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wave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31초

Expected Overtopping P개bability Considering Real Tide Occurrence

  • Kweonl, Hyuck-Min;Lee, Young-Yeol;Oh, Young-Mi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479-483
    • /
    • 2004
  • A new calculation method of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rubble mound breakwater considering real tide occurrence has been proposed. A calculation method of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rubble mound breakwater was proposed by Kweon and Suh (2003). In their calculation, the fluctuation of tidal elevation was expressed by the sinusoidal change that yields the uniform distribution of occurrence frequency. However, the realistic distribution of tidal elevation should influence on the overtopping chance. In this study,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idal elevation obtained from the real sea is included. The tidal elevation used in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the east coastal part of Korean peninsular. Analyzing the annual data of the tidal fluctuation measured hourly during 355 days, the distribution of occurrence frequency is formulated utilizing by the normal distribution with one peak. Among the calculation procedures of annual maximum wave height, wave height-period joint distribution, wave run-up height and occurrence frequency of tide, only the annual maximum wave height is again chosen randomly from normal distribution to consider the uncertainty. The others are treated by utilizing the distribution function or relationship itself, It is found that the inclusion of the variability of tidal elevation has great influence on the computation of the expected overtopping probability of rubble mound breakwater. The bigger standard deviation of occurrence frequency is, the lower the overtopping probability of rubble mound breakwater is.

  • PDF

경기만 조석조건에서의 파랑변이 (Tidal Variation of Waves in Kyung-Gi Bay)

  • 김지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5
    • /
    • 2000
  • 스펙트럼 천해파 모델을 두 가지의 다른 조위조건을 각기 합성하여 경기만 해역에 적용하였다 첫 번째의 조석과 파운동의 합성으로 일정 조위시 파운동의 파수보존식과 에너지 보존식만을 이용한 파랑수치모델링이다. 이와같은 일정조위시에는 조류가 존재하지 않는다 두 번째 조합은 조석의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 파운동의 파수보존식과 에너지 보존식을 동적으로 연계한 수치 모델링이다. 전해역에 조위를 일정하게 지정하였을 때 주요 참고 지점의 유의 파고 및 파향 등을 검토하였고 조석과 파랑을 연계수치 모델링하였을때에 산정되는 유의 파고와 파향 등을 일정 조위로 가정하고 산정되는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치모형의 계산결과시 조석조건에 따라 파고 및 파향의 변이가 심대하게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제주도 동부 해안대수층의 수리특성 산정과 지하수위 예측 (Estim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Eastern Coastal Aquifer of Jeju Island)

  • 조시범;전병칠;박은규;최광준;송성호;김기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61-672
    • /
    • 2014
  • Due to tidal force,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hydraulic parameters of high permeable aquifer near coastal area in Jeju Island. Therefore, to eliminate the impact of tidal force from groundwater level and estimate the hydraulic properties, tidal response technique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is study we have extracted 38 tidal constituents from groundwater level and harmonic constants including frequency, amplitude, and phase of each constituent using T_TIDE subroutine which is used to estimate oceanic tidal constituents, and then we have estimated hydraulic diffusivity associated with amplitude attenuation factor(that is the ratio of groundwater level amplitude to sea level amplitude for each tidal constituent) and phase lag(that is phase difference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sea level for each constituent). Also using harmonic constants for each constituent, we made the sinusoidal wave and then we constructed the synthesized wave which linearly combined sinusoidal wave. Finally, we could get residuals(net groundwater level) which was excluded most of tidal influences by eliminating synthesized wave from raw groundwater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statistics for synthesized level and net groundwater level, we found that the statistics for net groundwater level was more insignificant than those of synthesized wave. Moreover, in case of coastal aquifer which the impact of tidal force is even more than those of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ainfall and groundwater yield, it is possible to predict groundwater level using synthesized wave and regression analysis of residuals.

낙동강 하구의 조석과 유동 (Tide And Tidal Current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유청노;장선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1-77
    • /
    • 1979
  • 낙동강은 유역이 약 2.4 $10^{4}$$\textrm{km}^2$ 이고 길이가 525km에 달하는 대하천으로 농업, 공업, 생활용수 등 영남지방의 용수 공급원으로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하구역 에서 천해어장, 홍수대책, 하도개수, 간척, 매립 등 다양한 이용개발이 계획 또는 실시 되고 있다. 따라서 이 하구역의 효육적 이용과 관리를 위하여는 하구수의 유동을 지배하는 요인인 하천조석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불가결하다.

  • PDF

Ocean tide-induced secular variation in the Earth-Moon dynamics

  • Uchida, Natsuki;Shima, Hiroyuki
    • Coupled systems mechanics
    • /
    • 제7권5호
    • /
    • pp.611-626
    • /
    • 2018
  • We theoretically consider a possible influence of periodic oceanic tides on non-periodic changes in the dynamics of the Earth and Moon over a long time scale. A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contribution from rotating tidal waves, which rotate along the inner edge of an oceanic basin surrounded by topographic boundary. We formulate the angular momentum and the mechanical energy of the rotating tidal wave in terms of celestial parameters with regard to the Earth and Moon. The obtained formula are used to discuss how the energy dissipation in the rotating tidal wave should be relevant to the secular variation in the Earth's spin rotation and the Earth-Moon distance. We also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e formula to general oceanic binary planets subject to tidal coupling.

조파역내 오염물 이동특성 평가 실험 (Experiments for the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Pollutant Transport in Tidal Influenced Region)

  • 박건형;김기철;정성희;서경석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91-395
    • /
    • 2010
  • The characteristics for pollutant transport in tidal influenced area was investigated using tidal wave hydraulic scale model. Hydraulic scale model was composed of the tidal generator, attenuation area and channel. Also, wave height, current meter and conductivity meter were used with the measured instruments in hydraulic scale model. NaCl with a tracer was used to evaluate the advection phenomena under the different velocity profiles. The arrival time of the maximum concentration in the condition of the relatively fast velocity was measured about 30 seconds faster than ones in the conditions of low velocity.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the tracer were shown in the detection points of the flow direction consecutively.

국내 해양에너지 이론적 잠재량 산정 연구 (Resource Assessment of Theoretical Potential of Ocean Energy in Korea)

  • 황수진;조철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465-472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ource assessment of theoretical potential of ocean energy including tidal current energy, tidal range energy, wave energy and ocean thermal energy in Korea to provide reliable basis for feasible development plan of ocean energy. Because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ocean energy resources, the resource assessment method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ch ocean energy resources. The coastal region of Korea has been divided into 10 regions. The results show that tidal current energy is abundant in Incheon-Gyunggi and Jeollanam-do and tidal range energy is abundant in Incheon-Gyunggi. And wave energy is abundant in Jeollanam-do, Jeju and Gyeongsangbuk-do and there is ocean thermal energy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인천만 조력에너지 개발을 위한 GIS 데이터모델링 (GIS Data Modeling Plan for Tidal Power Energy Development in Incheon Bay of Korea)

  • 오정희;최현우;박진순;이광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6.2-166.2
    • /
    • 2011
  • Incheon Bay of Korea is one of the most famous regions for high tidal rang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has implemented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tidal power energy development in this area since 2006. Through field observations, various kinds of marine data consisting of depth and geography, marine weather, tidal currents, wave, seawater characteristics, geology, marine ecosystem and marine environment were gathered. To use these data efficiently for the determining of feasibility of developing and appropriateness of project scale, spatial data management and application system is essentia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methodology and procedure of spatial data modeling are defined for tidal energy development. Spatial data modeling consists of essential model relating to tidal energy directly and optional model including environmental factors. Essential model is composed with fundamental elements like as depth, geography, and several numerical modeling results(tide, tidal current, wave).

  • PDF

연안해역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 침투이론의 비교와 정량화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Seawater Infiltration by Wave Action in Coastal Zone)

  • 정정조;최두형;김태근;강전광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11
    • /
    • 2001
  • 조간대와 같은 연안지역에서 해수의 토양 이동이 가지는 의미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생존에 필수적인 플랑크톤, 박테리아, 유기쇄설물, 산소, 영양염, 유기물의 생물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역과 같이 파도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조간대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의 침투거동을 해석하고, 파도에너지와 사면 구배의 변화에 따른 해수의 침투량 변화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폐쇄성 수역과 같은 파도에너지가 작은 조간대에서는 파도에 의해서 해수가 반원형의 형태로 토양중으로 침투하는 semi-circular mechanism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침투 거동임을 알 수 있었다. 구배 또는 쇄파파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수는 쇄파파고 보다는 구배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토양중으로 침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현장토양을 이용하여 해수의 침투량을 정량화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먹이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요망한다.

  • PDF

감조하천에서 조석 전파 및 조석비대칭 (Propagation of tidal wave and resulted tidal asymmetry upward tidal rivers)

  • 강주환;조홍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433-442
    • /
    • 2021
  • 하구역으로부터 감조하천 상류로 전파되는 조석파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 연안에서 천문조인 M2분조와 천해조인 M4분조에 대한 조화상수를 분석해 조석비대칭 현상을 파악하였다. 하구역에서 천해조가 크게 발달함에 따라 한강과 금강의 경우 창조우세, 영산강의 경우 낙조우세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석비대칭 현상은 조류속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재확인할 수 있다. 조류속 분석 결과 왕복성 조류패턴을 보이는 금강하구와 영산강하구의 경우와는 달리 한강하구의 경우 강화도 주변의 복잡한 지형 및 수로에 기인하여 회전성 조류패턴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잔차류를 제거할 경우 조류속 관측자료 역시 조위와 일관된 창낙조우세를 보이고 있다. 하구역에서 형성된 조석비대칭 현상은 조석파가 감조하천 상류로 전파되면서 천해조의 성장과 더불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하천의 마찰특성과 단면형상에 따라 조석파의 전파양상에도 차이가 발생하여 수심이 얕은 한강과 금강의 경우 SD하구로 분류되어 에너지 소산이 매우 큰 반면 수심이 깊은 영산강의 경우 WD하구로 분류되어 에너지 소산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