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style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및 수학적 능력 구성 요소 (Relationships between thinking styles and the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of the Elementary Math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 홍혜진;강완;임다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77-9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사고양식 및 수학적 능력의 특성을 밝혀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영재교육 대상자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사고양식과 수학적 능력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두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학영재교육대상자가 일반학생에 비해 입법형, 사법형, 위계형, 전체형, 부분형 내부지향형, 자유형의 사고양식이 높을 뿐만 아니라 계산력, 추론 능력, 가역성, 일반화, 공간, 기억력의 수학적 능력 또한 수학영재교육대상자가 일반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기분석 결과, 사고양식과 수학적 능력 간에는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Skill in Nursing Students)

  • 정계선;김경아;성지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3-42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559 nursing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1st to 30th, May 2012 us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ommunication skill inventory. The SPSS 18.0 Window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earning styles of subjects were diverging 39.5%, accommodating 32.6%, assimilating 22.7%, and converging 5.2%.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was 3.58 and 3.39 respectively. The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3.06, p=.002) and Communication skill(t=3.25, p=.002)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and accounted for 41.3% of the varia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se all four learning styles rather than to rely on one style. There should be more emphasis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수학적 사고 스타일에 따른 함수의 문제해결과정의 특징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Based on Mathematical Thinking Styles)

  • 최상호;김동중;신재홍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53-17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스타일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발견함으로써 교사가 학생에게 다양한 표상을 제공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대학교 1학년 학생 202명에게 지필검사를 실시한 후 수학적 사고 스타일을 고려한 4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그룹별로 두 명씩 총 8명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사고 스타일은 수학적 개념 정의방법, 표상에 대한 문제해결, 표상 간의 번역능력과 관계가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Dienes의 지각적 다양성의 원리를 구체화하여 향후 교수학습에서 다양한 표상을 제시하는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이 고의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범죄 전형성의 역할 (The Effect of Analytic-holistic Thinking Style on Intentionality Judgment: The role of crime typicality)

  • 김세헌;허태균;최승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2호
    • /
    • pp.253-273
    • /
    • 2023
  •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 중 하나인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이 고의성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 범죄 사건의 전형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건 가해자 및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바탕으로 범죄의 전형성을 다르게 조작한 사건에서 고의성 판단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사람들은 범죄 사건의 전형성이 높을수록 고의성을 높게 판단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종합적 사고 양식을 보이는(그리고 인과성과 변화 인식이 높은) 사람들은 사건 가해자의 고의성을 낮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은 범죄의 전형성과 상호작용하여 고의성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종합적 사고를 하는(그리고 인과성이 높은) 사람들은 전형적인 사건에서는 가해자의 고의성을 높게 판단한 반면, 비전형적인 사건에서는 고의성을 낮게 판단하였다. 이 결과는 분석적 사고에 비해 종합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고려한 범죄 전형성에 근거한 고의성 판단을 더 강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과 범죄 전형성 및 고의성 판단과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광고의 애매 모호성이 지각된 해석난이도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고방식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Ambiguity in Ads on Perceived Interpretation Difficulty and Attitude toward Ads: Moderating Effect of Thinking Style)

  • 정재익;윤규도;김귀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1-15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지각된 해석난이도를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애매 모호성광고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애매 모호성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난이도는 소비자의 사고방식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광고의 애매 모호성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지각된 해석난이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애매 모호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해석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사고방식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애매 모호성이 낮은 광고에서는 종합적 사고자가 분석적 사고자에 비해 해석난이도를 높게 지각했고, 애매 모호성이 높은 광고에서는 종합적 사고자와 분석적 사고자 간에 지각된 해석난이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해석난이도가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광고에 대한 태도는 비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디지털 융 복합 매체를 활용한 애매 모호성광고가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광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연결되어야 하며, 오늘날과 같은 글로벌 경영환경 하에서 글로벌 광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고려 요인으로 소비자 간의 사고방식 차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사고 유형에 따른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학습 선호 활동의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Activity Preferenc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ccording to Thinking Styles)

  • 신종호;서정희;최재혁;김용남;김윤근;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spc5호
    • /
    • pp.495-506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earning activity pre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 cluster analysis procedure was performed to classify students on the basis of thinking styles. Two clusters of different thinking styles were deduced: the gifted group with a high level thinking style (cluster 1), and the average group with a low level thinking style (cluster 2). The gifted group (cluster 1) preferred projects, simulations, discussions and game activities to other types of loaming activities. Gifted students and average students also were clustered into each three unique subgroups with respect to levels and patterns in thinking styles, and these subgroups also showed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The clusters of gifted students included the self-regulated learning type (cluster a), cooperative-learning type (cluster b), and the passive-learning type (cluster c). The clusters of average students included the independent learning type (cluster i), no-preference learning type(cluster ii), and the no-motivation & teacher-directed learning type (cluster iii). Theses clust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not only in thinking styles but also in terms of preferences regarding learning activities. These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 PDF

의사결정스타일이 GDSS활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cision Style(Feeling vs. Thinking) on the Use of GDSS)

  • 최무진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0권1호
    • /
    • pp.1-18
    • /
    • 2000
  • One stream of the GDSS(Group Decision Support System)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GDSS affects decision performances of small groups according to task types, support features, meeting facilitation modes and meeting environments. But little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oup member characteristics on group decision processes and outcomes depending upon whether GDSS is provided or not. To date, most GDSS studies have not controlled group member characteristics(e,g. personality, sex, decision style) in laboratory experiments. However, this study included the decision styles of group memb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differently members of two different decision styles perceive the use of GDSS in small group meetings through lab experiments. The two decision styles are feeling(F) style and thinking(T) style. We found that the effect of GDSS is a function of individual's decision style only in the communication thoroughness variable. The decision styl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hat can mediate the effects of the group support technology on the perceived communication thoroughness. Specifically, the GDSS is positively related to participants' perception about satisfaction on decision process, goal achievement, communication thoroughness, degree of influence-outward and effort for achieving meeting goals.

  • PDF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양식 비교 (Comparison of Thinking Styles between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 김민서;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58-56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inking style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invention The subjects were 191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d 182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invention, who enrolled in gifted education program. They were given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TSI) that standardized Korea version by Yun (1997), which constructed 13 thinking styles of 5 dimensions (functions, forms, levels, scopes, and leanings of the mental self-govern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ANOVA with SP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ifted in science prefer executive, oligarchic, and global thinking styles rather than the gifted in invention. Meanwhile, the gifted in invention prefer legislative, judicial, loc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rather than the gifted in science. Both of the gifted in science and invention prefer legislative, executive, monarchic, anarchic, extern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executive, oligarchic, loc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of the gifted in science.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in Movie by Correlation Analysis of Genre and Linguistic Style

  • You, Eun-Soon;Song, Jae-Won;Park, Seung-B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9-55
    • /
    • 2019
  • The character dialogue created by AI is unnatural when compared with human-made dialogue, and it can not reveal the character's personality properly in spite of remarkable development of A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characters through the linguistic styl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specific linguistic style with the personality. We analyzed the dialogues of 92 characters selected from total 60 movies categorized four movie genres, such as romantic comedy, action, comedy and horror/thriller, using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a text analysis softwar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unique language style according to genre. Especially, we could find that the emotional tone than analytical thinking are two important features to classify. They were analyzed as very important features for classification as the precision and recall is over 78% for romantic comedy and action. However, the precision and recall were 66% and 50% for comedy and horror/thriller. Their impact on classification was less than romantic comedy and action genre. The characters of romantic comedy deal with the affection between men and women using a very high value of emotional tone than analytical thinking. The characters of action genre who need rational judgment to perform mission have much greater analytical thinking than emotional tone. Additionally, in the case of comedy and horror/thriller, we analyzed that they have many kinds of characters and that characters often change their personalities in the story.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과학고생과 일반학생의 차이 (Difference of the science and the general high school for the relation of think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 나동진;김진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69-85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고와 일반고의 사고양식의 차이를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검증하였다. 과학고 122명, 일반고 93명 등 총 21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한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와 일반고 학생들의 사고 양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고생이 일반학생보다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다양한 사고양식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과학고의 경우, 경로분석을 통해서 지능이 전체 성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법적 사고 양식과 군주적 사고양식을 통해서도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끝으로 과학영재의 사고양식의 특성을 통해서, 현 과학영재교육의 개선과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