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ast Sea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연근해 수온의 시공간적 장기변동 특성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 성기탁;황재동;한인성;고우진;서영상;이재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3-360
    • /
    • 2010
  •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지난 41년간(1968-2008년) 정선해양관측점에서 관측한 수층별 수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동해, 서해 및 남해 해역의 표층수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0m 수층의 경우 남해해역은 상승하지만 동해해역은 오히려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 해역은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쓰시마난류의 강화로 인해 전 수층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전 수층에서 수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만드는 원인이라 생각된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하강의 경향은 주로 연안역의 하강 정도가 근해역의 상승정도보다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동해해역을 평균하면, 동해해역 전체적으로는 수온이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바람, 해류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이 중 기상요소인 풍속의 변동과 수온변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계절별로는 남해를 제외하고 동계의 상승률이 하계의 상승률보다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장기적인 수온상승은 주로 동계의 수온 상승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남해의 경우 하계의 수온 상승률이 동계의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쓰시마 난류의 세력 강화 및 중국대륙에서 유출되는 양자강수의 영향이라 생각된다. 우리나라 연안의 6개 관측점에서 관측한 기온과 풍속 자료 분석결과 점차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풍속이 약해지는 따뜻한 겨울이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풍속의 약화는 해양에서 표면혼합층의 수심이 얕아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표면혼합층의 두께가 얕아지게 되면 표층과 저층의 혼합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표층의 따뜻한 물이 저층으로 전달되는 양과 저층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전달되는 양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표층의 수온은 점차 상승하게 되며, 예전 표면혼합층과 저층의 경계층 수온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CMIP5 기후 모형에서 나타나는 동아시아 한파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Cold Surges in the CMIP5 Climate Models)

  • 박태원;허진우;정지훈;허창회
    • 대기
    • /
    • 제27권2호
    • /
    • pp.199-211
    • /
    • 2017
  • The cold surges over East Asia can be grouped to two types of the wave-train and the blocking. Recently, the observational study proposed new dynamical index to objectively identify cold surge types. In this study, the dynamical index is applied to the simulations of 10 climate models, which participate in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 Focusing on assessment of cold surge simulation, we discuss characteristic of the wave-train and blocking cold surges in the climate models. The wave-train index (WI) and the blocking index (BI) based on potential temperature anomalies at dynamical tropopause over the subarctic region, the northeast China, and the western North Pacific enable us to classify cold surges in the climate models into two types. The climate models well simulate the occurrence mechanism of the wave-train cold surges with vertical structure related to growing baroclinic wave. However, while the wave-train in the observation propagates in west-east direction across the Eurasia Continent, most of the models simulate the southeastward propagation of the wave-train originated from the Kara Sea. For the blocking cold surges, the general features in the climate models well follow those in the observation to show the dipole pattern of a barotropic high-latitude blocking and a baroclinic coastal trough, leading to the Arctic cold surges with the strong northerly wind originated from the Arctic Sea. In both of the observation and climate models, the blocking cold surges tend to be more intense and last longer compared to the wave-train type.

주요 사례 분석을 통한 한·중·일 공동어업관리 방향 (Korea-China-Japan Joint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through Case Study)

  • 이광남;서병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53-73
    • /
    • 2007
  • There exists historically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fisheries of the thre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in terms of the same fishing ground and similar resources. This means that if one of the countries fail to manage their fisheries properly, it will harm the others. Especially, if the EEZ straddling and Trans-Boundary Fish Stocks aren't managed by the coope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the exhaustion of resources will be more likely to be accelerated. Considering the aspects mentioned, this paper refers to the necessity of fisheries cooper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Next, it analyzed the joint control cases of Norway/Russia Management of Shared Fish Stocks in the Barents Sea, Management of South Tasman Rise in Orange roughy, Agreement on Fisheries between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Kingdom of Norwa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ollack resources in the central Bering Sea, and drew a conclusion for ourselves. Last of all, it suggests a step-by-step strategy of promoting joint control between three countries, and the plan of the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organization of joint fisheries control. About the joint control, "The Joint Statement of promoting collabor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has been announced at ASEAN in October 7th, 2003 and the summit talk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joint statement, the three countries came to an agreement which says, "Cooperation in Fishery Resource Conservation : The three countries will cooperate, bilaterally or trilaterally, to promote the sustainable use and conservation of fishery resource through the effective fishery management". Not only the consistent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is necessary, but also continuous exchange and related study on a Non-governmental level is also needed for the viable outcome in the near future. When deducting the result for the joint fisheries control, this writer hop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한국 Pediment 지형의 연구성과에 관한 비판과 문제점 (Critical Comments on Akagki's Pediment Morphology in Korea)

  • 박노식
    • 동굴
    • /
    • 제68호
    • /
    • pp.99-120
    • /
    • 2005
  • It is a wrong decision to use only topographic and geological maps for the study of pediment morphology in Korea. For the study of pediment morphology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earth structure by field techniques. In Korea, pediments are mostly found in granite areas with hardrock cover. But, pediments also developed in gneiss areas and what is worse in limestone areas. So, all areas in Korea developed pediment morphology. Only in South Korea pediments show a direction from south to north or from west to east. They developed only in right angles to each other, either parallel or in right angles to the strike, depending on the bedrock structure. Pediments are found in two levels. The upper level pediments are correlated with the lower level erosion surface. Besides this pediments are found in Hoenggye-ri of the Taegwolryong area in a third level 800m above sea level. The pediments developed in basins, at the lower margins of steep slopes dividing three levels of erosion surfaces and around the residual mountains on the erosion surfaces. The first belong to the early stage of pedimentation, the second to the middle stage and the third to the last stage. Also, in Korea monadnock and residual mountain have developed the pediments are correlated the slope of the hinter mountains. Akagki states that the only pedimentation times have been times of arid climate and that they are dissected by gulley erosion with climatic change, but writer's study proves that pedimentation takes place with eustatic movement, reckless defore-station and convectional rain.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landforms, geological character and process of erosional cycle of the pediments in Korea resemble much those in the Chugoku Mountains of south wertern Japan, but they are larger in scale than those in the Chugoku Mountains. In conclusion, while Akagki emphasizes the geological character and climatic change in pedimentation, the writer studies prove that eustatic movements, especially the sea level rise after the Wurm age are important factors for pedimentation. Besides this the author's studies allow a classification of gentle slopes.

한반도와 그 인접지역의 지진활동(地震活動)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Vicinity)

  • 김소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1호
    • /
    • pp.51-63
    • /
    • 1980
  • 한반도 주위의 새로운 구조력(neotectionics)을 이해하고, 지진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서, 한반도와 그 인접지역의 지진활동을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조사 연구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문헌에서 얻은 기술적인 지진자료와 세계지진 관측망 (WWSSN)에서 얻은 기록등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한반도의 지진 활동은 13 세기부터 17 세기까지에 가장활발하였다. 지진정지기 (seismic quiescence)는 18 세기에 들어와서 시작하여 약 200 년동안 계속되었다. 최근에와서 지진활동dms 다시 활발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지진의 위험 분포와 지진회복주기 (return period) 는 축적규모진도수에 의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최근 한반도에서 지진 위험지역은 반도의 서남부 및 서부지역에서 더욱 크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Focal mechanism에 의한 일본해 부근의 지진잠재력(neotectonic stress)에 관해서 고찰하면, 옛날의 Paleotectonics의 주력은 지구의 crust의 확장설(expanding)에 의해서 큰 지배를 받았지만, 최근은 태평양 plate가 유라시아 대륙이나 필립핀 plate 밑으로 충돌하여 들어가는 subducting motion 에 큰 지배를 받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 PDF

광양만에서의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한 폭풍해일 (Storm Surge Caused by the Typhoon “Maemi” in Kwangyang Bay in 2003)

  • 김현성;이석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3호
    • /
    • pp.119-129
    • /
    • 2004
  • 2003년 9월 12일에 태풍 “매미”가 남해안으로 상륙하면서 발생한 광양만의 해일고를 산정한 결과, 고조위 편차는 93∼108 cm이고, 최대 조위편차는 176∼196 cm로 나타났다. 최대 조위편차를 요인별로 분석하면 기압강하에 의한 해면상승이 59 cm, 섬진강 홍수로 인한 수위 상승이 4∼5 cm, 그리고 외해로부터 해일파의 전파 및 강풍에 의한 해면상승이 l13∼132 cm이다. 이번에 광양항(PT3)에서의 실측 최고조위 460 cm는 광양제철소 부지 설계시에 추정한 100년 빈도 설계조위 455 cm보다 5 cm 높고, 1987년 태풍 “셀마” 통과시에 기록된 기왕 고극조위 445 cm보다 15 cm높은 조위로서, 과거 20년 간의 최대 고극조위를 나타냈다.

동계 북태평양을 항행하는 대형선박의 황천피항조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LCC's Handling to Avoid Heavy Weather ofthe North Pacific in Winter.)

  • 민병언;정명선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1-70
    • /
    • 1984
  • In the North Pacific Ocean a lot of large waves set up in winter, affected by continued winds and swells owing to severe extratropical cyclones. Under this sea condition, if the ship is about 100,000L/T (in deadweight capacity tonnage), we can't find the danger involved in the ship at sea apparently. But when we compare the seaworthiness of ship's building strength with the stress given to the hull by waves, we can't insist that the former be more stronger than the latter. As a result, VLCC is in danger of destroying and cutting for lack of longitudinal strength in heavy weather. Up to this time, Naval Architects have actively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ship's longitudinal strength and waves as a ship's projector; however, actually, they have never made more profound study on the problem of longitudinal strength in relation to navigation. The main pup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se vivid actual states of ship's trouble unknown to ship's masters. In this thesis we picked up VLCC Pan Yard, a vessel of Pan Ocean Bulk Carrier company's, as a model ship. And in the North Pacific Ocean, we have chosen for this research the basins where the wind speed and the wave height are greater than average. The data used this thesis are quotes from the "winds and waves of the North Pacific Ocean('64-'73)", and wind speed more than 30 knots was made use of as an ocject of this study. By usinh the ITTC wave spectrum, we found out the significant waves for every 5 knots within the range of 20 knots to 45 knots of wind speed. According to this H1/1000 was calculated. The stress of ship's hull is determined by ship's speed and wave height. We compared the ship's longitudinal strength with a planned wave height by rules of several famous classification societies in the world. In the last analysis, we found out that ship's present planned strength in heavy weather is not enough. Finally we made a graph for avoiding heavy weather, with which we studied safe ship's handling in the North pacafic Ocean in winter.

  • PDF

우리나라 연안-하구에 서식하는 어류의 식성 관련 연구 현황 (A Literature Review of Fish Feeding Research in the Coast - Estuary Areas of Korean Peninsula)

  • 조현빈;김동균;박기연;이완옥;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26-135
    • /
    • 2019
  •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1969~2018년) 우리나라 연안 - 하구에서 수행된 어류먹이원 분석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확인된 연구논문은 총 101편 이었으며, 이 중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81편, 보고서는 6편 그리고 국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14편이었다. 발표된 연구 논문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보면, 1990~1999년에 21편(19.4%; 2.1편${\pm}$3.0/년 [평균${\pm}$표준 편차]), 2000~2009년에 26편(24.1%; 2.6편${\pm}$2.3/년)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2018년에는 52편(48.1%; 5.8편${\pm}$2.3/년)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국내 연안-하구에서 어류먹이원 분석을 수행한 조사수역의 해역을 방위(남해, 남-동해, 동해, 서해)로 나누어보면, 남해에서 65편(69.1%)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뒤를 동해가 13편(13.8%), 서해와 남-동해에서 각각 8편씩(8.5%)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의 분포를 보면 광양만에서 18편(24.3%)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가덕도에서 8편(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출간된 논문의 방법론적 특성을 보면, 먹이원 중요도나 생태적 지위의 범위를 나타내주는 지표를 계산하는 방법은 총 14가지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지수는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와 Pi (Prey-specific abundance)였으며, E (electivity index)와 Bi (dietary breadth index)가 그 뒤를 이었다. 총 11가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correlation analysis와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주제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 논문들은 계절적 또는 조사 지점별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2000년도 이후부터는 국제 학회지에 출판되기 시작한 논문들은 종간 경쟁(competition), 동소성(sympatric), 생태직위중첩(niche overlap) 등과 같은 세부적인 생태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 학회지에 출판된 논문들의 경우 다소 정형화된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으며 조사되지 않은 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향후 국내 학회지에 발표되는 연구논문에서도 종간 경쟁, 먹이망 구조 파악 등과 같은 생태학적 주제를 반증할 수 있는 연구 방향이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Ocean Response to the Pinatubo and 1259 Volcanic Eruptions

  • Kim, Seong-Joong;Kim, Baek-Mi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305-323
    • /
    • 2012
  • The ocean's response to the Pinatubo and 1259 volcanic eruptions was investigated using an 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equipped with an energy balance model. Volcanic eruptions release gases into the atmosphere which increases the aerosol optical depth and acts to reduce the incoming short-wave radiation. For example, there was a huge volcanic eruption (Pinatubo) in 1991 which reduced the global mean radiative forcing by about 3 W $m^{-2}$. Two numerical experiments were simulated. The first experiment features the Pinatubo eruption and the second experiment simulates the much larger volcanic eruption that occurred in 1259 when the radiative forcing was reduced by 7 times compared to the Pinatubo event. With the reduced radiative forcing due to the Pinatubo eruption at about 3 W $m^{-2}$ and 1259 eruption at about 21 W $m^{-2}$, the global mea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ecreased to its lowest in the second year after each event by about $0.4^{\circ}C$ and $1.6^{\circ}C$, respectively. Sea surface salinity (SSS) increased substantially in the northern North Pacific, northern North Atlantic, and the Southern Ocean. The reduced SST together with SSS increased ocean convection, which yielded an increase in North Atlantic Deep Water, Antarctic Bottom Water, and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production and their outflows. The increase in overturning circulation eventually increased the pole-ward ocean heat fluxes. In conclusion, huge volcanic eruptions perturb the ocean substantially and their hallmarks last for more than a decade,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volcanic eruptions in illustrating the decadal-climate variability recorded in the paleoclimate proxy data for the past million years.

초여름 韓國 西南海域 植物플랑크톤의 群集構造와 分布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 심재형;박용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8-81
    • /
    • 1984
  • 한국 서남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분포를 밝히기 위하여 1980년 여름에 수평적, 수직적으로 채집한 정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은 상이한 水塊를 대표하는 상이한 3개의 특징적인 군집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 1 군집은 대부분 연안성 및 내수성 硅藻類로 구성되어 서남해의 연안 수역을 대표하며, 제 2 군집은 외양성 및 연안성 구조류와 2-3종의 鞭毛藻類로 구성되어 黑潮의 지류로 생각되는 高鹽 水性인 제주 부근의 수역을 대표한다. 제 3 군집은 주로 소형인 鞭毛藻류와 微細藻類로 구성되고 底鹽 수성인 중간 수역을 대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의 수직분포에서 세포수, chlorophyll-a, 및 용존산소등이 특히 계절적인 pycnocline 부근의 수층에서 높은 농도를 보여준다. nanoplankton은 군집내에서 90% 이상에 이를 만큼 점유율을 보여 중요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