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ughts of Suicid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Effect of Family Flexibility on the Idea of Adolescents Suicide -The Senior Year of High school Boys-)

  • 서신자;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62-274
    • /
    • 2013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08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통계처리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AMOS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신념체계는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또한, 신념체계는 의사소통을 매개로한 자살생각에 간접효과를 주었다. 이에 가족 간의 화목을 강조한다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사고가 절감되기 때문에 가족의 신념을 높이고, 부모-자녀 간에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폭력경험과 자아존중감이 북한이탈여성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s Experiences of Social Violence and Self-esteem on Suicidal Thoughts)

  • 성정현;김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61-772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과 학교 등 사회적 장면에서 경험한 폭력 경험과 자아존중감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2017)의 북한이탈여성의 폭력피해실태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폭력 경험 실태를 알아보고, 사회적 폭력 경험과 자아존중감, 자살 생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 폭력 경험은 자살 생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자살 생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사회적 폭력 경험이 있는 경우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 폭력 예방,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 Using MMPI-2-RF)

  • 남지수;김대호;김은경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8-19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 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 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 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시지역 청소년의 건강 위험 행위 실태조사 (Youth Health Risk Behavior Survey on Adolescents in Urban Setting)

  • 탁영란;윤이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4
    • /
    • 2007
  • Purpose : Health Risk behaviors are a leading cause of preventable morbidity and mortality. Adolescents is a critical transitional period for establishing health behavior for health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types and frequency of the health risk behaviors being performed by middle school students, examine the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of health risk behavior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risk behaviors. Methods : A total of 1952 early adolescents recruited from 7 middle schools in a district of urban setting completed questionnaires. Youth Risk Behavior Survey-Middle school questionnaires was used to identify the types of health risk behaviors among early adolescent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using SAS program .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e frequency for most health risk behaviors and increased with advancing grade level. Male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s to behaviors related to smoking and violence, whereas females were more likely than males to have suicidal thoughts, be physical inactive and attempt to lose weight. Among health risk behaviors, the relationship of alcohol experience, smoking, and suicide was high. Conclusion : The findings identify a high risk target group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and suggest that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types with gender and grade, and provided the evidence that one of health risk behaviors may induce the other health risk behaviors.

청소년의 자살 가능성에 대한 임상 평가 (Assessing Suicidality in Adolescents)

  • ;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2호
    • /
    • pp.98-105
    • /
    • 2006
  • Objectives : To consider which questions are most useful clinically and to find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suicidality or risk of suicide for adolescents. Methods : Authors reviewed and integrated both clinical works and researches about measures used to evaluate suicidal behaviors in adolescents. Results : The 'cascade approach' for assessment of suicidality was develope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istress' leads to an entry question to do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whether it is worth living. These two questions lead to examinations of 'thoughts' which may lead to 'plans' which leads to 'threats' which then leads to 'deliberate self injury' and then on to a history of 'past suicide attempts'. Authors also suggested to use a summed score of cascade approach in clinical decisions and showed how to modify it up to different evaluation situations. Focusing on the good things helps not only to qualify suicidality but also to begin the search for solutions. Conclusion : In the clinical assessment process, while scales assist the clinician, there is nothing to supplant a sensitive clinical approach. The 'cascade approach' was proposed as a framework for assessing adolescents for suicidality.

  • PDF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증상, 우울, 강박성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Psychopathology, Obsessive-Compulsion and Depression on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공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9-46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that might influence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n=135) who visited "M" clinic for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ugust 2007 using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Beck Depression Inventory,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and Self-Harm Inventory (SHI).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d high on self-harm as well as on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On the SHI, a high frequency of self harm behavior such as 'torturing self with self-defeating thoughts', 'abused alcohol', 'hit self', and 'suicide attempt' were found for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st eating psychopathology variables, depression, obsessive-compulsion, and self-harm behavior. 'Interoceptive awarenes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checking' (obsessive-compul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harm behavior. Conclusion: Futur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should focus on assessing the possibility of self-harm and suicidal attempt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 levels of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or obsessive-compulsion. Early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self-harm and suicide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여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가 우울감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on Depressive Mood and Suicide Ideation in Female Adolescents)

  • 송만규;하지현;박두흠;유승호;오정현;유재학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40-47
    • /
    • 2010
  • 연구목적 : 자기신체상은 자아존중감과 체중조절행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고 특히 여자 청소년에서는 중요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이 연구는 체질량지수로 측정한 신체이미지와 식이장애와 연관된 비정상식이행동이 우울증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한 지역의 고등학교 여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를 측정하고, 청소년을 위한 식이태도검사(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자아존중감척도, 충동성척도, 벡 우울척도, 벡 자살사고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에서 식이장애 위험군은 총 10%(24명)이었다.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상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고 현재 체질량지수와 이상적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클수록 우울감, 자살사고, 비정상적 식이행동의 정도가 커지고 자아존중감은 낮아졌다. 그중에서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가장 의미있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 연구대상군이 전체적으로 정상체중 범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체형과 이상적 체형사이의 괴리가 클수록 우울과 자살사고가 컸다. 여자 청소년의 식이장애 발생과 우울, 자살사고의 예방을 위해 체중조절, 정상식이습관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머신러닝 기반 한국 청소년의 자살 생각 예측 모델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 of Suicidal Thoughts among Korean Adolescents.)

  • YeaJu JIN;HyunKi KIM
    • Journal of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Association
    • /
    • 제1권1호
    • /
    • pp.1-6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models using decision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s to predict and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1,407 individuals after removing missing data from the raw data of the 18th (2022)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S Azure program with Two-Class Decision Forest, Two-Class Support Vector Machine, and Two-Class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cision forest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4.8% and an F1-score of 36.7%. The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6.3% and an F1-score of 24.5%.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7.2% and an F1-score of 40.1%. Apply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SMOTE to address data imbalance resulted in an accuracy of 81.7% and an F1-score of 57.7%. Although the accuracy slightly decreased, the recall, precision, and F1-score improved,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youth suicide.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 예방에 미치는 영향 - 성별, 학년, 학교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High School Students on the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Grader and School Type -)

  • 김영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3-205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자살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 고등학생 자살의 위험 요인이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어떤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 세 가지 하위요인을 친구지지, 교사지지, 부모지지로 구분하고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자살생각을 종속변수, 성별, 학년, 학교유형을 조절변수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지지, 친구지지, 부모지지 모두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생각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인문계 학생이 전문계 학생보다 더 높았다. 셋째, 친구지지와 부모지지가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컸다. 넷째, 교사지지와 부모지지가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2학년보다 1학년이 더 컸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일선 고등학교 교사들과 인터뷰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의 자살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고 정책적 수단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우울과 삶의 질이 노인의 자살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n Suicidal Intention of the Elderly)

  • 김진희;윤정숙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7-77
    • /
    • 2020
  • Purpose : Recently, Korea has entered an aging society due to the steadily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dditionally, elderly suicidal rate in Korea is the high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ecause old age is a time when all functions are weakened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negative experiences, including depression and poor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may lead to suicidal intention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the elderly and their suicidal intentions.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 to March 31, 2019 by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targeting people aged ≥ 65 years, who were registered at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U-city, Gyeonggi-do. In total, 1,015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The χ2 tes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uicidal intentions of the elderly subjects. The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ntention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subjects. Results :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168 people (16.6 %) had thought of suicide and 3.2 % had actually tried to commit suicide. The reasons for suicidal thoughts were family problems in 60 (5.6 %), economic problems in 49 (4.6 %), and physical illness in 44 (4.1 %). Those with suicidal intentions ha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11.712, p<.001) and higher quality of life scores (t=-9.565, p<.001).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a suicide prevention policy and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elderly'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