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oughbred 말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초

제주마에서 Myostatin 유전자 변이 특성 구명 (Characterization of Myostatin Gene Variants in Jeju Horses)

  • 최재영;신광윤;이종안;신상민;강용준;신문철;조인철;양병철;김남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088-1093
    • /
    • 2021
  • 제주마는 한국의 말 품종으로 제주도에서 오랜 기간 자생하여 왔다. 제주마의 기원은 몽골마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제주마와 몽골 토종마를 비교 한 결과, 유전적으로 가까우나 제주마가 몽고마와 독립적으로 진화해 온 것으로 보고되었다. 제주마는 경주마로 이용되어 경주 능력이 주요한 경제 형질로 활용되고 있다. Myostatin (MSTN) 유전자는 다양한 포유류에서 골격근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Thoroughbred에서 MSTN 유전자 내 존재하는 변이가 경주 능력 및 스태미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제주마 1,433두를 포함하여 여러 말 품종의 MSTN 유전자내 변이 빈도를 비교하였다. MSTN 유전자의 g.66493737 변이 중 장거리 적성 유전자형(TT)의 경우 제주마에서 빈도가 0.826으로 한라마(0.285) 및 Thoroughbred (0.252)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연구를 참고하여 8종 말에서 g.66493737 빈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경주마로 활용되는 품종은 CC형의 빈도가 높았으나, TT형의 빈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대로 승용마 및 역용마 등의 품종은 TT형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마의 경주 거리(400 m, 800 m, 900 m, 1,000 m, 1,110 m, 1,200 m)별로 유전자형과 도착 기록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1,000 m 이하의 경주에서는 CT형이 TT형보다 더 빠른 도달 기록을 보였다. 그러나 1,110 m 이상의 경주에서는 거의 동일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의 MSTN 유전자 변이가 경주 거리 적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연구를 통해 제주마에서 경주 거리 적성 및 경주 능력과 연관된 마커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우수 마 선택을 위한 최신 전략 (Recent Strategy for Superior Horses)

  • 김정안;김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55-867
    • /
    • 2016
  • 말은 인류에 의해 상대적으로 일찍 가축화된 종 중 하나로써, 경주능력, 강건성 및 항병성 등과 같은 능력을 위해 인공적으로 선택되었다. 그 결과, 현재 경주마로 많이 쓰이고 있는 서러브레드의 게놈은 운동 능력에 특화된 유전자형을 많이 갖고 있다. 최근 NGS 기술의 도래와 함께 전장게놈을 대상으로 경주마의 우수한 유전형질을 찾는 연구가 유전체학의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말의 게놈에 대해서도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가 적용되고 있고, 우수 경주능력을 나타내는 유전자 마커가 발굴되고 있다. 아울러, 특정 샘플의 전장 전사체를 NGS 기법으로 분석할 수 있는 RNA-Seq 기법 역시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각 개체별, 운동 전후, 한 개체의 조직별 특정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함께 전사체의 서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DNA 서열의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강력한 인자로써 DNA methylation이 주목받고 있다. 말의 게놈에 있어서도 운동 특이적 또는 개체 특이적 DNA methylation 패턴을 보여 주었고, 이는 우수 개체 선정을 위한 마커 개발에 좋은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다.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miRNA와, 포유동물의 유전체 내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이동성 유전인자는 기능유전체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들이다. 이들은 인간의 게놈에서 많이 연구가 되어 왔으나, 말에서의 연구는 현재 미미한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말에서 되어 있는 위의 두 인자에 대한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 차후 우수 마 선별 연구에 적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능유전체 및 후성유전체 분석 기법이 발전함에 따라 말에서도 본 연구에서 소개된 여러 가지 분석 기법이 적용되고, 우수한 경주마를 선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현재까지의 우수한 경주마를 선택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 및, 말 연구에 대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 토의하였다.

한국에서 사육되는 고양이, 말, 소로부터 Anaplasma phagocytophilum과 Ehrlichia chaffeensis에 대한 항체 검출 (Detection of Antibodies Reacting with Anaplasma phagocytophilum and Ehrlichia chaffeensis from Cats, Horses and Cattle in Korea)

  • 채준석;허은정;박진호;최경성;;이성수;강태영;양재혁;김도영;김준규;최귀철;강문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15-519
    • /
    • 2009
  • 국내 전주, 광주 그리고 제주에서 고양이, 더러브렛 말, 홀스테인 소로부터 진드기 매개성 인수공통 병원체인 Anaplasma phagocytophilum과 Ehrlichia chaffeensis에 대한 항체가 조사를 위하여 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54마리의 혈청(33마리의 애완 및 길거리 고양이, 92마리의 방목장 말 그리고 129마리의 방목장소)을 수집하였다. 33마리의 고양이 중에서 6마리가 A. phagocytophilum(titer $\geq$ 80)에 대한 양성항체가 검출되어 18.2%의 양성율을 나타내었으며, 1마리에 있어서는 E. chaffeensis에 대한 항체가 검출되어 3%의 양성율을 나타내었다. 소에 있어서는 129마리 중에서 1마리에서 그리고 말에 있어서는 92마리 중에서 2마리에서 A. phagocytophilum에 대한 양성항체가 검출되어 각각 0.8%와 2.2%의 양성율을 나타내었으나 E. chaffeensis에 대한 항체는 모두 음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국내 사육 고양이, 말 그리고 소에 있어서 A. phagocytophilum과 E. chaffeensis에 대한 혈청학적 양성결과로서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자연감염 예이며, 진드기 서식지역의 방목동물에서는 이들 질병의 감염으로 경제성 손실이 우려되며 예방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러브렛 말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의 RAPD 분석 및 약제 감수성 (RAPD Analysi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 Isolated from Thoroughbred Horses)

  • 최성균;박용수;조광현;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49-654
    • /
    • 2010
  •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는 말의 생식기 질환을 유발하는 중요한 병원체 중 하나로서 국내 말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제주도에서 사육중인 더러브렛 암말의 유산태아 및 그 말의 자궁내용물과 장수목장에서 암말의 교배전 생식기 질환이 의심되는 말의 질 내용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을 분리하여 그 분리균의 특성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RAPD typing에서는 크게 4개의 cluster로 구분되었다. 특히 제주도에서 분리한 균주와 장수목장에서 분리한 하나의 균주가 동일한 pattern을 나타내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대부분의 균주가 ampicillin 등의 약제에 감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사육중인 암말의 생식기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이산화탄소성 Streptococcus equi subspecies equi에 의한 선역의 발생 (Outbreaks of Strangles due to Capnophilic Streptococcus equi subsp equi in South Korea)

  • 문자호;김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44
    • /
    • 2015
  • 이 연구는 더러브렛 말에서 호이산화탄소성 Streptococcus equi subsp equi 에 기인한 선역의 발생에 관한 보고이다. 3개의 다른 농장에서 선역의 전형적인 증상인 림프절 화농이 있거나 없는 29두의 말에서 17 균주의 S equi subsp equi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 임상증상이 있는 1두에서 분리한2균주는 호기배양에서 분리되었으나, 임상증상이 있는 6두에서 분리한 7균주와 임상증상이 없는 22두에서 분리한 8균주는 호기조건에서 배양되지 않았다. 이 15 분리균주는 일반 호기배양기에서는 증식하지 않았으며, 5% $CO_2$배양기, 산소분압을 낮추는 candle jar 및 GasPak을 이용한 혐기배양에서 증식하는 호이산화탄소성, 산소민감성 또는 이산화탄소 요구성 S. equi subsp. equi로 판명되었다. 이 연구는 호이산화탄소성 S. equi subsp. equi 에 의한 선역발생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말의 요추골유합과 요추골변형의 증례 (Some cases of fused and deformed lumbar vertebrae in equine)

  • 김종섭;강병일;고필옥;조규완;허찬권;원청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
    • /
    • 2004
  • The fused and deformed lumbar vertebrae (L) of Thoroughbred horses were observed macroscopically. Results revealed five L in two cases, and six L in three cases. In two cases, the last two lumbar vertebrae were fused with each other. One case of the fused lumbar vertebra was observed in a horse with five L and the other in that with six L. In one case, the facet of second last lumbar vertebra was articulated with its anterior lumbar vertebra. On the other hand, four cases had the caudal border on the lateral tip of the lumbar transverse proces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cranial border of the following lumbar transverse process. In these cases, cranial and caudal tubers were formed on the overlapped part of the lumbar transverse process.

제주지역 말 방목 초지의 혼파조합별 생산성 및 채식율 변화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in Different Mixtures Grazed by Thoroughbred Horses)

  • 이종언;박남건;박형수;오운용;고문석;김동훈;강동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28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티모시, 오차드그라슨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화본과 위주 초종으로 혼파 파종하여 2년 간 말(더러브렛)을 방목하면서 목초생산성, 식생변화 및 채식율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간 총 건물생산량은 1, 2차년도에 관계없이 혼파조합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에 따라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식생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봄철 크게 우점현상을 보였으나 여름철에는 하고 현상으로 식생구성이 낮게 나타났다. 방목 첫 해 티모시는 식생비율이 낮았으나, 그 후에는 연중 적절한 식생 구성을 보였다. 채식율은 티모시 주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물체 NDF, ADF, Ca 및 P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해발 400m 내외)애서 티모시 주초종(ha 당 티모시 20, 오차드그리스 5,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5, 화이트클로버 2kg)의 혼파조합은 시기별 생산성과 기호성을 고려할 때 말 방목초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러브렛 경주마의 체중변화가 주파기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ange of Body Weight on Racing Time in Thoroughbred Racehorses)

  • 조광현;손삼규;조병욱;이학교;공홍식;전광주;박경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741-746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마사회로부터 수집한 8,197두의 경주기록 총 155,656개를 이용하여 더러브렛 경주마의 체중변화가 주파기록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 더러브렛 경주마의 평균 체중은 449kg 이었으며, 거세말, 수말과 암말의 평균 체중은 각각 460kg, 454kg과 441kg으로 수말의 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말의 경우 체중의 감소는 3월, 4월과 5월사이에 가장 크게 나타나며, 수말과 거세마의 경우 5월, 6월과 7월에 체중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경주마의 체중은 봄과 여름에 감소하며, 가을과 겨울에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주파기록에 대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각각 0.237과 0.525였으며, 체중에 대한 유전력은 0.612로 추정되었다. 직전 경주 대비 체중의 변화가 ±10kg 이상일 때 주파기록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직전 경주 대비 체중의 변화가 ±20kg인 경우는 ±5kg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주파기록의 차이가 0.3초 정도 증가하였다. 체중의 변화가 체중에 비례하여 ±0.5% 정도 변화하였을 때 주파기록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체중의 변화가 체중 대비 ±2.5% 이상이 되면 경주능력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말에서 국내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의 수입산 티모시 건초 대체 효과 (Replacement of Imported Timothy Hay with Domestic Italian Ryegrass Silage in a Horse Feedstuff)

  • 김지융;손진;이배훈;김병완;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4-49
    • /
    • 2020
  • 본 연구는 수입산 티모시 건초(TH)를 국내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IRGS)로 대체할 목적으로, 말에서 급여사료 중 TH 대신 IRGS의 대체급여 가능성을 사료품질, 영양소소화율 및 사료가격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실험 처리는 공시동물에게 급여 사료 중 TH를 급여한 대조구와 TH대신 IRGS를 대체 급여한 처리구로 하였다. 소화실험은 한국마사회 원당종마목장의 더러브렛 6두(평균체중 475.7±33.3kg)로 대조구와 처리구에 각 3두를 배치하여 전분채취법으로 수행하였다. 사료성분과 상대적사료가치(RFV)는 IRGS가 TH보다 높았으며 IRGS의 발효품질도 양호하여 말의 풀사료로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양소소화율, 가소화에너지총량(TDN) 및 가소화에너지(DE)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의 차이가 없어(p>0.05) TH를 IRGS로 대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급여사료 중 TH와 IRGS의 사료비는 IRGS가 TH 보다 53.7~62.4%로 현저히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사료비 절감 측면에서도 IRGS가 유리하였다. 이상에서 IRGS는TH와 영양소소화율, TDN함량 및 DE에서 차이가 없고 사료성분, RFV 및 사료비 측면에서 유리하여 수입산 TH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icrosatellite DNA를 이용한 말 집단의 유전적 특성 및 유연 관계 (Genetic 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s Using Microsatellite DNA Loci in Horse Breeds.)

  • 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9-705
    • /
    • 2007
  • 말 6개 품종 192두를 대상으로 17개의 microsatellite DNA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자(DNA)형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제주마에서 각 marker별로 대립유전자의 수는 5-10개(평균 7.35개)로 분포하였고 제주마에서 관찰된 대립유전자는 총 125개가 관찰되어 평균 좌위 당 7.35개로서 몽고마의 130개(평균 7.65개)보다는 낮은 수치였다. 또한 AHT5 marker에서 대립유전자 P, ASB23 marker에서 대립유전자 Q와 R, CA425 marker에서 대립유전자 H, HMS3 marker에서 대립유전자 S, HTG10 marker에서 대립유전자 J, LEX3 marker에서 대립유전자 J 등 6개 marker에서 7개의 특이 대립유전자가 관찰되었다. 관찰된 이형접합성(observed heterozygosity)과 기대된 이형접합성(expected heterozygosity)은 각각 0.429-0.905(평균 0.703)와 0.387-0.841(평균 0.702)로 관찰되었고 다량정보량(PIC)은 0.354(HTG6)-0.816(LEX3)로서 평균 0.659로 나타났으며 17개 marker중 AHT4, AHT5, CA425, HMS2, HMS3, HTG10, LEX3, VHL20 marker 등이 다량정보량(PIC) 0.7 이상을 나타내었다. 17개 marker에 대한 전체 부권부정율(친부마 혹은 친모마 하나의 유전자형을 알고 있을 경우)을 제주마에 적용 시 99.99%로 나타났다. 말 6개 품종별로 분석하였을 때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7.64개(몽고마)-4.23개(미니츄어 말)로 분포하였고 17개 marker 전체에서는 153개의 대립유전자가 검출되었다. 품종별로 분석한 결과 기대된 이형접합성(expected heterozygosity)과 관찰된 이형접합성(observed heterozygosity)은 각각 0.7950$\pm$0.0141(몽고마)-0.6751$\pm$0.0378(미니츄어 말), 0.7135$\pm$0.0180(제주경주마)-0.5621$\pm$0.0401(미니츄어 말)로 나타났다. 말 6개 품종을 17개 microsatellite marker로 분석한 결과 몽고마, 제주마, 제주경주마 등의 순으로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였다. 제주마와 가장 가까운 유전적 유연 관계를 나타낸 집단은 몽고마로서 Da genetic distance에서 0.1517로 나타났고, 제주경주마와는 0.2628의 유전적 거리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