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cets of Korean Documentary Photography

한국 기록사진의 개념 형성과 전개

  • 박주석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In this thesis, I pursued how the concept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Korea was formed, and how Koreans perceive the current mix of some concepts and how they are tracked that. Korean photography society, directly or indirectly, accepted the concept and format of documentary photography of the United States in which information and discussion of the history and concep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o Korea are examined. Giroksajin(記錄寫眞) is a translation word of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was a part of documentary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 of the 1930s, and are all based on that concept. When we order Korean documentary photography and the subject matter must be distinct, attitude toward the things should be based on the exact perceptions of this age awareness, to be able to give enough information, and finally moved forward to move the human emotion must be. When this condition is equipped with the photographers and archivists perspective is revealed clearly the social and historical records that are meaningful. Documentary photography is the subject of the photographers and archivists that want to record the important things, but what you can get in the records and the question of how to use it is also important. Korean documentary photography, not only records the things, just to have a meaningful supplement to get done the exact context of information production and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strengthening of documentation strategies.

본 논문은 한국에서 기록사진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인식했으며, 현재는 어떤 개념들이 혼재하고 있는지를 추적한 결과이다. 또 우리가 직, 간접적으로 기록사진의 개념과 형식, 내용 등을 수입한 미국에서의 기록사진의 역사와 개념 논의를 살피고, 한국에 이식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기록사진은 다큐멘터리사진의 번역어이면서, 미국의 1930년대 다큐멘터리 사진의 전통에 근거해서 개념화되어 있다. 이를 정리하면 한국에서 기록사진은 주제의식이 뚜렷해야 하고, 정확한 시대인식에 근거해야 하며, 정보를 충분히 전달해줄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간의 감정을 움직이고 감동을 전달해야 한다. 이런 조건을 갖추었을 때 작가의 관점이 극명하게 드러나며 사회적 및 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기록사진은 대상을 정확히 기록하려는 사진가의 의도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그 사진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고 또 어떻게 사용하는가의 문제도 역시 중요하다. 한국의 기록사진이 사진사적으로만이 아니라 기록학적인 의미를 갖기 위해서 꼭 보완해야할 일이 정확한 맥락정보의 생산과 기록화 전략의 강화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Keywords

Cited by

  1. 자기역사 구성에서의 SNS 게시물 기록 적용 연구 vol.64, pp.None, 2011, https://doi.org/10.20923/kjas.2020.6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