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isabled Services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8초

방송통신 유선 설비에 접속되는 단말장치 기술기준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Regulation for Terminal Equipment connected to Wire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Facilities)

  • 김봉석;최문환;조평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3-816
    • /
    • 2013
  • 국립전파연구원에서는 방송통신설비의 운용자 및 이용자의 안전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하여 위해 방지 및 오용, 고장 방지, 장애인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 단말장치간 상호호환성, 전송 품질과 망 접속 등에 관한 단말장치의 세부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하고 있으며, 방송통신설비 기술의 발전과 서비스의 다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단말장치 기술기준의 제 개정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2013년 신규 융합 서비스 및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 방송통신 서비스의 품질 제고를 위해 단말장치의 신호 전력 측정 대역의 확장과 의사회로의 대체 종단 사용 기준, 디지털 회선 접속 단말의 펄스 형상 기준 등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기반의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Ubiquitous-based Monitoring Service System)

  • 노찬숙;김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70-317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정보통신의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USN과 LBS 기술을 이용하여 사회복지 인프라를 위한 서비스 체계화, 상대적 소외계층을 위한 안전체계 구축, 첨단 IT 기술 접목의 복지통신정책 실현, 공공 u-Wellbeing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u-Care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 서비스는 독거 또는 치매노인,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로 거주지 실내 활동 현황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실외 활동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초소형 GPS 기반의 위치추적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호대상자의 실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이상이 생겼을 시에 사회복지 관련 기관, 경찰, 119, 가족 등에게 SMS로 자동 발송하는 서비스 방식이다.

문서 편집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음성 명령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using Wavelet Band Entropy Ensemble Analysis in Car Noisy Environments)

  • 박주현;박세아;이무늬;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342-1352
    • /
    • 2018
  • Voice Command systems are important means of ensuring accessibility to digital devices for use in situations where both hands are not free o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ests in services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have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bile writing applic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voice command technology which helps people create and edit documents easily. This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minimization of the touch on the screen and the writing of memo by voice. We have systematically designed a mode to distinguish voice writing and voice command so that the writing and execution system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one voice interface. It provides a shortcut function that can control the cursor by voice, which makes document editing as convenient as possible. This allows people to conveniently access writing applications by voice under both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Disabled-related Information Behavior)

  • 김민철;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88
    • /
    • 2013
  •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및 잠재적 이용자층의 정보요구 미 파악, 단일화된 정보제공 채널의 미비, 웹 접근성의 낮은 체감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는 요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서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언하였다.

산업재해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The Social Support of the Handicaped in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 이현주;오진주;최정명;현혜진;윤순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0-88
    • /
    • 2003
  • Rehabilitation has emerged in recent years as major topic for the handicaped in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IACI). Specially social support helps the handicaped adjust themselves psychosocially to handica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t content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rovide guidlines for specific and proper rehabilitation for the handicaped of IACI.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two phase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In the first stage, surveys were performed via telephone interviews. In the second stage, surveys were performed via home-visit subjects in the first stage included the handicaped of IACI. Fin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338 subjects and analyzes by SPSS/PC+10.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which developed by Lee(1996). These scales in the form of 5-point Likert type, consists of 20 items, including 3 subscales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The mean score of social support was 57.2, emotional support 21.0, informational support 21.2 and instrumental support 15.2. The mean of depression for psychosocial factors is 37.5. Thr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erceived social support; age, job status, handicaped degree in IACI, post-traumatic complication and use of instrument. Emo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ge, number of dependent family, job status, handicaped degree in IACI, use of instrument and depression. Informa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job status, posttraumatic complication, use of instrument and depression. Instrumental suppor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sex, job status, handicaped degree in IACI, use of instrument, and depression. The current system of the Labor Welfare institute is not appropriate for solving health problems of the handicaped in IAC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lan which can provide the handicaped in IACI high-quality rehabilitation services, so that they must use those services in the community without being dependent on hospitals. This study proposes home visit nursing services as the way to provide various health services within community for the handicaped in IACI.

  • PDF

성인 발달장애인의 의미 있는 낮 시간을 위한 주간활동서비스 지원 방안 (Daytime Activities Support Plan for Meaningful Days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최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105-114
    • /
    • 2019
  • 커뮤니티케어가 기반이 된 주간활동서비스는 학령기 이후의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돌봄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참여를 결합한 '참여형 지역사회 통합 돌봄(커뮤니티 케어) 서비스를 의미한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발달장애인이 낮 시간 돌봄 및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다는 점에서 부모 및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고 발달장애인 당사자에게는 생애주기별 평생케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 케어기반의 주간활동서비스내용을 고찰하고, 성인기 발달장애인에게 의미 있는 사회참여가 될 수 있는 돌봄 프로그램을 전개하기 위해 앞으로 전개되어야 할 주간 활동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에 문헌연구를 통해 커뮤니티케어로서의 성인발달장애인의 주간활동 서비스, 사회활동실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보다 앞서 주간활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영국 켄트 주의 주간활동서비스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상을 바탕으로 활동지원바우처 증액, 주간활동 서비스 시간확대, 주간활동 서비스 대상자 수 확대를 위한 예산편성 확대, 최중증 발달장애인 20% 우선순위를 확대 적용 및 별도의 팀 구성, 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역할 강화를 제시하였다.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 환경과 재활 접근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of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 조경희;정진엽;이경민;성기혁;조병채;박문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09-316
    • /
    • 2019
  • 목적: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 환경과 재활 접근성을 조사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주거 관련 법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보고 장애인 건강권에 관한 법률 제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거, 재활, 접근성 3개의 키워드로 문헌을 검색하여 주거 환경, 재활 접근성이라는 2개의 아이템을 선정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문항은 총 51문항을 작성하였고 그중 24문항은 리커트 척도, 27문항은 다지선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뇌성마비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 100명 중 재가보호 중인 환자는 93명, 시설보호 중인 환자는 7명으로 나타났다. 재가보호 중인 경우 65%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고, 주로 2층 이상의 지상층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그중 40%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 거주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단계에 따라 GMFCS I, II, III은 보행가능군, IV, V는 보행불가군으로 나누어 군별로 느끼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재가보호 중인 경우 두 군 모두 혼자서 재활센터 방문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했고, 시설보호 중인 경우 보행가능군은 혼자 시설 밖으로 나가기, 보행불가군은 혼자서 화장실 이용하기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3%는 뇌성마비 환자에게 재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재활을 받는 뇌성마비 환자는 33%에 불과했다. 재활을 받는 경우, 평균 주 3.6회, 회당 39분 동안 치료를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주거약자법은 접근로와 관련된 규정이 없고 장애인등편의법에서는 공동주택에 대한 주 출입구 접근로의 항목만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환자는 18%로, 이들은 접근로가 확보되지 않은 주거 환경에서 살고 있다. 뇌성마비 환자들이 고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법률은 없으며, 실내로 진입하기 위한 접근로에 관한 법률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시행 중인 장애인등편의법, 주거약자법 그리고 2017년 12월에 시행된 장애인건강권법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현실적으로 느끼는 어려움을 반영한 시행 규칙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설문을 통해 뇌성마비 환자의 주거와 재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2.1의 공간정보 웹 시각화 적용 기초 (Application Basics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to Web Visualization of Geo-based Information)

  • 박한샘;김광섭;이기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123-135
    • /
    • 2016
  • 최근 위치정보 기반 광고, 개인용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공간정보 응용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보편적인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고부가 콘텐츠와 연계하여 온라인 지도 편집과 같은 전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정보 기반 웹 서비스들을 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사용하는 것을 쉽지 않다. 물론 이 같은 실정이 공간정보 관련 서비스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다양한 분야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웹 콘텐츠를 다루는 데 필요한 기술적 사양이 필요하다. 이에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을 개발하여 공표하였으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은 이를 참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증심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웹 서비스 분야에 비해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웹 콘텐츠 접근성 적용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나 실무 적용 서비스 사례가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웹 콘텐츠 접근성과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여러 응용 분야 중에서 공간정보 웹 시각화 분야를 중심으로 이 지침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Barrier Free Accessibility to Trains for All

  • Rentzsch, Manfred;Seliger, Denis;Meissner, Thomas;Wessner, Claudia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1권4호
    • /
    • pp.143-148
    • /
    • 2008
  • This paper is the output of a collaborative European project concerning the barrier fre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rsons to regional and long distance trains in Europe. Disabled people represent around 13% of the population in Europe. This is approximately 63 million people. The range of disabilities includes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including wheel chair users, viewing and hearing impaired people and other forms of impairment. Improving accessibility aims at contributing to the provision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to all citizens in an equitable way.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analyse and to evaluate the existing solutions at selected European railways for all required modules at the entrance (doors, information and safety solutions), to derive a design concept, to develop a mock-up in meeting the needs of rail travellers with the above mentioned impairments and to test it with user groups. The project also aims at deriving components for the determination of standards. The EUPAX Design Mock-up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advantages of the layout of the train segment including the different modules such as access area (including the access door, gaps between platform and train as well as boarding aid devices), entrance vestibule, information systems inside and outside the train, emergency facilities, toilet with all conveniences and the additional test arrangements regarding push buttons, steps and emergency equipment.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e assessment of the EUPAX segment and the additional test arrangements. With the help of this questionnaire it was possible to execut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During three test phases 67 experts and handicapped persons from 6 countries have evaluated the Industrial Design mock-up based on this questionnaire. The test group covered persons from North (Denmark) to the South (Italy) and from the West (Spain) to the Middle of Europe (Germany).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generalization (harmonisation) of the results for all European countries. According to COST 335 the information for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should be clear, concise, accurate and timely. So that all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persons, they must be transferred on at least two of the three possible ways (acoustical, visual, tactile), a so called "2-sense-principle". Based on the results ergonomic specifications/ solutions for the ergonomic design of the access area, the acoustic, visual and tactile information and the emergency devices including the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were developed, related to the benefiting passenger groups.

  • PDF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후원을 중심으로

  • 김미숙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61-297
    • /
    • 2004
  •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provide the socially disadvantaged with proper social services,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not only of the lack of governmental support, but also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lack of skills in developing abundant resources from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factors affecting resource mob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devise policies in resource development. 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Employees in charge of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study population were two types of welfare faciliti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 total of 293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632 residential care facil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ponse rate was about 62%.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was the amount of resource mobilization in the year 2001 which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donors,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and estimated amount of gift-in-kind. Three types models were constructed per each welfare facil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community environment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resource development factor.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 in various models. In the models of donors, the amount of donation, and the amount of gift-in-kind, at least one out of four variables in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was significant. Welfare centers which establish the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hire employees to take care of resource development, and adopt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Interestingly, the centers where employe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as well as other responsibilities (dual duty), did not have more resources mobilized than those with no employees for resource development. Using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many models, except for the donor model. In additio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ocated in urban area have more donors and donations, and among residential facilities those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mentally retarded and those hiring more employee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ose for the disabled and those hiring less employees. As for the gift-in-kind model, the centers located in high income area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and mentally retarded receive less gift-in-kind than those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mobilize resources the welfare centers as well residential care facilities need to hav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resource development staffs, and adopt computer software to systematically organize don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