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 number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3초

답토양(畓土壤)에서의 시비규산(施肥珪酸)과 인산(燐酸)의 상호작용(相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nteraction between Silicate and Phosphate Fertilizers Applied in the Paddy Soils)

  • 임선욱;백남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5-332
    • /
    • 1983
  • 답토양(畓土壤)에 시용(施用)한 규산(珪酸) 및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가급성(可給性)에 대한 상호간(相互間)의 작용(作用)과, 수도체(水稻體)에 의한 양성분(兩成分)의 흡수(吸收)에 미치는 상호관계(相互關係) 및 수도체(水稻體)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시험(試驗)하기 위하여 수도품종(水稻品種) "진흥(振興)"에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와 과인산석회(過燐酸石灰)를 각각(各各) 다른 수준(水準)으로 처리(處理)하여 재배시험(栽培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에서는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은 상호간(相互間)에 길항적(拮抗的)으로 작용(作用)하여 두 성분(成分)의 유효도(有效度)를 저하(低下)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2.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수록 토양(土壤)의 pH가 상승(上昇)하였다. 3. 규산(珪酸)은 시용수준(施用水準)이 높을수록 수도체(水稻體)가 흡수(吸收)하는 규산(珪酸)의 양(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인산(燐酸)은 시용수준(施用水準)이 높아져도 체내(體內)의 인산(燐酸)의 양(量)은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4. 수도체(水稻體)에 의한 규산(珪酸)의 흡수(吸收)는 인산시용(燐酸施用)에 의해 뚜렷이 억제(抑制)되었으며 인산(燐酸)의 흡수(吸收)는 규산(珪酸)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 때에는 뚜렷이 억제(抑制)되었으나 규산(珪酸)의 시용량(施用量)이 그보다 낮을 경우에는 생육시기(生育時期) 및 수도체(水稻體)의 부위(部位)에 따라 인산(燐酸)의 흡수(吸收)가 억제(抑制) 또는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증시(增施)는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및 이삭중(重)을 증가(增加)시켰고, 건물량(乾物量)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 PDF

SCB 퇴비단 여과액비의 시용 수준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Yield with SCB Leachate Application Rates in Rice)

  • 류종원;박치호;윤태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31-642
    • /
    • 2012
  • 본 연구는 SCB 공정 여과액비 시용이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쌀의 미질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CB 여과액비 시용구는 농가관행 질소시용량인 13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80%, 100%, 130%에 해당되는 여과액비 화학비료 시용구를 대조구로 두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분얼수에서 생육초기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는 화학비료와 대등하였다. 여과액비 130%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분얼수가 많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각각 8%, 11% 낮아졌다. 벼의 정조수량은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는 대조구인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12~13% 증수되었다.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의 정조수량은 과다시용에 의한 등숙률과 천립중이 저하되어 화학비료시용구 대비 7% 감수되었다. 현미의 품질지수는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에서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다. 그러나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의 쌀 품질지수는 낮았다. SCB 여과액비 80~100% 범위의 적량시용은 벼 수량증수와 쌀 품질 향상이 가능하나 130%의 과다시용은 과번무로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져 수량감수를 초래하여 미질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SCB 여과액비 시용시 질소시용량의 11~13kg N/10a에 해당하는 여과액비의 시용량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秩栽培)에서 묘령(苗令)의 차이(差異)가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ransplanted - Seedling Age on the Herbicidal Phytotoxicity and Yield in Machine-Transplanted Rice)

  • 양환승;최연철;이진하;최은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8-254
    • /
    • 1990
  • 동일(同一) 포장(圃場)에 벼를 묘령별(苗令別)(8일묘(日苗), 20일묘(日苗), 35일묘(日苗))로 재식(栽植)한 후(後) butachlor, dithiopyr, pyrazolate 등의 각단제(各單劑) (pyrazolate는 8일묘(日苗)에만 사용(使用)) 및 dithiopyr+pyrazolate, dithiopyr+benzulfuron - methyl, butachlor+beansulfuron methyl(20일묘(日苗) 및 35일묘(日苗))에만 사용(使用)등의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여 초기약해(初期藥害) 및 생육(生育), 수량(收量)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묘령별(苗令別)로 각(各) 실행구(實行區)의 생육(生育), 수량구성요소수량(收量構成要素收量), 비교조사(比較調査)한 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단(但) 출수일자(出穗日字)는 8일묘(日苗)가 20일묘(日苗) 보다 2일(日) 늦고 35일묘(日苗) 보다는 6일(日) 늦었다. 2. 각(各) 묘령구(苗令區) 모두 공시제초제(供試除草劑)에 대하여 약해(藥害)는 동일(同一)하게 경미(輕微)하였고, 그후의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모두 실행구(實行區) 대비(對比)(56 DAT시(時))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3. 제초효과(除草效果)는 공시제초제(供試除草劑) 모두 우수 하였다. 4. 각(各)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수량(收量) 모두 각(各) 묘령별(苗齡別)의 실행구(實行區)에 비(比)하여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

벼 이앙재배에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이 잡초억제와 벼 생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ed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the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Condition in the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 ;;이상복;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8-265
    • /
    • 2010
  • 본 연구는 유기질 복합비료가 벼 재배 논에서 잡초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내 검정 시험에서 유기질 복합비료를 125~250kg $10a^{-1}$ 처리시 이앙벼는 지상부가 10.3~27.2% 증가하였고, 피는 50.3~89.2%의 출현이 억제되었으며, 사마귀풀은 낮은 처리량에서도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유기질 복합비료는 피, 물달개비, 사마귀풀에 대하여 담수심(1~5cm)이 깊을수록 높게 억제하였으나, 올방개와 같은 사초과 잡초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20{\sim}35^{\circ}C$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75.4~92.2%, 49.5~81.6%의 높은 출현억제율을 나타냈다.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 10일 후 낙수 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33.7%, 23.0%의 출현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 시험 후 토양의 유기물은 관행구에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벼의 생육은 초장 및 경수가 관행구 대비 적었으며 그 차이는 생육후기에 더 많이 나타났고, 벼의 수량은 관행구 대비 4% 감소하였다. 논잡초 억제 효과는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에서 60.5%로 관행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원격탐사 기반 맥류 작황 추정을 위한 최적 식생지수 선정 - UAV와 현장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 (Selection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for Estimation of Barley & Wheat Growth based on Remote Sensing - An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eld Investigation Data -)

  • 나상일;박찬원;정영근;강천식;최인배;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3-497
    • /
    • 2016
  • 무인항공기 영상은 작물의 생육단계에 따라 고해상도로 신속한 수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밀농업 관리를 위한 공간 변이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최적 식생지수를 선정하여 맥류 작황 추정식을 유도하는 것이다. 무인항공기 영상은 맥류 생육 기간인 2월 하순부터 6월 하순까지 6회에 걸쳐 촬영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5개 품종(큰알보리, 흰찰쌀보리, 새찰쌀보리, 금강밀, 조품밀)을 대상으로 휴대용 분광복사계를 이용하여 현장분광반사율을 측정하고 초장, 지상부건물중, 단위면적당 경수 등 생육인자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식생지수 중 RVI, NDVI, NGRDI 및 GLI가 생육인자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현장 생육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식생지수와 생육인자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종자(種子)의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에 의한 피의 분류(分類)와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Classification of Echinochloa Species Collected in Korea by Method of Seed Morphology and Their Response to Annual Herbicides)

  • 김길웅;김진협;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1-148
    • /
    • 1989
  • 전국(全國)의 각(各)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피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는 매우 큰 차이(差異)를 보였으나 Yabuno가 제시(提示)한 종자(種子)의 포영 길이와 생육습성(生育習性)에 따라 분류(分類)하면 E.oryzicola 와 E.crus-galli var. crus-galli, 및 var. praticola 로 대별(大別)할 수 있었다. E. oryzicol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벼와 유사(類似)하여 초장(草長)이 비교적 작고 직립형(直立型)으로 까락이 없으며 출수기(出穗期)가 대체로 늦은 편이었고 종내변이(種內變異)가 적었다. 그러나 E. crus-galli var. crus-galli 와 var. praticol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다양(多樣)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어서 외부형태(外部形態)만으로 분류(分類)가 어려웠다. E. crus-galli var. crus-galli의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수수장(穗穗長) 등(等)의 변이폭(燮異幅)이 매우 컸고 E. crus-galli var. praticola 도 비슷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피는 외형(外形)의 차이(差異)가 다양(多樣)함에도 불구하고 3정내외(種內外)로 분류(分類)되고 있으며 금후 세포학적(細胞學的)또는 생화학적(生化學的) 관찰(觀察)을 통(通)해 확정(確定)될 수 있을 것이다. 피 3종(種)의 제초제(除草劑)에 대(對)한 반응(反應)은 종내(種內)또는 종간(種間)에서 공(共)히 조사(調査)되었으며 상대적(相對的)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의 차이(差異)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오차드그라스 ( Dactylis glomerata L. ) 품종들의 예취에 따른 엽생장과 수량형성 II. 오차드그라스 품종들의 생장지수들과 건물수량과의 관계 (Leaf Growth and Forage Yield in Three Cultivars of Orchardgrass ( Dactylis glomerata L. ) over Cutting Stages II. Relationship between forage yield and growth indices)

  • 이호진;김훈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0-116
    • /
    • 1988
  • 1. 분얼수는 3차 예취기에서가장 많았으며, 이시기까지 계속 증가를 하였지만 가을 예취기에서 급격히 감소했다. 엽면적 지수는 3차 예취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통 예취직후 서서히 증가를 하다가 15~20일부터 빠르게 증가하였다. 2. 各 예취기 건물수량은 1次와 3次 ~예취가 다른 時期에 比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예취기별 건물중 變化는 葉面積 指數의 變化와 비슷한 樣相을 보이고 있었다. 3. LER은 예취후 20-30일l, SLW는 25-30日, CGR은 25~25日 사이에 最大速度에 도달했다. CGR은 1次 빛 3次 예취기에서 비교적 높았다. NAR은 約 20일 정도에 최대에 도달했는데, 棄乾物 重에는 NAR보다 다른 生長指標들이 더욱 크게 作用함을 알 수 있었다. 4. 乾物收量과 가장 높은 相關은 LAI와 CGR 으로서 각각 0.905와 0.962를 보여 고도의 正의 相關을 나타내였고 LER과 LAI 間에도 正의 相關인정되었다. 收量의 추정에 최적식은 LAI와 CGR을 변수로 사용하여 얻어 졌다. 5. LAI와 CGR 및 收量과의 관계로서 결정한 예취의 適期는 各 예취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32일에서 36일 사이에 존재하였다.

  • PDF

보리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분얼의 양상과 수량 (Effective Tillering Pattern and Grain Yield on Different Sowing Method in Barley)

  • 신만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48-555
    • /
    • 1995
  • 보리의 재배양식을 협폭파, 드릴파, 휴립광산파의 3양식으로 하여 이들 재배양식별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에 대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드릴파 > 협폭파 > 휴립광산파의 순위였으나 m$^2$당 입모본수는 휴립광산파가 334본/m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협폭파, 드릴파의 순이었다. 2. 유효개화한 분얼은 3재배양식 모두 주간, 1차분얼의 1, 2 이고 2차분얼의 11은 휴립광산파에서만 유효경화하였다. 얼자별 유효경율은 주간은 3처리 모두 100%이나 1차분얼의 1과 2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많았다. 3. 평균1수 영화수는 드릴파가 39.5립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고 얼자별로는 주간 > 1 > 2 > 11이었다. 1수 임실율은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으로 높았다. 4. 평균1수임실립수는 드릴파 > 휴립광산파 > 협폭파의 순이었고 평균 1수 완성립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천립중은 재배양식 또는 분얼경간에 크게 차이가 없었다. 5. 1수당 자실량은 드릴파가 가장 무거웠고 다음으로 휴립광산파, 협폭파의 순이었으며 분얼시험의 m 당 자실량은 협폭파 679.8g에 비하여 드릴파 874.7g, 휴립광산파 794.3g로 각각 29%와 17%가 증수되었다. 6. 실제평예조사시험의 유효경율은 46.2~54.1%로, 드릴파재배구가 가장 높았고 협폭파재배구에서 가장 낮았다. 7. 평예조사자실중은 협폭파 567.6kg에 비하여 드릴파 31%, 휴립광산파 15%가 각각 증수하였다.

  • PDF

새로운 유지작물 기름골의 재배기술과 사료가치 (Studies on the Cultivation Technique and Evaluation of Forage Resources for a New Oil Crop Chufa(Cyperus esculentus L.))

  • 성병렬;김종근;김원호;박희운;방진기;송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3-170
    • /
    • 2004
  • 새로 도입된 기름골의 적정 질소 시비량, 재식거리 및 파종기를 규명함과 동시에 수확 후 농업부산물인 경엽의 사료가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기름골의 질소시비에 대한 반응이 둔감하여 질소 시용량이 많을수록 생괴경의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10kg/10a 정도이며, 적정 재식거리는 휴폭 50cm, 주간거리 15∼20cm로 하여, 1본 2립씩 파종하는 것이 생괴경 수량성이 높곤 파종기는 파종전 5일간 침종한 후 5월 10일경에 파종할 경우 초장이 길고, 주당 괴경수도 많았다. 또한, 기름골 수집종의 사료 가치 평가에서 초장은 평균 126cm, $\m^2$당 경수는 671개, 도복은 중 정도이었으며, 괴경 수확 후 잎의 10a당 생초수량은 2,135kg, 건물수량은 590kg 정도이었으며, 사료가치는, 경엽의 조단백질 함량은 볏짚보다 약 2배 정도 높고 조지방도 다소 높으며 가축의 기호성은 볏짚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사일리지 품질특성 중 ADF 값은 볏짚보다 낮으며, NDF 및 가소화 양분 총량은 거의 같았고, 소화율은 11% 정도 높으므로서, 기름골 부산물인 경엽은 조사료로서의 이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인정된다.

가축액상분뇨 연용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Animal Liquid Slurry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ice)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58
    • /
    • 2007
  • 1. 액비 1년 시용구의 생육초기 벼의 분얼수 및 초장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낮았다. 액비 5년 연용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와 대등한 분얼수와 초장을 나타내었다. 2.수량구성요소에서 주당수수는 액비 5년 연용구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으나 등숙률은 낮아졌으며 수당영화수와 천립중은 처리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액비 5년 연용 시용구의 벼 수량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4% 증수되었다. 그러나 액비 1년 시용구에서는 6% 감수되었다. 벼 재배시에 액비 3년 시용구는 화학비료와 대등한 생산량를 나타내었다. 4. 액비 1년, 3년 시용구의 쌀 식미치는 72.6, 71.3점으로서 화학비료 시용구와 대등 하였다. 그러나 액비 5년 시용구의 쌀 식미치는 72.4로서 다소 높았으나 화학비료 시용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5. 가축액비 5년 연용 시용구의 토양은 유효인산 함량이 높아졌고 치환성 칼륨 함량이 $0.61cmol^+/kg$로서 화학비료 시용구의 $0.49cmol^+/kg$ 보다 높아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