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ast Sea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31초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 (Long-term Variation of Tidal-flat Sediments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장진호;류상옥;조영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7-366
    • /
    • 2007
  •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과 2006년에 채취된 표층퇴적물 시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만 입구 조간대에서는 실트와 점토의 함량이 감소하고 모래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만의 중부와 상부 조간대에서는 모래와 점토의 함량이 감소하고 실트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점토의 함량은 주변의 다른 반폐쇄된 조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함량 분포를 보였으며, 1991년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퇴적물 구성성분의 뚜렷한 함량 변화는 퇴적상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매립 및 호안건설에 의한 해안선의 변형과 간조선 부근에 빽빽하게 설치된 양식장의 구조물, 그리고 곰소만 북쪽의 새만금 방조제 건설 등에 의한 수리에너지 조건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의 천부퇴적물에 대한 층서$\cdot$퇴적학적 연구 (Stratigraphical and Sedimentological Studies on Cor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ern Ulleung Basin, East Sea)

  • 박명호;류병재;김일수;정태진;이영주;유강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71-177
    • /
    • 2002
  • 제4기 후기의 층서와 퇴적환경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울릉분지 남서부 해역에서 채취한 푸 개의 피스톤 코어 시료를 분석하였다. 코어는 이질 퇴적물이 주종을 이루었고 일부 사질 퇴적물 및 테프라층(tephra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확인된 울릉분지의 테프라층을 이용하여 층서 대비를 한 결과, 코어는 약 46,100년의 층서 기록을 보이며, 마지막빙기 동안의 퇴적률(12.1~14.9 cm/kyr)은 대양보다 높은 편이었다. 동위원소층서 2 동안 퇴적된 시료구간에서는 저탁류의 영향을 받은 몇 종류의 퇴적상이 교호하여 나타난다. 코어 00GHP-07의 하부구간에서는 가스 방출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수평균열 구조가 관찰된다. 시료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다(평균1.8%). 특히 총유기탄소의 값은 Termination I 동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것은 이 기긴 동안 남서부 울릉분지가 산소가 다소 결핍한 환경으로 전이하였음을 의미한다.

Crustal Uplift and Microseismic Activity around Syowa Station, Antarctica

  • Kaminuma, Katsutada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49-253
    • /
    • 2002
  • There is a great deal evidence concerning crustal uplift, after deglaciation, in the vicinity of Syowa Station $(69^{\circ}S,\;39^{\circ}E)$ from tide gauge data, seismic evidence, raised beaches, marine terraces, etc. The geomorphological and tide gauge data show that the crustal uplift is going on around Syowa Station. Seismic observations at Syowa Station started in 1959. Phase readings of the earthquakes have been published by National Institute of Polar Research once a year since 1968, as one of the Data Report Series. Eighteen local earthquakes were detected on short period seismograms at Syowa Station in 1990-2000. The seismicity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00 was lower than that from 1987 to 1989 when epicenters of local earthquakes were determined by tripartite seismic array. Local earthquake activity corroborates the crustal uplif4 which is an intermittent phenomenon. Sea level falling of 4.5 mm/y was found using data in 1975-1992. This felling rate is consistent with the geomorphological data. A route for repeat leveling survey was established in East Ongul Island. No appreciable change of sea level was observed for the last 14 years. A dynamics of the crustal uplift around Syowa Station has been discussed using geomorphological data, ocean tide, and seismic and leveling data, which is estimated to be an intermittent phenomenon. When local seismic activity is high, the crustal uplift is estimated to be going on. On the contrary, the crustal uplift is in dormancy when the local seismicity is low. Repeated leveling measurements suggest no significant changes, which further supports the idea that the crustal uplift in offshore is not a tilt trend movement but a block movement.

장기 수치모사 파랑자료를 바탕으로 한 한국해역의 파랑에너지밀도 분석 (Analysis of Wave Energy Density for Korean Coastal Sea Area Based on Long-Term Simulated Wave Data)

  • 송무석;김도영;김민;홍기용;전기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2-157
    • /
    • 2004
  • 한국해양연구원(KORDI)의 파랑자료를 기초로 하여 한반도 근해의 파랑에너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파랑자료는 최근 24년(1979∼2002)간의 바람자료를 바탕으로 HYPA와 WAM모델을 이용하여 모사된 것이다. 파랑에너지, 즉 파력의 평가는 선형이론에 근거한 파주기를 가정하는 형태를 이용하여 하였다. 대략 3 kw/m 정도의 가용 파랑에너지가 한반도 근해에 분포한다고 말할 수 있으며, 계절과 지역에 따라 10 kw/m이상의 파랑에너지가 나타나는 곳도 있다. 제주도의 남서쪽 해역이 상대적으로 양질의 파랑에너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선박 소음 예측 전산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통계적 에너지 해석법을 이용한- (A Study on the Computer Program for the Shipboard Noise Prediction - using Statistical Energy Analysis -)

  • 김사수;신구균;이홍기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93-306
    • /
    • 1991
  • 선박은 내부에 소음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진동의 전달 특성이 좋은 강판 구조물이기 때문에 기진원과 소음원을 포함한 구조계및 주변 음장계까지 포함한 전체계에 대한 소음 예측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선내 소음 환경을 예측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에너지 해석법을 이용하여 고차 진동의 전달 특성, 음장과 구조물과의 상호 작용 및 음장의 투과 손실등에 대한 해석 이론을 정식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내 소음 예측을 위한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 소형 연안 여객선을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소음 예측 계산을 수행하고 실선 계측 결과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공기음과 고체음에 대한 전달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 PDF

어류의 주광성에 관한 연구 - 유도등에 대한 농성어의 반응 - (Phototaxis of Fish - Response of Sea-bass to the Attracting Lamp -)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58-163
    • /
    • 1988
  • 유도등예로써 집어된 어류를 목적 장소까지 유도하기 위하여 9개의 유도등을 동시에 점등한 후 1등씩 순차적으로 소등하는 방법으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에 광자극을 주었을 때의 반응을 수상유도등과 수중유도등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도등의 점등구간에서의 어류분포는 1) 소등한 구간에 인접한 소등구간에 다소 많이 분포하였다. 2) 수상유도등에 의한 어류분포가 수중유도등에 비해 인접구간에 따른 분포차가 더 컸다. 3) 유도등의 소등간격이 1분일때는 수상유도등이, 소등간격이 5분일때는 수중유도등에 의한 분포가 각각 더 많았다. 2. 최종구간에서의 유도율의 변화는 1)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유도등의 소등간격이 1분일때는 수중유도등에 의한 유도율이, 소등간격이 5분일때는 수중유도등에 의한 유도율이 각각 더 높았다.

  • PDF

다목적 어업실습선 개발과 내항성능 시험 결과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purpose fisheries training ship and result of seakeeping model test)

  • 류경진;박태선;김창우;박태건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1호
    • /
    • pp.74-81
    • /
    • 2019
  • According to the recent presentation by the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about 70% of marine accident occurs from fishing vessel, and 90% of cause of entire marine accidents attributes to human error. As fishing vessels require basic operations, fishing operations, other additional operations and techniques such as fish handling, cultivating excellent marine officer to prevent marine accident and develop industry is very important. A fisheries training ship is still very difficult to satisfy the demand for diversity of fishery training and sense of realism of the industry. As the result of employment expectation by category of business survey targeting 266 marine industry high school graduates who hope to board fishing vessels for the last four years, tuna purse seine was the highest with 132 cadets (49.6%), followed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65 cadets, 22.4%), and tuna long line (35 cadets, 13.2%).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KIMFT) has replaced old jigging and fish pot fishery training ships and proceeded developing and building multi-purpose fisheries training ships considering the demand of industry and the promotion of employment; however, the basic fishing method was set for a tuna purse seine. As a result of seakeeping model test, it can conduct the satisfiable operation at sea state 5, and survive at sea state 8.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작 (Generation of Tsunami Hazard Map)

  • 안성호;하태민;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27-133
    • /
    • 2010
  • 최근 수십년 사이 우리나라 근해에서는 지각운동이 활발해져 해저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서해안에는 향후 지진 발생 가능성이 큰 지진공백역이 존재하여 우리나라 동해안은 지진해일에 안전한 지역으로 볼 수 없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한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과 1993년 북해도 남서 외해 지진해일에 의해 동해안 일부 지역이 비교적 큰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국내에서도 지진해일 방재대책 수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진 해일 재해대책은 재해예방보다는 재해가 발생한 후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지진해일 발생 시 피해를 경감시키는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 방재대책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예방대책으로 알려진 지진해일 재해정보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항을 대상으로 피해 현장조사와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피소, 최적 대피경로 및 대응방법 등의 방재정보를 수립하고 범람 수치모의를 통해 최대 침수예상지역을 예측하여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제작하였다.

보령 소황리 전사구의 계절별 지형변화 특성과 그 의의 (Seasonal changes in coastal dunes and its implication, Sohwang-ri, in Chungnam Province)

  • 정필모;최광희;김윤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09-122
    • /
    • 2012
  • 충남 보령시 소황리 해안을 대상으로 지난 2년간 전사구의 지형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에서 식생 및 바람 자료를 획득하고 7개의 횡단면과 1개의 고정조사구($20m{\times}50m$)에서 지형변화를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사구의 성장은 주로 늦겨울에서 봄 사이에 활발하였으며, 북서풍이 강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특히, 3월부터 4월까지 전사구 전면부에 퇴적이 증가하였으며, 해안선에서 25m까지 최대 30cm 두께로 모래가 쌓였다. 강풍의 증가와 식생의 생장이 모래의 이동과 퇴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태풍이나 사리에 의해 해수면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때, 사구지대의 하부가 침식되었다. 사빈-사구 경계부가 바닷물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사구 전면부 전체가 영향을 받아서 사구단애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식단면은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였다.

조석과 계절풍을 고려한 EST에 의한 동해연안의 극치해면 산정 (Estimation of Extreme Sea Levels with Consideration of Tide and Monsoon by Using EST at the East Coast)

  • 강주환;김양선;박선중;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10-216
    • /
    • 2012
  • 극치해면 추정을 위해 EST기법을 동해연안에 적용하였다. 과거 60년간 발생한 TY급 태풍 51개에 의한 해일고를 ADCIRC모형으로 계산하여 트레이닝세트에 포함하였고, 태풍을 제외한 매년 발생하는 최대해일고를 계절풍에 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계절풍에 따른 해일고도 응답벡터로 설정하였다. 조위조건을 입력벡터에 포함시켜 태풍시에는 고 저조 조건을 포함시켰으며 계절풍시에는 대 소조 조건을 입력벡터에 반영하였다. 이때 두 경우 모두 연주조를 감안하여 응답벡터를 작성하였다. 적용결과를 기존연구와 비교한 결과 정 등(2008)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어 본 방법의 적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