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Quaternary

Search Result 1,2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Geomorphological Changes of Lagoons by Human Impact during the Holocene: Focusing on Cheongchoho, Gyeongpoho, and Pungho Lagoons (홀로세 인간 간섭에 의한 석호의 지형 변화: 청초호, 경포호, 풍호를 중심으로)

  • Ji Yun Jeong;Haebin Lee;Gwang-Ryul Lee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34 no.1
    • /
    • pp.1-13
    • /
    • 2024
  • Lagoon, attributed to the postglacial sea-level rise, has experienced rapid geomorphological changes due to increasing human impact. This study tried to infer how rapidly increasing human impact during the Holocene affects on geomorphological changes of lagoons and their surroundings, especially on Cheongchoho, Gyeongpoho and Pungho with significant changes in area and shap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iod of rapid artificial change commonly began in the 1960s to 1970s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apidly changed since human impact intensified afterward. Intensive development not only affected on depth, area and shape changes, but also had significant impacts on water environment and biodiversity, attributed to disturbed flow between freshwater and seawater due to dredging and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Lastly, various types of human impact were observed to be complexly interrelated, which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geomorphologic process influenced by both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It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humans who develop and utilize the terrain and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Addition Reaction of Glycidyl Methacrylate with Carbon Dioxide Using Quaternary Ammonium Salts as Catalys (4급 암모늄염 촉매에 의한 Glycidyl Methacrylate와 이산화탄소의 부가반응)

  • Yang, J.G.;Moon, J.Y.;Jung, S.M.;Park, D.W.;Lee, J.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7 no.6
    • /
    • pp.1156-1163
    • /
    • 1996
  •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ammonium salt catalyst on the addition reaction of carbon dioxide and glycidyl methacrylate(GMA) to form(2-oxo-1,3-dioxolane-4-yl)methacrylate(DOMA). Among the salts tested, the ones with higher alkyl chain length and with more nucleophilic counter anion showed a higher catalytic activity. Mixed catalysts of NaI and 18-crown-6 showed a good yield of DOMA, but when they are used alone, they showed no catalytic activity. The DOMA monomer was obtained in low polar solvents, while poly(DOMA) could be directly synthesized in aprotic dipolar solvents. Kinetic studies carried out by measuring $CO_2$ pressure in a high pressure batch reactor showed that the reaction rate was first order to the concentration of GMA and $CO_2$ respectively. The rate constant(k) was 0.56L/mol hr and Henry's constant(H') of $CO_2$ in diglyme at $80^{\circ}C$ was $6.5{\times}10^{-4}mol/L{\cdot}kPa$.

  • PDF

Analysis of Beach Gravels, the Weaver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남극 킹 죠지섬의 위버 반도 해빈자갈에 관한 연구)

  • 박용안;최문영;고영이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5 no.1
    • /
    • pp.47-61
    • /
    • 1991
  • Textural analysis of gravels of raised beach (old beach) in the Weaver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has been carried out as a first part study among 20 other sites surveyed in the Weaver Peninsula and Barton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The raised beach described as WP-5 in this paper is 3.95 m higher than the present beach in elevation. And it is described as old beach. The beach shows typical subenvironment, that is, beach berm and beach face. Mean size, mean roundness and mean sphericity of gravels from beach berm are -4.10ø, 0.44 and 0.66 respectively. However, mean size, mean roundness and mean sphericity from beach face are -4.23ø, 0.41 and 0.67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seems to be worthy to note the differences of textural parameters between Antarctic glacio-marine beach gravels and temperate and normal marine beach gravels. Under such conception the present study wishes to show only textural parameters, i.e., size, roundness, sphericity and shap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Antarctic glacio-marine beach gravels.

  • PDF

Assemblage changes of benthic foraminifera and regional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a piston core from the Okinawa Trough, Japan (오끼나와 해곡 주장사료 퇴적물에 대한 저서생 유공충의 군집변화와 지역해 고환경변화)

  • Hyun, Sang-Min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23 no.2
    • /
    • pp.48-55
    • /
    • 2009
  • To investigate the paleoceanographic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the Okinawa Trough, Japan, a piston core (RN88-PC5) was conducted on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composition, assemblage, sedimento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Trubidite sediment intercalated in studied core contains different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dwelling in shallow coral reef species, from normal hemipelagic sediment. These different benthic foraminiferal species and its assemblage are interpreted as reworked sediment when turbidite current occurred, synchronically. Grain size analysis clearly showed that mean grain size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rubidite and hemipelagic sediments. Geochemical analysis also showed the difference of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two sedimentary facies. Results of the foraminiferal oxygen isotope analysis showing global surface water warming records since the last 10 ka. The geochemcial analysis and previous works showed that turbidite sediment of studied core indicating sporadic occurrence of regional paleoceanographic events. Assemblage of shallow coral reef benthic foraminifera especially occurred with turbidite layer clearly support the sporadic occurrence of paleoceanographic events such as regional earthquake.

  • PDF

New Discovery of Aira-Tn Ash(AT) in Korea (아이라Tn화산재 (AT)의 신발견)

  • Seonbok Yi;Tsutomu Soda;Fusao Ara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3
    • /
    • pp.447-454
    • /
    • 1998
  • As a widespread tephra erupted 24 to 25 KA, Aira-Tn Ash, or AT, provides an invaluable datum for stratigraphic study of late Pleistocene in Northeast Asia. AT can be identified from their tonal characteristic and morphology (the so­called bubble-wail feature), as well as typical refractive index. First reported in 1983, its presence was confirmed from many palaeolithic deposits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It forces us to reconsider the age of prominent Pleistocene deposits. At the famous archaeological site of Chon-gok-ni, presence of AT lends a firm support that sedimentation and deposition of lithic assemblage were in fact a late Upper Pleistocene event, thus, throwing a new question at archaeologists to explain why such archaic-looking tools were continued to be made. Discovery of AT at Chongdongjin is more surprising, since the coastal terrace has been regarded by many as an early Lower Pleistocene eustatic feature. It implies strongly that we need to devise a new scheme for Quaternary stratigraphy. In the absence of reliable datum and marker for Quaternary research, efforts must be given to search for and identify AT and other widespread tephras.

  • PDF

Slope Development of Scoria Cones in Cheju Island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사면발달)

  • 현경희;김태호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1
    • /
    • pp.37-45
    • /
    • 2001
  • Morphometric parameters such as cone height, cone height/width ratio($H_{co}$/$W_{co}$), cone height/difference between cone width and crater width ratio($H_{co}$/$W_{co-cr}$) and slope angle a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rates of slope development of scoria cones in Cheju Island. The parameters systematically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of scoria cones, suggesting that comparative morphology of scoria cones is a useful age indicator. Cone age is most highly correlated with $H_{co}$/($W_{co-cr}$ or average slope angle because summit craters are infilled and eventually removed by erosional processes. The average slope angle is estimated as $\theta_{ave}$= $tan^{-1}$/〔2.$H_{co}$/$W_{co-cr}$〕. Cheju Island was formed through four eruptive stages during Pleistocene. The youngest cones of stage 4(0.1~0.025Ma) have a mean average slope angle of 23.6$\pm$1.7$^{\circ}$, whereas stage 3(0.3~0.1Ma) and stage 2(0.6~0.3Ma) cones have mean values of 18.9$\pm$$1.7^{\circ}C$and 12.6$\pm$$1.9^{\circ}C$, respectively.

  • PDF

마지막 최대빙하기 이후 북극해 스발바드군도 Van Mijenfjorden의 고환경 변화

  • 남승일;김예동;윤호일;강천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46-46
    • /
    • 2004
  • Van Mijenfjorden은 스발바드 군도의 Spitsbergen 서부에 위치하는 두 번째로 큰 피오르드로 온난하고 염분도가 높은 북대서양의 표층수가 북극해로 유입되는 Gateway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지구적이며 지역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1999년 IMAG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프랑스 탐사선인 'R/V Marion Dufresne'을 이용하여 북극해의 스발바드 군도에 위치하는 Van Mijenfjorden (77$^{\circ}$ 46.87'N and 15$^{\circ}$ 17.81'E)에서 약 18m의 빙ㆍ해양 퇴적물 코아(MD99-2305)를 시추하여 마지막 최대 빙하기 이후의 고환경변화를 연구하였다. AMS 14C 연대 측정에 의하면 diamicton 층인 하부 2m를 제외한 16m의 퇴적층은 지난 12cal. ka BP경에 피오르드에 존재하던 조수빙하(tidewater glacier)가 해빙되기 시작한 이후에 퇴적되었다. 특히 유기지화학 자료와 부유성과 저서성 유공충의 산출양상 그리고 저서성 유공충인 C. reniforme의 산소ㆍ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에 의하면 코아 MD99-2305에는 Van Mijenfjorden에서 홀로세 동안에 일어난 퇴적환경변화를 잘 기록하고 있다. 특히 홀로세 동안에 피오르드내의 퇴적환경 변화는 조수빙하의 확장과 후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유기물의 탄소동위원소(13Corg) 비는 -24에서 -22$\textperthousand$ 값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Van Mijenfjorden 퇴적물에 공급된 유기물은 육상과 해양기원이 혼합되어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지난 12 cal. ka BP 이후 13Corg 값이 뚜렷하게 변하는 것은 Van Mijenfiorden에서 조수빙하의 변동과 표층수에서의 생산력의 변화를 강하게 반영한다. 강하게 반영한다.53%가 이공계 출신, 100대 기업 CEO의 38.4%가 이공계 출신, 대입수능시험에서 자연계 지원비율이 감소 -40.1%('99)\$\longrightarrow$34.7%('00)\$\longrightarrow$29.4%('01)\$\longrightarrow$26.9%('02)\$\longrightarrow$30.3%('03)\$\longrightarrow$31.5%\$\longrightarrow$'04)필요성, 효과적인 운전자 교육 정책 등이 그것이다.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은 유용한 시설로 여러곳에서 그 기능이 발휘되고 있으므로 많은 고속도로 관계자들은 설계, 시공 및 유지 관리 측면에서 유의해야 할 것이다.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압출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관찰하였고, 열간 압출재 이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실실하여 결정방위를 확인하였다. 전기 비저항 및 Seebeck 계수 측정을 위하여 각각 2$\times$2$\times$10$mm^3$ 그리고 5$\times$5$\times$10TEX>$mm^3$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였다.준비하였다.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 PDF

Assessment of Both Standard and Isolated Vibrio parahaemolyticus on Efficacy of Commerci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Vibrio parahaemolyticus 표준 및 식품분리 균주에 대한 살균소독제 유효성분별 감수성 평가)

  • Kim, Il-Jin;Kim, Yong-Su;Kim, Hyung-Il;Choi, Hyun-Chul;Jeon, Dea-Hoon;Lee, Young-Ja;Ha, Sang-Do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2 no.2
    • /
    • pp.127-131
    • /
    • 2007
  • This study evaluated the bactericidal effect of 10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such as ethanol (75 and 95%), iodine (15 and 25 ppm), chlorine (100 and 200 ppm), quaternary ammonium, acid, hydrogen peroxide, and peroxide acetic acid against V. parahaemolyticus. Ten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Korean foods and 4 strains of standard V. parahaemolyticus were compared for efficacies of various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by EN 1276 method based on quantitative suspension test. Ethanol (75 and 95%), 25 ppm of iodine, 100 ppm of quaternary ammonium, 145 ppm of hydrogen peroxide and acid showed more than $5log_{10}CFU/mL$ reduction in both clean and dirty conditions. Tests result of chlorine (100 ppm) showed more than $5log_{10}CFU/mL$ reduction in clean condition. Iodine (15 ppm) showed more than $5log_{10}CFU/mL$ reduction except 4 isolated and 1 standard V. parahaemolyticus in clean condition. iodine (15 ppm) also showed under $5log_{10}CFU/mL$ reduction $(0.93{\sim}3.73log_{10}CFU/mL)$ in dirty condition. Eleven hundred ppm of hydrogen peroxide was evaluated as weak sanitizer and disinfectant due to their $0.99{\sim}4.79log_{10}CFU/mL$ reduction on both clean and dirty conditions. Consequently, ethanol, iodine (25 ppm), chlorine (200 ppm), quaternary ammonium, acid and peroxide acetic acid were thought to be effective sanitizer and disinfectant against V. parahaemolyticus.

지표환경변화 추적을 위한 훕스굴 시추사업 현황

  • 김정찬;김주용;양동윤;남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49-50
    • /
    • 2004
  • 푸른 진주라 불리는 훕스굴호는 러시아 국경에 인접한 몽고 북부의 청정호수로 해발 약 1,645m 지점에 위치한다. 훕스굴호의 길이는 약 136km이고, 폭은 20-40km이며, 최대수심은 약 262m 이다. 이 호수의 물은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담수 중 하나로 몽고 지표수원의 약 70%를 공급하고 있다. 훕스굴호는 바이칼 열곡대내에 형성된 일종의 구조호로 약 240만년 내지 400만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훕스굴호는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따라서 호수의 유역은 다행스럽게도 인간활동에 오염되거나 교란되지 않아 다양하고 흥미로운 육상/수성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퇴적물 기록 역시 후기 신생대 동안의 중앙아시아의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 연구에 매우 적합하다. 바이칼 시추사업 (Baikal Drilling Project)은 신생대 후기 동안의 중앙아시아의 지구조진화 및 전지구적 기후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미국, 러시아, 일본, 독일 등이 참여한 다국가 공동사업이다. 바이칼 시추사업 연구팀은 지난 15년간 많은 노력과 예산을 투자하여 바이칼 호로부터 총 1,600m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퇴적물 코아를 성공적으로 회수하였고, 이 시료를 이용하여 후기 신생대 동안의 중부 유라시아 대륙의 고기후/고환경 진화과정을 성공적으로 규명하였다. 바이칼 시추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 사업에 참여했던 러시아와 일본의 과학자들은 바이칼호의 서쪽에 위치한 몽고 북부의 훕스굴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동시에 바이칼 시추사업의 후속사업으로 훕스굴 시추사업을 새롭게 추진하게 되었다. 한편, 대륙내부에서의 제4기 지구환경 및 기후 변화 과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오던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도 2003년에 정식 회원으로 훕스굴 시추사업에 합류하였다. 훕스굴 시추사업 연구팀은 몽고의 지질광물자원연구소 (대표연구기관), 러시아의 지구화학연구소, 일본의 나고야대학교 그리고 한국의 지질자원연구원 등 4개국의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4개 연구기관은 시추획득 및 기초연구 수행에 필요한 연구비를 현금 혹은 현물 (장비 포함)의 형태로 공동부담하고 있으며, 따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훕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훕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훕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일산 이산포 역사시대의 미고생물학적 연구

  • Lee, Sang-Heon;Kim, Ju-Yong;Yang, Dong-Yun;Hong, Se-Seon;Sin, Suk-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75-76
    • /
    • 2004
  • 일산 이산포 BH-4 발굴단면의 퇴적물 시료로부터 화분 포자 및 담수성과 해양성조류화석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산출된 식물기원 미화석 중, 목본화분 $25{\sim}60%$, 초본화분 $15{\sim}70%$ 그리고 포자 $4{\sim}30%$ 각각 구성 되었다. 또한 담수성 조류(freshwater algae)는 전체 단면구간에서 산출된 반면, 와편모류(dinoflagellate), 아크리타치(acritarch)와 같은 해양성조류(marine algae)는 하부단면구간(절대고도: 3.31-2.74 m)에서만 산출되었다. 산출된 화분 포자 및 통계처리기법(CONISS)을 이용하여 2개의 지역화분대 (local pollen a assemblage zone) 및 4개의 아화분대(local pollen assemblage subzone)가 설정되었다. 제I화분대(시료 $Al-2{\sim}A6-1$, 고도 $2.70{\sim}3.31\;m$)는 다시 제Ia아화분대(시료 $Al-2{\sim}A3-1$, 고도 $2.70{\sim}3.00\;m$)와 제Ib아화분대(시료 $A4-2{\sim}A6-1$, 고도 $3.01{\sim}3.31\;m$)로 세분되었으며; 제II화분대(시료 $A7-2{\sim}A10-1$, 고도 $3.32{\sim}3.72\;m$) 역시 두개의 아화분대인 제IIa(시료 $A7-2{\sim}A8-1$, 고도 $3.32{\sim}3.51\;m$)와 제lIb(시료 $A9-2{\sim}A10-1$, 고도 $3.53{\sim}3.72\;m$)로 이루어졌다. 화분군집조성에 의하면, 미화석들이 퇴적되었던 시기동안에 2개의 산림(forest)형태가 발달했던 나타났다. 제I화분대(고도, $3.31{\sim}2.74\;m$)의 시기동안에는 침엽수와 낙엽활엽수로 이루어진 혼합림으로, 주요 식생은 2엽소나 무(Diploxylon), 가문비((Picea), 낙엽송(Larix)의 침엽수와 참나무(Quercus), 자작나무(Betula), 개암나무(Corylus), 중국굴피 나무속(Pterocarya)의 낙엽활엽수 등이 산악-구릉지에서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생나무인 오리나무(Alnus), 버드나무(Salix)등과 해안가 등지에서 잘 서식하는 양치식물과 사초과(Cyper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같은 풀들이 하구언(estuary)의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동안에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와 담수성 조류가 동시에 다양하게 산출되는 것은 하구언 퇴적환경이었음을 잘 지시해 준다. 제II화분대(고도, 43.72{\sim}3.36\;m$)가 시작되면서 혼합림은 침엽수림으로 바뀌었으며, 낙엽활엽수들의 서식지가 2엽소나무로 대치되면서 침엽수가 주요 수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런 산림형태는 자연 기후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인간간섭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 경작식물인 벼과(Gramineae), 옥수수(Zea), 메밀(Fagopyrum)과 논밭의 뚝 등지 에서 서식하는 돼지풀(Ambrosia) 등이 처음으로 산출되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이 행해졌음을 잘 뒷 받침해준다. 또한 담수성 조류는 변함없이 산출되는 반면, 해양성조류인 와편모류가 산출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해안환경에서 다소 멀 어진 저지대의 습윤한 충적대지환경으로 변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