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bre Analysi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Research on the Making Technology of Virtual Orchestral Instrument

  • Wang, Y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7-87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alysis of the sound source of virtual orchestral music in detail by using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sampling and playback, and technical experiments and verification for the most advanced Hollywood Library series of timbre and the timbre production and control technology of Vienna instrument Pro and other softwares, to find their solutions and come up with the best timbre production method for orchestral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ecific design ideas of the productions of virtual orchestral instruments. The so-called virtual orchestral instruments are non-real orchestral instruments, which are based on the imitation of timbre of real orchestral instruments, processed and synthesized through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ans, and produced by the use of electronic equipments or computers. The study of virtual timbre production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and it is like the study of composers' creative techniques. Not only scientific and advanced timbre production methods can be obtained from the study, but also new ways of future timbre production are expected to be explored.

편종의 음색 분석 연구 (A Study on Timbre Analysis of Pyunjong)

  • 조희영;김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507-1515
    • /
    • 2011
  • 편종의 소리합성을 위한 연구의 첫 단계로 FFT 분석을 통하여 그 음색을 분석하였다. 현대 편종 음계의 음고는 서양의 12평균율의 음고와 큰 차이가 없었다. 편종의 음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타격시 모든 주파수 대역에 걸쳐 생성된 노이즈들은 단시간에 사라지고, 고유 배음만이 남는다. 그 후 높은 주파수 성분의 배음부터 차례로 소멸되고 여음부에는 두개의 배음만이 남는데, 이 때 남은 배음의 주파수에 의하여 맥놀이 현상인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편종은 비교적 최근에 제작된 편종으로 추후 고대 편종의 음색에 관한 연구가 병행된다면 편종 원형의 소리 합성이 가능할 것이다.

청각계 스펙트럼을 이용한 음색 지각공간 (Perceptual Space for Timbre using Auditory Spectrum)

  • 이채봉;차경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13-117
    • /
    • 1996
  • 기본 주파수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의 형태를 여러 가지 변화시킨 복합음을 이용하여 음색의 유사도에 관한 청취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에서 다차원 척도구성법에 의해 3차원 음색 지각공간을 얻었다. 기본 주파수의 차이는 복합음의 음색을 변화시키는 요인의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청각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음색의 대략적인 지각을 어느 정도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청각계 스펙트럼 행렬의 작은 특이치를 제외하여 구한 주파수 가중치행렬을 이용하여 재합성한 결과는 실험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 PDF

Automatic Emotion Classification of Music Signals Using MDCT-Driven Timbre and Tempo Features

  • Kim, Hyoung-Gook;Eom, Ki-W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5권2E호
    • /
    • pp.74-78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method for classifying emotions of the music from its acoustical signals. Two feature sets, timbre and tempo, are directly extracted from the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MDCT), which are the output of partial MP3 (MPEG 1 Layer 3) decoder. Our tempo feature extraction method is based on the long-term modulation spectrum analysis. In order to effectively combine these two feature sets with different time resolution in an integrated system, a classifier with two layers based on AdaBoost algorithm is used. In the first layer the MDCT-driven timbre features are employed. By adding the MDCT-driven tempo feature in the second layer, the classification precision is improved dramatically.

삼각필터를 이용한 Spectral 포락변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tral Envelope Modification using Triangular Filter)

  • 최성은;김동현;홍광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415-2418
    • /
    • 200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filter to adjust formant information. Spectral envelope in speech analysis shows informa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speech and formant information determines speech timbre. So, if formant position is adjusted, we can verify adjusted speech timbre. A presented filter is to adjust this formant. This filter is composed of triangular filters. Using this filter we could locate the formant frequency at target position.

  • PDF

국악 타악기 편경의 음색연구 (A Study on the Timbre of Pyeon-gyoung)

  • 윤지원;김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728-1738
    • /
    • 2010
  • 국악 타악기 편경은 중국의 흑경(chines stone chimes=Bianqing) 등과 함께 '돌로 만든 타악기군 (Lithophone)'에 속한다. 주재료인 경석(옥돌)의 특성상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편경은 아악의 조율을 담당하는 악기로도 잘 알려져 있어 음악사적 가치 또한 크다 할 수 있다. 이렇듯 고정된 음고를 가진 악기라는 점에서 국악의 기준음고 및 음계체계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악기로서 편경 음향의 특성 및 가치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편경이라는 타악기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physical modeling synthesis)을 위한 분석 논문으로, 국악 타악기 편경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음색특성을 밝히고,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음향학적 근거를 제시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 같은 편경의 음색연구는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 악기로서의 편경 음색에 관한 이해를 높여 다양한 예술창작분야로의 접목을 활성화함으로써, 문화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Subjective Timbre Space of 45 Modified Violin Tones

  • Ahn, Chul-Yong;Pang, Hee-Suk;Sung, Koeng-M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1E호
    • /
    • pp.38-42
    • /
    • 2000
  •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reduced subjective timbre space of time-varying tones as well as steady state tones. 45 modified test tones were constructed from the original violin tone in consideration of 4 physical factors: spectrum envelope, inharmonicity, time-varying spectrum and time reversal.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was used in the listening test.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the adjectives can be factorized into 4 groups. The first factor is characterized by the adjectives, 'free', 'broad', 'deep', 'rich', 'strong' and 'reverberant', the second by 'tenor', 'clear', 'bright', 'light' and 'sharp', the third by 'easy', 'smooth', and 'solid', the fourth by 'warm' and 'full'. The first factor, 'richness', seems to be dependent upon the time-varying characteristic of a tone. The second factor, 'sharpness', is sh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a time-varying tone as well as in a steady state tone.

  • PDF

3 레벨 구조 기반의 음악 무드분류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Based On Three-Level Structure)

  • 김형국;정진국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6권2E호
    • /
    • pp.56-62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automatic music emotion classification on acoustic data. A three-level structure is developed. The low-level extracts the timbre and rhythm features. The middle-level estimates the indication functions that represent the emotion probability of a single analysis unit. The high-level predicts the emotion result based on the indication function values. Experiments are carried out on 695 homogeneous music pieces labeled with four emotions, including pleasant, calm, sad, and excited. Three machine learning methods, GMM, MLP, and SVM, are compared on the high-level. The best result of 90.16% is obtained by MLP method.

가상악기의 음색 분석 연구 - 바이올린, 얼후, 해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Analysis about Virtual Musical Instruments' Timbre - Focused on Violin, Erhu, Haegeum -)

  • 성기영;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19-227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찰현악기인 서양의 바이올린, 중국의 얼후 그리고 우리나라 해금의 음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각 악기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서 선행적으로 살펴보았다. 음색의 분석을 위해서는 현재 컴퓨터 음악을 활용한 작품 창작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상악기의 샘플링 된 음원을 이용하였고, EQ와 배음 분석을 통해 각각의 악기가 가지고 있는 음색과 배음의 특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정수배의 배음들의 음압을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악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음색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사운드 합성(Sound Synthesis)에 기본이 되는 사인파(Sine Wave)를 이용한 악기 소리의 합성 등을 통해 서양의 가상악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우리나라 국악기의 가상악기 음원 개발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의 음색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imbre Comparison between Jeongak Daegeum and Sanjo Daegeum)

  • 성기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29-23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국악기중 대표적인 관악기인 대금의 음색을 분석하였다. 대금은 크게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으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정악대금은 궁중음악과 풍류음악에서 연주되고 있으며, 산조대금은 산조, 시나위, 민속음악에서 주로 연주된다. 이렇게 2개의 대금이 서로 다른 음악장르에서 연주되고 있는 이유는 악기의 개량에 따른 것인데, 관의 길이와 지공의 위치를 조정하여 산조대금이 정악대금에 비하여 빠른 연주가 가능하게 되었고, 다양한 연주기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음색의 차이를 만들어 냄으로써 음악과 조화로운 악기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을 같은 음을 연주하여 녹음한 결과를 바탕으로 배음의 구조와 음색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저음이 풍부한 정악대금이 궁중음악 등 장중한 분위기의 곡에 조화로우며, 상대적으로 고음이 맑은 산조대금이 독주 등 밝은 음악에 잘 어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