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imbre of Pyeon-gyoung

국악 타악기 편경의 음색연구

  • 윤지원 (계명대학교 뮤직프로덕션과, 동국대 멀티미디어학과) ;
  • 김준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0.07.12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Pyeon-gyeong, similar to Chinese Bianqing, is a Korean traditional lithophone with multiple stone chimes. Due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insensitive characteristics of its material, pumice stone, the instrument provides highly stable pitch and therefore has played a key role in Korean traditional court music. By reason of having absolute pitch, i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research on the standard pitch and scale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as an instrument, the study on the sound characteristics and worth is not making satisfactory progress, to date.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paper for physical modeling synthesis of pyeongyeong. Through this study, we will determine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timbre of pyeongyeong as a unique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and investigate these characteristics objectively, based on the music acoustics by scientific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material for physical modeling synthesis of pyeongyeong, and also make a huge contribution to the cultural applicability by the vitalization of graft onto the various artistic creation field,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the timbre of pyeongyeong as an instrument.

국악 타악기 편경은 중국의 흑경(chines stone chimes=Bianqing) 등과 함께 '돌로 만든 타악기군 (Lithophone)'에 속한다. 주재료인 경석(옥돌)의 특성상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편경은 아악의 조율을 담당하는 악기로도 잘 알려져 있어 음악사적 가치 또한 크다 할 수 있다. 이렇듯 고정된 음고를 가진 악기라는 점에서 국악의 기준음고 및 음계체계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악기로서 편경 음향의 특성 및 가치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편경이라는 타악기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physical modeling synthesis)을 위한 분석 논문으로, 국악 타악기 편경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음색특성을 밝히고,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음향학적 근거를 제시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 같은 편경의 음색연구는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 악기로서의 편경 음색에 관한 이해를 높여 다양한 예술창작분야로의 접목을 활성화함으로써, 문화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하, 노정욱, 성굉모, "편경 제작용 경석 표본의 역학적 물성 측정," 한국음향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71-177, 2008.
  2. 유준희, "편경의 진동양식 분석,"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l(S)호, pp.283-286, 2004.
  3. 유준희, "편경의 기억자형 모양에 따른 조율 효과,"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2(S)호, pp.287-290, 2004.
  4. 유준희, "편경의 진동모드 분석," 한국음향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21-128, 2006.
  5. 권오연. "한국음악의 조율체계와 음계에 대한 음향학적 고찰," 음악과 문화, 제4호, pp.59-98, 2001.
  6. 한기열, 윤지원, 김준, "국악 타악기 편경의 소리 합성을 위한 음색분석 연구," 한국공학.예술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제l호, pp.65-68, 2009.
  7. 이숙희, 편종 편경 악기장 김현곤, 한국학술정보(주), 2008.
  8.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9. Tomas D. Rossing, F. Richard Moore, and Paul A. Wheeler, Science of Sound, Addison Wesley, San Francisco, 2002,
  10. Perry R. Cook, Music, Cognition, and Computerized Sound : An Introduction to Psychoacoustics, The MIT Press, Cambridge, 2001,
  11. John R. Pierce, The Science of Musical Sound,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1992,
  12. Curtis Roads, The Computer Music Tutorial, The MIT Press, Cambridge, 1996.
  13. Thomas D. Rossing, Science of Percussion Instruments, Series in Popular Science, Volume 3, World Scientific, Singapore, 2000,
  14. William A. Sethares, Tuning. Timbre, Spectrum, Scale, Springer, London, 1998.
  15. 김현지, "영조조 편경 제작과정 연구 :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집, 제3집, pp.7-55, 1999.
  16. 김형운, 소리가 하늘이다, KBS Media 한국사傳 세종대왕, 제2부, 2008.
  17. 송방송, "박연의 율관제작과 악기제조," 한국예술종합학교 논문집, 제3집, pp.214-302,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