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oncept of Documentary Photograph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기록사진의 개념 형성과 전개 (The Facets of Korean Documentary Photography)

  • 박주석
    • 기록학연구
    • /
    • 제27호
    • /
    • pp.169-208
    • /
    • 2011
  • 본 논문은 한국에서 기록사진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인식했으며, 현재는 어떤 개념들이 혼재하고 있는지를 추적한 결과이다. 또 우리가 직, 간접적으로 기록사진의 개념과 형식, 내용 등을 수입한 미국에서의 기록사진의 역사와 개념 논의를 살피고, 한국에 이식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기록사진은 다큐멘터리사진의 번역어이면서, 미국의 1930년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전통에 근거해서 개념화되어 있다. 이를 정리하면 한국에서 기록사진은 주제의식이 뚜렷해야 하고, 정확한 시대인식에 근거해야 하며, 정보를 충분히 전달해줄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감정을 움직이고 감동을 전달해야 한다. 이런 조건을 갖추었을 때 작가의 관점이 극명하게 드러나며 사회적 및 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기록사진은 대상을 정확히 기록하려는 사진가의 의도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그 사진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고 또 어떻게 사용하는가의 문제도 역시 중요하다. 한국의 기록사진이 사진사적으로만이 아니라 기록학적인 의미를 갖기 위해서 꼭 보완해야할 일이 정확한 맥락정보의 생산과 기록화 전략의 강화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진지리학의 역할과 범위 (A Study on the Problem for discussion about Photogeography)

  • 김주환
    • 동굴
    • /
    • 제74호
    • /
    • pp.33-43
    • /
    • 2006
  • 지리학(地理學)은 장소에 관한 학문이며, 장소를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연구가 시작된다. 지리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그 기록을 연구자료로서 축적하고,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진지리학(寫眞地理學)은 사진의 기록성(記錄性)과 예술성(藝術性)을 지리학에 접목시킨 것이다. 즉 사진지리학은 지리학연구(地理學硏究)나 지리교육(地理敎育)에 있어 영상매체(映像媒體)로서의 제사진(諸寫眞)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해 가는 것이다. 지리학에 있어 이용되는 사진은 그 성격상 크게 지리사진(地理寫眞)과 일반사진(一般寫眞)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형태상으로 크게 정사진(靜寫眞)과 동사진(動寫眞)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단사진(單寫眞), 슬라이드, 항공사진(航空寫眞), 위성사진(衛星寫眞) 등은 정사진에 해당되며, 비디오, 영화 등은 동사진에 속하는 것이다. 지리사진(地理寫眞)은 결과적으로 지리적인 정보가 찍혀 들어간 것만이 아니라, 처음부터 확실히 그러한 정보를 찍으려고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사진지리학자(寫眞地理學者)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사진을 지리학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 보다 효과적인 지리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술, 같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는 예술적 감각 등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은 곧 사진지리학이 풀어가야 할 과제가 된다.

인체에 대한미의식에 따른 복식형태 -고대 이집트에서 낭만주의 시대까지- (The Form of Dress related to the Ideal Beauty of Body - from Ancient Egypt to the Romantic Period-)

  • 류기주;김민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7-369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Beauty of Body and the Form of Dress, and to analyze its historical perspectives. First of all, the concept of the Ideal Beauty of Body, the definition of Dress Form, and the method and system to clarify Dress Form were depicted. Based on this frame work, the Form of Dress related to the Ideal Beauty of Body was described historically. For this purpose, documentary research were conducted and representative photography and paintings were used.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female one-Piece dress from Ancient Egypt, Greece, Rome, Byzantine, Gothic, Renaissance, Baroque, Rococo, Naoclassicism, and to Romantic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deal Beauty of Body was found to be different throughout history and to be intimate- ly linked with fashionable dress. 2. The Form of Dress consisted of four basic components: The form of body itself, the form of clothing itself, the method of wea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clothing. 3. The standards for classification of body form were body structure, body type, body proportion, posture, and movement. Clothing form was generally classified into flat type (unstructured type) and three dementional type (structured type); flat type was subclassified into draped type and tunic type. The method of wearing was classified into attached type, tying-up type, wrap·around type, pull-over type, open type and plastistic typ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clothing after wearing was generally classified into body priority type and clothing priority type. The clothing priority type was further divided into body exaggeration type and body concealment type; Body exaggeration type was further divided into upward type, downward type, forward type, backward type, right type and constriction type. 4. The pursuit of venus coelestis, metaphysical body part, ectomorphic body type, flat type clothing, body priority type; the pursuit of Venus Naturalis, physical body part, endomorphic body type, three dementional type clothing, clothing priority type proved to be closely related respectively by the historical study on the Ideal Beauty of Body and the Form of D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