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oracoscop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6초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n Minimally Invasive Esophagectomy

  • Kawakubo, Hirofumi;Takeuchi, Hiryoya;Kitagawa, Yuk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4호
    • /
    • pp.241-248
    • /
    • 2013
  • Esophageal cancer has one of the highest malignant potentials of any type of tumor. The 3-field lymph node dissection is the standard procedure in Japan for surgically curable esophageal cancer in the middle or upper thoracic esophagus. Minimally invasive esophagectomy is being increasingly performed in many countries, and several studies report its feasibility and curability; further, the magnifying effect of the thoracoscope is another distinct advantage.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that minimally invasive esophagectomy is more beneficial than open esophagectomy. A recent meta-analysis revealed that minimally invasive esophagectomy reduces blood loss, respiratory complications, the total morbidity rate, and hospitalization duration. A randomized study reported that the pulmonary infection rate, pain score, intraoperative blood loss, hospitalization duration, and postoperative 6-week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better with the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than with other procedures. In the future, sentinel lymph node mapping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by obtaining individualized information to customize the surgical procedure for individual patients' specific needs.

자연기흉의 개흉술 적응과 수술성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cation for Thoracotomy and Operation Result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재원;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1호
    • /
    • pp.39-47
    • /
    • 1987
  • The records of 268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pontaneous pneumothorax during the period 1975 to 1984,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gical intervention on each indications. Of these,.61 patients [22.8%] were taken operation to treat the pneumothorax after closed thoracostomy. We have classified the 61 patient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n each indications. And the therapeutic effect is based on the chest tube indwelling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est tube indwelling days of the group who were taken closed thoracostomy only was average 14.13*9.17 days [range 5-66 days], and that of the group who were finally taken the thoracotomy after closed thoracostomy was 21.85*12.30 days [range 5-55 days]. 2. The indications of thoractomy were thoracoscopic findings, recurrence and continuous air leakage. 3. The chest tube indwelling day of the group who was taken thoracotomy by thoracoscopic findings was average 11.67*6.51 day, that wa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groups. 4. The continuous air leakage group after closed thoracostomy was subdivided into three subgroups, continuous air leakage in 1st attack, thoracoscopic findings in 1st attack, and recurrence. 5. Of these, the chest tube indwelling day of the subgroup, who was taken operation by thoracoscopic findings, was 21.33e8.26, that was relatively short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subgroups. We use the thoracoscope as excellent diagnostic tool to detect the operation indication in the spontaneous pneumothorax patients. And we gain the benefits to shorten the chest tube indwelling days and admission days, and also to protect the recurrence.

  • PDF

Acute Diaphragmatic Injuries Associated with Traumatic Rib Fractures: Experiences of a Major Trauma Centre and the Importance of Intra-Pleural Assessment

  • Hussain, Azhar;Hunt, I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1호
    • /
    • pp.59-64
    • /
    • 2021
  • Background: Diaphragmatic injuries following blunt or penetrating thoraco-abdominal trauma are rare, but can be life-threatening. Rib fractures are the most common associated injury in patients with a traumatic diaphragmatic injury (TDI). We hypothesized that the pattern of rib fracture injuries could dictate the likelihood of acute TDI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April 2014 and October 2018 to analyze patients with TDIs and rib fractures at a major trauma center in London, United Kingdom. Results: Over the study period, 1,560 patients had rib fractures, of whom 14 had associated diaphragmatic injuries. Left-sided diaphragmatic injuries were found in 8 patients (57%).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rib fractures were located posterolaterally (44.9%). The highest frequency of fractures was found in ribs 5-10, which accounted for 74% of all the fractures. Ten patients underwent surgery, of whom 7 were diagnosed with a diaphragmatic injury intraoperatively after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assessment of the pleural cavity. Two patients died due to severe injuries of other organs and the remaining 2 patients were managed conservatively. Conclusion: Our series of patients demon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rib fractures and diaphragmatic injuries in trauma patients, and the diagnostic difficulties in identifying the condition. We found that the location of the rib fractures and the pattern of injury in patients with TDIs were much lower and posterolateral in the chest wall without a preference for laterality. We suggest using a thoracoscope in patients undergoing chest wall surgery post-trauma to aid in diagnosing this condition.

Clinical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tabilization of Rib Fractures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Chae-Min Bae;Shin-Ah Son;Yong Jik Lee;Sang Cjeol L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2호
    • /
    • pp.120-125
    • /
    • 2023
  • Background: Multiple rib fractures are common in blunt chest trauma. Until recently, most surgical rib fixations for multiple rib fractures were performed via open thoracotomy. However, due to the invasive nature of tissue dissection and the resulting large wound, an alternative endoscopic approach has emerged that minimize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aused by the manipulation of injured tissue and lung during an open thoracotomy. Methods: Our study concentrated on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who underwent surgical stabilization of rib fractures (SSRF) between June 2018 and May 2020. We found 27 patients who underwent SSRF us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The study design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patients' charts and surgical records. Results: No intraoperative events or procedure-related deaths occurred. Implant-related irritation occurred in 4 patients, and 1 death resulted from concomitant trauma. The average hospital stay was 30.2±20.1 days, and ventilators were used for 12 of the 22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None of the patients experienced major pulmonary complications such as pneumonia or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rib stabilization surgery with the assistance of a thoracoscope is expected to become more widely used in patients with multiple rib fractures. This method will also assist patients in a quick recovery.

자연기흉에서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2 mm Video-thoracoscopic Examination and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for Spontaneous Pneumothoarx Patients)

  • 이송암;지현근;황재준;조성준;이성호;김광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362-368
    • /
    • 2007
  • 배경: 자연기흉 환자에 있어서 폐기포가 존재할 경우 수술의 적응증이며, 폐기포 진단을 위한 많은 객관적 검사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자연기흉에 대해 기존의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자연기흉으로 입원한 환자 중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를 모두 시행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포의 크기가 5 mm 이상인 경우를 의미 있는 폐기포로 간주하였다.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상 의미 있는 폐기포가 발견된 18예와 출혈이 관찰되었던 1예에서 흉강경하 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5예는 폐쇄식 흉강삽관술만으로 치료를 하였다. 결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상 52.9% (18/34)에서 의미 있는 폐기포가 관찰되었다. 수술을 시행한 19명의 환자에서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의 진단 정확도는 94.7% (18/19)로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의 13.7% (14/19)보다 높았다. 평균 $30{\pm}3$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중 수술군과 비수술군에서 재발은 없었다. 걸론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는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는 기존에 사용되던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으며, 자연기흉 환자에 대한 수술여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대안적 검사법이라 생각된다.

흉강경시 $CO_2$에 의한 혈역학적 영향 (Hemodynamics Effects of $CO_2$ Insufflation During Thoracoscopy)

  • 손동섭;원경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23-727
    • /
    • 1996
  • 흉강경수술시 적 절한 수술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때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폐를 허 탈시키고 환자의 위 치를 변경함으로서 수술 시야를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보고에 의하면 돼지에 서 흥강경 시행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좋지 않은 혈역학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 다. 그래서 본 저자는 흥강경을 시행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작전, 일측환기시, 흥강내압이 SmrnHg, 10minHg, 15rnrnHg 변화시 평균혈압, 심박동수, 중심정맥 압, 동맥산소포화도, 환기말이산화 탄소분압등의 혈역학적 인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작전 기준치와 일측폐환기시 및 흥강내압 변화시 측정한 평균혈압, 심박동수, 동맥산소포화도 사이 에 유의한 변동이 없었다. 2. 환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은 기준치 31.00$\pm$1.67mmHg 에서 흥강내압 15 mmHg증가시 38.49$\pm$1.82 mmHg(p<0.05) 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3. 중심정맥압은 기준치 7.75$\pm$0.76 minHg 에서 흥강내압 10mmHg 증가시 12.83$\pm$1.64minHg, 15 mmHg 증가시 16.16$\pm$ 1.97 mmHg(p<0.05)로 의미있는 변화가 관찰되 었다 4. 흥강경수술시 혈역학적 변화없이 \ulcorner술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이산화탄소압력은 10mmHg이하가 적당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종격동 병변의 진단 및 치료와 비디오 흉강경의 역할 -흉강경에 의한 종격동 병변 진단 치료- (The Role of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in the Diagnosis and the Treatment of a Mediastinal Mass)

  • 백효채;박한기;배기만;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69-776
    • /
    • 1996
  • 흉강경 수술은 흥강의 모든 부위를 자세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예측하지 않았던 부위 에서도 종격동 종양을 발견할 수 있으며 병변의 여러 부위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함으로서 정확한 진단을 얻을 수 있을뿐 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종괴의 완전 절제를 시행할 수 있다. 비디오 흥강경 수술은 종격동 종양의 진단시 에 특별한 이병율 및 사망율 없이 환자의 92 %에서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90년 3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종격동 종양 절제 또는 림프절 생검을 시행한 환자중 기록을 검토할 수 있었던 113명을 대상으로 개흥 또는 정중 홍골절개를 통하여 수술을 시행한 군(group A)과 비디오 흥강경으로 수술을 시행한 군(group B)으로 구분하여 수술시간, 통증의 정도, 흥관제거 시기, 퇴원일자 등을 비교하였다. 또 림프절생검을 비디오흥강경으로 수술한 군 (group C)과 전종격절개술을 통하여 시 행한 군(group D)의 합병증 및 진단율을 검토하였다. Group A는 38명으로 남자 18명, 여자 20명 이었으며 나이는 2개월에서 67세까지로 평균 36.2세였고 Group B는 36명으로 남자 20명, 여자 16명 이 었으며 \ulcorner이는 7개월에서 81세로 평균 41.3세 였다 Group A의 수술시간은 75분에서 440분으로 평균 164분이었으며 통증의 정도는 수술후 투여한 근육 주사의 횟수로 비교하였을 때 0회에서 15회까지로 평균 3.4회 투여하였다. 흥관의 제거는수술후2일부 터 11일까지로 평균 5.2일만에 제거하였으며 퇴원은 5일에서 37일로 평균 11.3일이었다. Group B의 수 술시간은 60분에서 255분으로 평균 152분이었으며 통증의 정도는0회에서 13회까지로 평균2회 투여하 였고 흥관의 제거는 1일부터 16일까지로 평균 4.7일만에 제거하였으며 퇴원은 2일에서 27일로 평균 8.3 일만에 퇴원하여 두 군간에 퇴원일자가 P value 0.03으로 의의 있게 흥강경으로 수술한 군에서 짧았다. Group C는 평균연령 45.8세, 수술시간 105분, 통증제거 3.2회, 흥관삽관 6.1일이 었으며 진단율은 81.8 % 였고 group D는 평균연령 53.3세, 수술시간 121분, 통증제거 2.6회, 흥관삽관 10.5일이었으며 진단율 은 100%였다.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Group A는 수술중 혈액 량감소성쇽과 심장마비가 각각 1예씩 있었으나 회 복이 되었고수술후농흥과출혈이 각각 1예씩, 일시적 호흡정지 1예, 흉관 7일 이상유지가)예 있었다. Group B에서는 성Til마비와 흥관 7일 이상 유지가 각각 2예씩 있었으며 Horner's 증후군과 brachial neuropathy가 각각 1예씩 있었다. 본 저자들은 비디오 흥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의 제거를 비교적 안전하게 하였으며 입원기간도 짧 고 수술과 관련된 이병율 및 사망율도 적어 환자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서 비디오 흥강경수술이 종격동종 괴 절제시 에 좋은 치료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흉강경하 최소절개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폐쇄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s through a Video-assisted Mini-thoracotomy)

  • 민호기;양지혁;전태국;박표원;최선우;박승우;민선경;이재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68-572
    • /
    • 2008
  • 배경: 이미 여러 외과 영역에서 내시경수술이 보편화 되었고, 심장외과 영역에서도 그간 무펌프 관상 동맥우회술이나, 최소절개 또는 변형된 흉골절개 등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꾸준히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시야확보 및 체외순환을 위한 흉골절개의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둔감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심장수술이 도입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흉강경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의 폐쇄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1{\pm}6$세였고 이들 중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였다. 술전 심초음파상 심방중격결손의 평균 크기는 $24{\pm}5mm$였고, 삼첨판을 통한 압력차는 $30{\pm}5$ mmHg로 측정되었다. 삼첨판 페쇄부전은 3명에서는 경-중도였고 나머지에서는 경도 이하였으며, 1명에서 경-중도의 승모판폐쇄부전이 동반되었다. 수술은 우측 내경정맥과 대퇴동-정맥으로 캐뉼라를 삽관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유방하구를 따라 $4{\sim}5cm$의 소절개를 한 뒤 제4늑간을 통한 작업창과 흉강경으로 시야를 확보하며 심내교정을 시행하였다.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는 11명에서는 자가심낭을 이용하였고 4명에서는 일차봉합하였다. 관련 술기로는 3예의 삼첨판 성형술과 1예의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시간은 $160{\pm}47$분, 대동맥차단시간은 $70{\pm}26$분이었다. 결과: 술 후 사망 또는 주요합병증은 없었다. 3예에서 수혈이 필요하였고, 흉관제거 후 기흉이 관찰된 1예와 창상치유가 지연되었던 1예, 일시적인 부정맥의 1예 외에 별다른 합병증 없이 술 후 $5.9{\pm}1.8$일째 퇴원하였다. 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 상 잔여 단락은 없었으며, 삼첨판폐쇄부전은 전예에서 경도 이하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7{\pm}6.4$개월이었고 3명의 환자가 마지막 외래 방문 시 우측 가슴이나 대퇴부 안쪽의 감각이상을 호소하였으나 그 외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기존의 흉강경 장비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로 술 후 만족할만한 임상적, 미용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완전히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수술이 아니고 작으나마 개흉이 필요하므로 향후 경험과 장비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IIIA기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신보조 항암방사선치료 후 N병기의 변화에 따른 생존률 비교 (Survival of Stage IIIA NSCLC Patients with Changes in N Stage after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 배지훈;박승일;김용희;김동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86-590
    • /
    • 2008
  • 배경: 본 연구는 술전 종격동 내시경 혹은 흉강경을 통한 종격동 림프절 생검을 통해 병리조직학적으로 N2 진단을 받고 신보조 항암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 있어서 신보조 항암방사선치료 후 N병기의 변화에 따른 생존률 및 재발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에서 2005년 12월 사이에 조직학적 N2로 확진된 환자 6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들을 3그룹으로 나누어 신보조 항암방사선치료 후 병기가 낮아진 환자들을 그룹 A, 변화 없는 환자들을 그룹 B, 그리고 신보조 항암방사선 치료중 병기가 악화되어 수술을 진행하지 못한 환자들을 그룹 C로 구분하여 각 그룹간 평균생존기간, 3년 생존률 및 평균무병생존기간, 3년 무병생존률을 조사하였고 이들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결과: 연령, 성별, 폐암의 조직형 및 수술명은 그룹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평균 생존기간은 그룹 A, B, C에서 각각 58, 47, 21개월로 그룹A가 가장 높았으나 A-B 및 B-C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이한 차이는 없었고 그룹 A와 C 사이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 0.01)를 보였다. 3년 생존률 역시 그룹 A, B, C에서 67%, 41%, 21.6%로 평균생존기간과 비슷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무병생존기간은 그룹 A, B에서 44, 45개월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3년 무병생존률도 55.1%, 46.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IIIa기 폐암 환자에서 술전 항암방사선 치료 후 N병기가 감소된 그룹A에서 감소되지 않은 그룹 B보다 Mean survival, 3-Yr survival rate 및 3-Yr disease-free survival rate가 더 높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므로 더 명확한 결론을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case 및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겨드랑이 다한증 환자에서 흉부교감신경의 차단부위(T3-4와 T4)에 따른 임상결과 (Clinical Results Following T3, 4 vs T3 Thoracoscopic Sympathicotomy in 30 Axillary Hyperhidrosis Patients)

  • 최순호;이삼윤;이미경;차병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69-475
    • /
    • 2008
  • 배경: 비디오흉강경에 의한 흉부 교감신경차단술은 겨드랑이다한증을 치료하는데 최소침습 치료방법의 하나이다. 여러 다른 수기들이 겨드랑이다한증을 치료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나 효과가 일시적이고 고비용인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겨드랑이다한증 치료에 있어서 2개 부위의 흉부교감신경차단수술(T3-4대 T4)후 조기와 만기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겨드랑이다한증환자 30명에서 2개 부위(T3-4대 T4)의 흉부 교감신경차단 수술 후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은 단일기도관을 이용한 전신마취하에서 양측으로 동시에 2개의 2 mm 투관침과 2 mm 흉강경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T3-4군은 2002년 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15명으로 T3-4 교감신경차단수술을 늑골 3, 4번 늑골 상에서 시행하였고, T4군은 15명으로 4번 늑골 상에서 4번 흉부 교감신경차단수술을 시행하였다. 양군의 치료의 만족도, 보상성 다한증의 빈도와 정도, 그리고 술 후의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또한 T.I.P.I에 의한 술 전 후의 체열변화를 조사하였다. 만기의 결과는 환자와의 전화면담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기간은 T3-4군은 $38.7{\pm}6.5$개월, T3군은 $18.7{\pm}3.6$개월이었다. 수술 직후의 만족도는 양군에서 100%이었으나 만기의 만족도는 보상성다한증의 정도에 의해서 T3-4군은 53.3%,74군은 93.3%를 보였다. 보상성다한증은 불편한 정도 이상이 T3-4군은 46.7%를 보였으나 T4군은 6.7%를 보여 만기의 만족도는 보상성다한증의 정도와 일치하였다. 또한 T.I.P.I에 의한 체열검사에서는 양군 모두 의의 있는 체열상승을 보여주었다. 술 후의 합병증으로는 경도의 공기가슴증과 늑간신경통을 보였으나 모두 다 문제없이 해결되었다. 결론: 양 수술의 수기는 겨드랑이다한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T4교감신경차단수술이 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보상성다한증의 정도와 빈도는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