한 것 시판설농탕 조리법에 관한 실험에서는 재료가 사골과 양지머리로 축소되어 있으므로 전래법에 비하여 영양성분의 용출량도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기에다 쇠머리, 쇠족, 무릎도가니를 각각 더 첨가한 결과에서는 쇠머리를 첨가한 것이 단백질, 유리아미노산, 5'-IMP, Ca등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설농탕조리시 국물의 영양성분을, 농후하게 하면서 정미성분의 감소가 적도록 하려면 총가열시간은 12∼18시간으로 조정함이 적합하며 재료의 첨가방법은 A군과 같이 부위별재료의 특성을 살려 단계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PDF

범진과 사마광의 악(樂)·율(律) 논쟁 (A Debate of Fan-Jin(范鎭) and Sima-Guang(司馬光) about Le(樂) and Lu(律))

  • 주용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6호
    • /
    • pp.119-149
    • /
    • 2018
  • 제왕의 정치에서 악(樂)은 중요하다. 북송 시대에도 악은 중요했다. 북송의 태조부터 악에 대한 제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5대 10국이란 혼란기를 겪은 탓인지 몰라도 북송시대에 악에 대한 개정 작업이 6번 이루어진다. 그 당시 인종시기부터 철종시기까지 악에 대한 연구를 했던 인물이 바로 범진이다. 그는 인종 때부터 악에 대한 상서를 올리고, 철종 때는 자신이 만든 악기 및 음악을 올리기까지 한다. 한편 범진과 더불어 악 율에 대해 논쟁했던 인물이 사마광이다. 둘 사이의 논쟁은 30여 년이 지속된다. 논쟁은 끝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 범진은 도량형의 기준을 율(律)로 두며, 율의 기준을 황종(黃鍾)으로 본다. 반면에 사마광은 율의 기준을 도량형으로 본다. 범진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서법(累黍法)과는 다른 적서법(積黍法)을 주장한다. 사마광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서법을 주장하나 그것이 선왕(先王)의 법도는 아니라고 본다. 범진의 적서법은 기존의 도량형 기준을 정하는 방법과 다르다. 하지만, 그의 방법을 통해 얻은 도량형은 당시에 통용되던 제도들과 합치한다. 범진은 자신의 방법이야말로 올바른 방법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그 방법을 통해서 선왕의 악을 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범진은 또한 당시 남아 있던 문물들이 선왕시대의 문물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적서법을 통해 황종을 구하고, 황종을 통해 율을 구하고, 율을 통해서 악을 만들면, 선왕의 법도를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에 사마광은 선왕의 도량형은 모두 없어졌다고 여기며, 선왕의 악 또한 없어졌다고 여긴다. 선왕의 악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중화(中和)를 얻는 것 밖에 없다. 그가 보기에 범진의 방법은 이미 틀린 것이다. 사마광은 틀린 방법으로 악을 구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는 범진의 방법으로는 그 당시의 악도 이룰 수 없는데, 선왕의 악은 더욱 찾을 수 없다고 본 것이다. 또한 범진은 중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천자이며, 일반 사람들은 할 수 없다고 보는 반면, 사마광은 중화를 모든 사람 및 만물이 해야 하며 또한 벗어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논쟁의 핵심은 율과 중화다. 범진은 율을 악의 근본으로 보지만 사마광은 중화를 악의 근본으로 본다. 율은 유형의 법칙이고, 중화는 무형의 법칙이다. 둘 사이의 논쟁은 비록 일치점을 보지 못한 채 끝났지만, 유형과 무형의 법칙만들기의 대립이라는 측면에서, 당시 학자들의 견해차를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이 논쟁을 통해서 북송 시대에 사마광을 중심으로 하는 중화 논의의 시작점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색역 확장을 위한 멀티 칼라 프린터의 역 특성화 방법 (Inverse characterization method for color gamut extension in multi-color printer)

  • 장인수;손창환;박태용;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2호
    • /
    • pp.46-54
    • /
    • 2007
  • 현재 프린터 산업에서는 다른 출력장치에 비해 색역이 작은 프린터의 색역을 확장하기 위해 CMY 이외의 색료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색료의 추가는 여러 가지의 색료 조합이 하나의 색 자극치를 나타내는 프린터 역 특성화 과정에서 잉여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색료간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이러한 잉여 문제를 해결하는 프린터 역 특성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동일한 색 자극치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색료 조합을 분석하기 위해 Cellular Yule-Nielsen Spectral Neugebauer 프린터 모델을 이용하여 모든 색료의 조합에 대한 색 자극치를 추정한다. 이 후 잉여 문제를 일으키는 색료의 조합들에 대해 색 공간에서의 주위 다른 색 조합들과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가장 유사한 색료 조합을 선택한다. 이를 통해 임의의 입력 색 자극 값에 대한 출력 색료 값을 얻는 3차원 사면체 보간법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선택된 색료의 조합들과 색 자극치는 참조표로 저장된다. 실험에서는 CMYKGO 프린터를 사용하였으며 어두운 영역에서 색역이 확장 되었고, 좀 더 자연스러운 톤을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