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 number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3초

벼에 대한 돈분뇨 액비의 시용량 및 시용시기 구명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Amount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of Rice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 박백균;이종식;조남준;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7-152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amount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and yield of rice plant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Liquid manure treatment with higher application rate and closer application time to transplanting time showed higher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 at panicle formation stage, but it caused the plant disease and pest and lodging. In liquid manure treatment with higher application rat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an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were higher but yield of rice was less than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due to low rate of ripeness and 1,000 grain weight. $NO_3-N$ concentration in infiltration water sampl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pplication amount of liquid manure and closer application time to transplanting of rice plant. With consideration yield of rice and environment such as groundwater quality, the proper application amount were 150% and 100% of recommending N fertilizer level (11kg) at before winter and April or May treatment,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production of Oryza sativa L. cv. Ilmi, one of the main rice varieties in Korea

  • Lee, Eung-Pill;Park, Jae-Hoon;Jang, Rae-Ha;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35-342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growth and production of Oryza sativa L. cv. Ilmi, which was developed to cultivate high yielding rice variety in the Southern plains of Korea. The seedlings of the rice were cultivated from May to October in 2012 under three different conditions: control, AC-AT, ambient $CO_2$ + ambient temperature; AC-ET, ambient $CO_2$ + elevated temperature; EC-ET, elevated $CO_2$ + elevated temperature. The aboveground biomass, belowground biomass, the total biomass of the rice, and panicle weight per individual were the heaviest in the EC-ET. But, the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and the weight of one grain was higher at the condition of AC-ET and EC-ET than that of AC-AT. The number of tiller was higher at the condition of AC-AT and AC-ET than that of EC-E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nicles per individual and the ripened grain rate among the control and global warming treatments. Crop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EC-ET. This result means that the global warming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suitable paddy field for the limibyeo in the future.

Tall fescue 품종의 환경적응성 III. 가을철 예취관리가 1번초의 개체중과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nvironmental Adaptation of Tall Fescue varieties in Mauntainous pastures III. Effect of autumn cutting management on the dry weight of plant(DW) of the 1st cutting)

  • 이주삼;한성윤;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3-212
    • /
    • 1993
  • Th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the optimum final cutting date in autumn and the selection of highly adaptable varieties in mountainous pastures of Taekwalyong area. The evaluations were based on the data of varietal differences of dry weight of plant(DW) and yield components of the 1st cutting as affected by various final cutting dates of last autumn. Nine varieties of tall fescue Barvetia, Fuego. Demeter, Safe. Barcel, Forager, Johnstone, Enforcer and Stef. were used and 4 final cutting date of autumn were $C_1$, cut on 30 Sept. $C_2$, on 14 Oct. $C_3$, on 28 Oct. and $C_4$. on 11 Nov..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 . Between the dry weight of plant(DM) and yield components of 1st cutting were different by various final cutting dates of autumn. The dry weight of plant(DW)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h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1st cutting in earlier cuttings($C_1- C_3$) of autum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ed with h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1st cutting in the latest cutting($C_4$) of autumn. 2. The variety of Forager with heavier weight of heading tiller(HTW) and dry weight of tiller(WT) showed the highest dry weight of plant(DW) of the 1st cutting in earlier cuttings($C_1-C_3$) of autumn, whereas the variety of Barcel with high number of tillers per plant(NT) showed a high dry weight of plant(DW) of the 1st cutting in the latest cutting($C_4$) of autumn. 3. Optimum final cutting date and critical period of mountainous pastures in Taekwalyong area were estimated in late September($C_1$) and middle October($C_2$), sespectirety. 4. The dry weight of plant(DW) of the 1st cutting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final cutting dates in growth period of autumn.

  • PDF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적 생육특성 III. 가을철 생육의 품종간 차이 (Seasonal Growth Chrateristic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II. Varietal differences in autumn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8
    • /
    • 1992
  • 본 시험은 가을철 생육기에 perennial ryegrass 5개 품종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품종에 대한 생물학적 수량(지상부중+지하부중), 지상부중(엽중+경중), 근중, 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경수, 근장,근장/근중 및 1 경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는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악화되었다. 2. 가을철 수량구성요소의 비솔은 지상부 73%, 지하부 27%였다. 3. 생물학적 수량이 많았던 품종은 Tempo, Maprima 였으며 P-2, Caliente등이 적었다. 4. 수량구성요소는 Tempr 품종에서 경중, 근중, 근장/근중, 1 경중이 많았고 Caliente 품종은 엽중, 경중,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1 경중이 적었다. 5. 조사시기별 생물학적 수량은 4~5차(10월 4일 ~10월 8일 )에 가장 높았으며, 3~4차(9월 30일~10월 4일)에 가장 낮았다. 6. 품종별 생물학적수량은 Tempo는 5~6차(10월 8일 ~10월 12일), Marprima는 1~2차(9월 22일 ~9월 26일), Manhattan, P-2, Caliente는 4~5차(10월 4일 ~10월 8일)에서 많았다.

  • PDF

다수.다얼성 옥수수(NET)의 세포질적 유전 (Cytoplasmic Inheritance of High Tillering and Earing Characters of a Korean Local Maize Line(MET))

  • Han, C.H.;Lee, I.S.;Choe, B.H.;Park, K.Y.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1
    • /
    • 1984
  • 1981년부터 최 등이 재래종 옥수수의 수집종 가운데서 병발한 한계통(MET)을 분얼이 많이되고 또한 개체당 이삭(수)수도 많아서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재료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이 옥수수에 대한 유전적 분석이 확실히 되어 있지를 않았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MET와 비분얼성이며 이삭도 하나 밖에 달리지 않는 수원 19호 (Mo17$\times$B68) 교잡종을 이용하여 F$_1$, F$_2$, BC$_1$, 세대를 양성하고 Mather의 세대평균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MET 계통의 다수.다얼성은 염색체상의 유전인자에 의한 다기 보다 세포질적 유전인자에 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론은 MET계통을 모계로 하여 교잡한 려잡종 세대에서 확실히 얻을 수가 있었다. 즉 MET 계통을 모계로 이용했을 때의 평균분얼과 이삭수는 MET를 부계로 이용했을 때의 분얼수와 이삭수 보다 많았는데 이는 이같은 특성들이 모계유전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특성들이 F$_1$이나 F$_2$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은 F$_1$에서 특히 보여주는 잡종강세현상 때문에 옥수수의 정부우세성이 매우커서 상반적으로 분얼이나 이삭의 발달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분얼이나 이삭의 절대수가 모계로 이용했던 MET에서 보다 잡종세대가 진전될수록 적어지는 것은 잡종강세외에도 MET계통의 세포질약 내지 유전인자적 축적량(Dose)이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이같은 MET계통의 특성은 려교잡에 의한 MET계통의 세포질을 유지하거나 축적하므로써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 PDF

사료용 호밀 보급품종의 주요 생육특성과 수량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Winter Rye Cultivars)

  • 성병렬;임용우;김맹중;김기용;최기준;임영철;임근발;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1-308
    • /
    • 2004
  • 본 시험의 연구목적은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출수기를 조사하여 숙기군을 분류하고, 지역별 파종기별 적품종을 추천하여 양질 다수성 조사료를 안전하게 생산 이용하기 위함이다. 축산 연구소 조사료자원과 시험포장에서,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개년 동안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사료용 호밀의 출수기가 가장 빠른 조숙품종은 올호밀, Vita grazer, 팔당호밀 등 3개품종이었으며, 중숙품종에는 Kool grazer, Bi,u grazer, Maton, Winter grazer 및 호밀22호 등 5개 품종이었고, 만숙품종군에는 가장 출수기가 늦은 5월 5일의 Danko와 5월 1일의 Humbolt 등 2개 품종이었다.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m^{2}당 경수는 대부분의 품종들이 1,000개 이상이었으며, 경수가 가장 적은 품종은 건물수량이 가장 높은 Humbolt 품종의 789개이며, 도복이 비교적 적은 품종은 만생품종 Danko이었다. 그리고 한해, 병해 및 충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품종 간 사료 품질 특성의 차이도 다소 있음을 알 수 있다. ha당 건물수량은 표준품종 Kool grazer가 12,409kg일때, 이 보다 증수된 품종은 Humbolt가$23\%$로 가장 높았으며, Vita grazer $21\%$, Maton $13\%$ 등 크게 증수되었으며, 이 밖의 다른 품종들도 5~$10\%$가지 증수되었으며, Homil22는 표준품종과 거의 같았다.

질소시비수준과 예취관리가 수단그라스계 잡종 [ Sarghum Bicolor ( L. ) Moench ] 의 저장탄수화물함량 , 재생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I. 질소시비수준과 예취높이가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예취후 신지의 발생 , 건물량 및 고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Carbohydrate Reserves, Regrowth, and Dry Matter Yeild of Sorghum-Sudangrass Hybrid[Sorghum bicolor(L.)Moench]for Forage Production I. Effect of nitrogen fetilization and cutting height on the appearance, dry weight and death of new bud after cutting of sorghum-sudangrass hybrid)

  • 서성;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8-66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 Sorghum bicolor (L.) Moench] 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 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신지(新枝)(측지(側枝) 및 분얼경(分蘖莖))의 발생(發生), 건물중(乾物重) 및 고사(枯死)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1년(年)과 1982년(年) 2년(年)에 걸쳐 서울대(大) 농대(農大) 부속실험목장내 사초시험포(飼草試驗圃)에서 실시(實施)되었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은 신지(新枝)의 발생(發生)이나 고사(枯死)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2. 예취후(刈取后) 신지(新枝)에 있어서 예취(刈取)높이가 낮아질록 측지수(側枝數)는 감소하고 분얼경수(分蘖莖數)는 증가하였다. 3. 재새수량(再生收量)에서 측지(側枝)가 차지하는 비율은 작으며 예취(刈取)높이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수량(收量)은 분얼경(分蘖莖)이 차지하였다. 4. 신지(新枝)의 고사(枯死)는 예취(刈取)높이가 낮은 구(區)에서 증가하였다.

  • PDF

벼 육묘일수가 지연된 어린모 이앙재배시 질소분시 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Nitrogen Management for Infant Rice Seedlings with Extended Nursery Duration by Delayed Transplanting)

  • 한희석;양운호;박정화;윤영환;김제규;양원하;박종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39-243
    • /
    • 2008
  • 벼 어린모의 육묘일수가 지연될 경우 모소질이 불량하여 본답의 이앙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답 이앙재배시 질소 분시방법이 노화된 어린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린모(8일모) 비하여 육묘일수가 지연된 8일 지연된 16일모는 성묘율, 배유양분 잔존율 및 근활력이 낮아졌다. 2. 초기생육은 육묘일수가 지연된 16일모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보다 낮았으나, 16일모 기비중점 시비구(70-0-30%)의 초장, 경수, 신근수 및 근활력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3. 출수기 생육은 육묘일수가 지연된 16일모 기비중점 시비구(70-0-30%)가 경수, 건물중, 엽면적이 가장 높았고, 16일모 관행 시비구(40-30-30%)는 가장 낮았다. 4.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육묘일수가 8일로 지연될 경우 등숙비율, 천립중이 떨어지며, 기비중점 시비구(70-0-30%)는 수수와 수당립수가 많았고, 수량은 8일모 관행 시비구(40-30-30) 비해 3% 증수되었다. 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육묘기간이 8일정도 지연된 어린모를 본답에 이앙하여 재배할 경우 기비중점 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유리한 재배방법으로 사료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처리(處理)가 벼(Oryza sativa L.) 냉해경감(冷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in Minimizing Low Temperature Stress in Rice(Oryza sativa L.))

  • 윤종연;이상철;최장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43-54
    • /
    • 1993
  • 본(本) 실험(實驗)은 벼에 있어서 냉해(冷害)로 인(因)하여 매년(每年) 막대한 수확량(收穫量)의 감소(減少)를 생육시기별(生有時期別)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에 의한 재배적(栽培的) 방법(方法)을 통하여 그 피해(被害)를 감소(減少)시키고,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에 대한 벼의 생리학적(生理學的) 활동(活動)과 농업적(農業的) 특성(特性),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근활력(根活力), Chlorophyll 함량(含量) 등(等)의 변화(變化)를 통하여 수확량(收穫量)에 관계(關係)는 요소(要素)를 규명(糾明)하고, 벼 재배(栽培) 방법(力法)에 있어서 기초(基礎) 자료(資科)로써 이용(利用)하고자 실시(實施)하여 얻은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저온(低溫)조건하에서 처리(處理)된 모든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는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초장(草長), 분니 등의 벼 생유지연(生有遲延)을 다소 경감(輕減)시켰으며, 특(特)히 ABA는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초장(草長), 분니수등에 있어서 다른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보다 그 효과(效果)가 두드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온(低溫) 조건하(條件下)에서의 chlorophyll함량(含量)은 무처리구(無處理品)에 비하여 감소(減少)되나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를 처리(處理)함으로써 Chlorophyll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고, 또한 근활력(根活力)도 chlorophyll함량(含量)과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생육(生有) 초기(初期)의 생장(生長) 조절제(調節劑)의 처리(處理)는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의 감소(減少)를 경감(輕減)시켜 주었으며, 이는 수량(收量)에 직후(直接) 영향(影響)을 미쳐 냉해(冷害)로 인(因)한 수량감소(收量減少)를 경향(經向)시켰으며, 특(特)히 Abscissic acid처리(處理)의 효과(效果)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온하(低溫下)에서 수잉기때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處理)는 영양생장(營養生長)에 별다른 효과(效果)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는 다소 영향(影響)을 미쳐 수량(收量)에 관여(關與)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조건하(低溫條件下)에서의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의 처리(處理)는 처리시기(處理時期)에 따라 다소 차이(差異)가 있지만 수량손실(收量損失) 경감(輕減)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완효성비료의 측조 시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nd Application of Slow Release Fertilizer on Rice Growth and Yield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 김상수;최민규;박건호;이선용;조수연;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8-76
    • /
    • 1996
  • 본시험은 하해습성 충적통인 전북통에서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측조시비에 알맞은 시비량 및 시비방법을 밝히고자 1995년에 동진벼를 10a당 5kg씩 5월 15일에 6조식 모논골뿌림 파종기로 파종하는 동시에 표준시비량의 100%와 80%량의 완효성 복비를 파종기부착 측조시비기로 파종골의 측면 4cm에 3cm깊이와 5cm길이로 전량을 기비로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측조시비에서는 어느 파종방법이나 관행보다 초장이 길고 경수가 많았으나 유효경비율은 적었고, 측조시비방법간에는 100%가 80%시비보다 수수는 많았으나 유효경비율이 적었고, 3cm가 5cm깊이 시비보다 수수가 많고 유효경비율도 높았다. 2. 엽면적지수와 건물중은 생육초기에는 측조시비보다 관행시비서 높았으나 최고분얼기 이후는 측조시비가 높았고 측조시비방법간에는 생육초기는 3cm깊이 시비가 5cm깊이 시비보다 높았으나 최고분얼기 이후는 5cm시비에서 높았다. 3. 토양중 NH$_4$-N는 파종후 25일에는 관행이 측조시비보다 많았으나 파종후 40일부터는 측조시비가 많았으며, 측조시비간에는 파종후 40일까지는 3cm시비가 5cm시비보다 많았으나 그후에는 5cm시비가 3cm시비보다 많았다. 4. 복상형질은 관행시비보다 측조시비가 나빴고, 측조시비간에는 80%시비보다 100%시비에서, 3cm시비보다 5cm시비에서 불량하여 측조시비 100%에서는 출수후 30일에 3정도의 복상이 발생하였다. 5. 출수 및 $m^2$당 입수는 관행시비방법이 측조시비 80%보다도 적었으나 측조시비의 시비량 및 시비방법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6. 쌀수량은 관행이 측조시비 80%보다도 적었으며, 기타 측조시비방법에서 관행시비와 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 생육 및 수량으로 보아 모논골뿌림재배에 알맞은 측조시비의 시비량 및 시비방법은 관행시비량의 80%를 완효성비료로 파종과 동시에 파종골옆 4cm에 3cm 깊이로 시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