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1/Th2 response

검색결과 635건 처리시간 0.026초

치료실패 폐결핵 환자의 세포성면역반응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Cell-Mediated Immunity in Treatment Failure Pulmonary Tuberculosis)

  • 박정규;박장서;김화중;조은경;민들레;임재현;서지원;백태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13-25
    • /
    • 1999
  • 연구배경: 결핵은 대식세포와 T 림프구가 주로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에 의하여 발생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특히 Th1 또는 Th2 림프구 가농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면역반응의 결과에 따라 결핵균에 대한 감수성 또는 저항성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치료실패 폐결핵환자의 말초혈액단핵구를 PPD 또는 수용성 TSP 항원으로 결핵의 보호면역과 관계가 있는 Th1 반응과 결핵의 감수성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진 Th2 반응을 관찰하였다. 방법: 수용성 TSP 항원과 대조항원인 PPD 항원으로 건강인, 폐결핵으로 진단되어 단기치료지침에 의하여 균음 전화된 치료반응 환자 및 치료실패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대상으로 단핵구 증식반응과 Th1 반응 및 Th2 반응과 각각 관계가 있는 IFN-$\gamma$ 및 RANTES와 MCP-1 mRNA 발현 빈도를 역전사효소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PPD 피부반응 양성 건강인 모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자극지수 4 이상의 유의한 증식반응을 보였으나 PPD 음성 건강인 모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자극지수 4 미만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치유된 환자는 80%의 증식반응을 보였으나 치료실패 환자는 PPD 에 의하여 30.8% 그리고 TSP 항원에 의하여 15.4% 만이 자극지수 4 이상의 유의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치유된 환자의 1FN-$\gamma$ mRNA 발현빈도는 90.0% 이었으나 치료실패 환자는 PPD 또는 TSP 항원에 의하여 23.1% 만이 유도되었다. PPD 양성 건강인의 말초혈액단핵구를 PPD, TSP 또는 PHA로 자극하면 RANTES가 모두 발현되었다. 치료실패 환자, PPD 피부반응 음성 및 치유된 환자를 PPD로 발현을 유도한 경우 각각 76.9%, 80.0%로 대상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TSP 항원으로 유도하면 건강 대조군 및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치료실패 환자는 46.2%로 발현빈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PHA로 자극한 경우에서도 치료실패 환자는 69.2%로 감소하여 IFN-$\gamma$ mRNA 발현율 감소 경향과 유사하였다. 치료실패 환자는 MCP-1의 발현빈도가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치료실패 환자에 있어서 PHA 자극의 53.8% 보다는 PPD 또는 TSP로 자극한 경우에 발현빈도가 각각 76.9%로 높았다. 그러나 PPD 양성 건강인 및 치유된 환자는 PPD 또는 TSP로 유도한 결과 40% 이었으며 PHA로 유도한 경우는 각각 80%와 90%로 결핵균 항원에서 낮은 발현 빈도를 보여 치료실패 환자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치료실패 환자는 PPD 피부반응 양성 건강인 및 치유된 환자에 비하여 말초혈액단핵구의 증식능, 1FN-$\gamma$ 및 RANTES mRNA 발현빈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Th1 반응이 억제되어 있었다. 반면에 MCP-1 mRNA의 발현빈도는 현저히 증가되어 Th2 반응의 증가로 결핵균 사균 능력이 치료실패 환자는 감소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 PDF

가토 하악골에 Proplast I과 II 이식후 주위 조직반응 및 골형성 (EFFECTS OF PROPLAST I AND II IMPLANTATION ON THE SURROUNDING TISSUE RESPONSE AND BONE FORMATION IN RABBIT MANDIBLE)

  • 류선열;김건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3호
    • /
    • pp.252-264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ponse of adjacent tissue and new bone formation after implantation by different methods of subperiosteal using using Proplast I and II in rabbit mandible. Microstructure of Proplast I and II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implantation procedure was carried out by dividing into tow groups, A and B. a group consisted of subperiosteal graft on the cortex, and the other B group was made up onlay graft following artificial decortication in the madibular body of rabbi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st, 2nd, 4th and 8th week after grafting for macroscopic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The samples extracted at the 6th postgrafting week were also used for biometric test. The result ere as follows : 1.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pore size was $50{\sim}180{\mu}m$ in the Proplast I and $100{\sim}220{\mu}m$ in Proplast II. 2. Macroscopically, infection of the graft site, deform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implanted materials were not observ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3. In the tissue respons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observed from the 2nd to the 8th week in Proplast I. Inflammatory cells decreased in number from the 2nd week in Proplast II suggesting that Proplast II is better than Proplast I. 4. Bone formation was not observed until the 8th week in the group A, but new bone formation from the surrounding graft bed and the periostium was appeared from the 4th week in the group B. 5. The maximum mean values of shear stress mere serially $65.5gf/mm^2$ in Proplast II of group B, $32.9gf/mm^2$ in Proplast I of group B, $17.0gf/mm^2$ in Proplast II of group A, and $15.7gf/mm^2$ in Proplast I. of group A.

  • PDF

Th1/Th2 Cytokine Modulation in Human PBMC by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 Lyu, Su-Yun;Park, Won-B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31-636
    • /
    • 2008
  •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DA) have been shown to have various levels of activity such as antioxidant, anticancer, antivirus, and immunostimulatory effec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its mechanism related to the modulation of immune activities. In this study, a water extract of ADA leaves were used to treat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hPBMC) to determine the underlying mechanisms for the immunostimulatory effects. To characterize its immunomodulatory activity, the secretion level of various cytokines including IL-2, IL-4, IL-6, IL-10, IL-12, IFN-$\gamma$, and TNF-$\alpha$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reatment of hPBMC with ADA leaf extract in an in vitro experiment induced various Th1 cytoki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 significant increase of IL-2, IL-12, IFN-$\gamma$, and TNF-$\alpha$ secretion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ADA leaf extract. In contrast, Th2 cytokines including IL-4 and IL-6 were suppress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IL-10 release. Our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1 and a decrease in Th2 cytokine secretion which suggests that ADA may influence the immune response towards a predominance of Th1 cytokines in the immune system.

과도 운동 후 면역능 개선에 미치는 황기 다당체의 효과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lysaccharides on Improves Immune Response after Exhaustive Exercise Rats)

  • 이시영;이한나;고은지;박영철;최선강;유창연;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2-81
    • /
    • 2018
  • Background: Polysaccharides are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constituent in Astragalus membranace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aboveground parts of A. membranaceus (AMA) and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roots of A. membranaceus (AMR) immune function by modulated cytotoxic T cell and Th1- and Th2-related cytokines kinetics. Methods and Results: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haustive exercise case groups and non-exercise case, AMA and AMR samples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30 days (500 mg/kg/day and 10 mg/kg/day, respectively) and were compared to those rats in the groups fed commercial sports drink (SPD) and vehicle. Both exhaustive exercise groups and non-exercise groups had a lower ratio of $CD4^+$ and $CD8^+$ cells in the spleens of the rat fed AMA and AMR compared to those in the rats fed SPD and vehic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MA and AMR promote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ytotoxic T cells. The IL-4-producing T lymphocyt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MR (10 mg/kg/day) group compared to SPD and vehicle, whereas the AMA group increased the IL-4 concentration more than the SPD and vehicle in exhaustive exercise group. However, the populations of IFN-${\gamma}$-producing T lymphocytes of AMR and AMA increased. AMA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FN-${\gamma}$ to inhibit the Th1 response and thereb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L-4 to induce a Th2 response that was related to humoral immunity in the non-exercise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in addition to Th1/Th2 regulation, AMR and AMA played an important immuno-modulatory role after exhaustive exercise-induced Th1/Th2 lymphocyte imbalance, which might be correlated with cytokine producing immunoregulatory cells.

가잠의 인공사료자원과 섭식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ile Resources for the Artificial Diet and Feeding Response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36
    • /
    • 1982
  • 본 연구는 누에의 인공사료를 개선함에 있어서 사료자원을 저렴한 가격으로 손쉽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49종의 식물과 5종의 Cellulose원에 대하여 사료자원으로서의 적부를 검정하고 한편으로는 82종의 보존잠품종에 대한 계통별 섭식상황을 조사하고 또한 사육조건에 따른 섭식성의 차이와 잠체내의 효소활성과의 관계에 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할 49종의 식물중에서 대조구(기본인공사료)보다 모진율, 2령기잠률 및 기잠체중이 더 높은 것은 동부, 오리나무, 결명차, 고구마, 토끼풀, 벚나무, 콩등이었다. 2. 모진율과 2령기잠률이 우수한 동부, 고구마. 방동산이, 오리나무 결명차, 망초구를 선발하여 전령사육을 행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최성잠체중과 견중이 무겁고 화통비율도 더 높았으므로 이들 식물은 인공사료자원으로 이용할만한 충분한 가치가 인정되었다. 3. 인공사료조성에 첨가할 Celluloso원은 뽕나무 Cellulose가 잠체중과 견층비율이 높고 감잠비율은 낮으며 과과일수가 짧아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Cellulose조제방법은 NaOH처리법이 가장 간편하고 가공비도 절약되었다. 4. 우리나라 보존잠품종 82종의 인공사료에 대한 섭식성은 잠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고 계통간에도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대체로 일본종계가 양호한 편이고 중국종계, 구주종계의 순이다. 5. 사료조건이 상이한 경우 즉 인공사료육에서 상엽육으로 또는 상엽육에서 인공사료육으로 전환하는 시기는 다같이 4령초기가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며 3령기도 무방할 것 같다. 6. 인공사료육에 적당한 온도범위는 1~3령기는 3$0^{\circ}C$, 4~5령기는 28$^{\circ}C$로 밝혀졌으며 전령 27$^{\circ}C$도 거의 비슷한 사육결과를 보여 주었다. 7. 잠품사별, 사육온도별 그리고 사료원별로 Esterase 및 Phosphatase의 Agarose gel 전기영동상을 비교해 보면 1) 상엽육과 인공사료육잠아의 중장 Esterase영동상은 잠령기별로 서로 다르고 상엽육잠아에는 인공사료육잠아에 비하여 1~2개의 활성대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2) 인공사료에 대한 섭식성이 양호한 중 15는 섭식성이 불량한 중 60희에 비하여 중장 Esterase활성대가 1~2개 더 많은 경향이 있었다. 3) 사육온도별로 3~4령잠의 중장 Esterase영동상을 비교하면 28$^{\circ}C$구는 3,4령 모두 5개활성대가 인정되었으며 35$^{\circ}C$구에서는 3령기에 4개활성대, 4령기에 6~7개의 활성대가 나타났다. 4) 중장 혈액 및 견사선의 Esterase영동상은 각기 상이하다. 즉 중장에는 5개활성대. 혈액에는 1개활성대, 견사선에는 3개활성대가 인정되며 발육 계제에 따라 활성대수에 변화가 있었다. 5) 중장 혈액 및 견사선의 Acid Phosphatase영동상을 보면 중장에는 3령잠에 1개, 4령잠에 2개, 5령잠에는 3개활성대가 인정되었으며 혈액에는 3,4령잠에 각1개, 5령잠에는 3개활성대가 인정되었다. 중잠과 혈액의 Acid phosphatase형은 잠품종간이나 사육온도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뚜렷하지는 않았다. 견사선에는 활성대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국소 허혈성 뇌졸중 모델 흰쥐의 인지기능에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이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Enhanc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Focal Ischemic Stroke Rat Model)

  • 이정인;김계엽;남기원;이동우;김기도;김경윤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0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focal ischemic stroke rat model. Methods : This study selected 30 Sprague-Dawley rats of 8 week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ssigned 15 rats to each group. Control group: Non-treatment after injured by focal ischemic stroke; Experimental group: application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0.1 Tesla, 25 Hz, 20 min/time, 2 times/day, 5 days/2 week) after injured by focal ischemic stroke. To assess the effect of rTMS, the passive avoidance test,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bility test were analyzed at the pre, 1 day, $7^{th}$ day, $14^{th}$ day and immunohistochemistric response of BDNF were analyzed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at $7^{th}$ day, $14^{th}$ day. Results : In passive avoidance test, the outcome of experimental group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7^{th}$ day, $14^{th}$ day. In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bility test, the outcome of experimental group was different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7^{th}$ day, $14^{th}$ day. In immunohistochemistric response of BDNF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experimental groups was more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 suggest that improved cognitive function b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after focal ischemic stroke is associated with dynamically altered expression of BDNF in hippocampal dentate gyrus and that is related with synaptic plasticity.

키토산이 Th1과 Th2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the Production of Th1 and Th2 Cytokines in Mice)

  • 김광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1-4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이 마우스에서 Th1과 Th2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키토산에 의한 IL-2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FN-$\gamma$ 생성의 변화, 그리고 키토산에 의한 IL-4 생성의 변화, 키토산에 의한 IL-10 생성의 변화를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LPS, Con A, PHA-P와 같은 세포자극물과 키토산이 함께 작용되었을 때 상기 사이토카인의 생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1 사이토카인인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였지만 고농도의 키토산에 의해서는 오히려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 Con A와 같은 세포자극물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IL-2와 IFN-$\gamma$의 생성은 큰 상승을 나타냈으며 LPS의 경우 키토산에 의해서 IL-2와 IFN-$\gamma$의 생성이 증폭되었다. 키토산을 비장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Th2 사이토카인인 IL-4와 IL-10의 생성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LPS와 같은 세균독소에 의한 IL-4와 IL-10의 상승이 키토산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부터 키토산이 LPS와 같은 세균독소가 존재하는 가운데 Th1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키고 Th2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킴에 따른 면역반응 환경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앞으로 키토산에 대한 더 많은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게 되면 임상에서 Th1/Th2 면역반응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이용될 가능성도 있다 하겠다.

유근피 추출물이 RBL-2H3 비만세포에서 ${\beta}$-hexosaminidase 및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효과 (Inhibitory effect of Ulmus davidiana on ${\beta}$-hexosaminidase release and cytokine production in RBL-2H3 cells)

  • 박세봉;강경화;윤화정;고우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5
    • /
    • 2011
  • Objectives : Ulmus davidiana (UD)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herbal medicines used for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rhinitis, asthma, and absces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UD on type 1 allergic response, we determined whether UD inhibits early and late allergic response. Methods : The effect of UD was analyzed by ELISA and RT-PCR in RBL-2H3 cells. Levels of ${\beta}$ -hexosaminidase, interleukin (IL)-4 and TNF-${\alpha}$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s). mRNA levels of COX-2 and T-helper type 2(Th2) cytokines were analyzed with RT-PCR. Results : We found that UD suppress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in RBL-2H3 not only by the PMA plus A23187 stimulation, but also by the IgE-DNP-HSA stimulation at the antigen-antibody binding stage and antibody-receptor binding stage. UD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COX2 level, along with reduced Th2 cytokine levels, such as IL-3, IL-4, IL-5, IL-13, GM-CSF, and TNF-${\alpha}$ in RBL-2H3.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UD protects against type 1 allergic response and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degranulation and expression of COX2 and Th2 cytokines.

조명나방,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의 유인행동과 성페로몬샘 (Galling Behavior and Sex Pheromone Gland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

  • 박재우;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6-73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조명나방 성충의 우화시간대, 나이에 따른 암컷의 유인해동양상과 교미능역, 1일부터 5일된 암컷이 분비한 성페로몬에 대한 3일된 수컷의 반응 그리고 성페로몬샘의 구조와 위치를 조사하였다. 광주기를 16L/8d로 햇을 때 성충운 일잔벅으로 암시간대 시작 한시간 이전부터 1~2시간이후까지 우화 하였다. 그리고 2일과 3일된 암컷ㅇ에서 6시부터 7시 사이에 가장 황성한 유인행동을 보였으며, 3일된 암컷에 대한 수컷의 반응이 암시간대 5~8 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미쌍은 암시간대 4~7시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1일부터 4일된 암컷중 성페로몬샘을 돌출시킨 개체들은 65%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성페로몬샘을 돌출한 2~3일된 암컷은 1~5일된 각각의 수컷과 60%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암컷의 성페로몬샘으로 추측되는 두꺼운 세포층들은 복부 8번째, 9번째, 그리고 9번째와 10번째 사이의 막질성 표피층에 위치하고 있었다.

  • PDF

Modulation of Antibody Responses against Gnathostoma spinigerum in Mice Immunized with Crude Antigen Formulated in CpG Oligonucleotide and Montanide ISA720

  • Intapan, Pewpan M.;Hirunpetcharat, Chakrit;Kularbkaew, Churairat;Yutanawiboonchai, Wiboonchai;Janwan, Penchom;Maleewong, Wancha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637-644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body responses in mice immunized with Gnathostoma spinigerum crude antigen (GsAg) incorporated with the combined adjuvant, a synthetic oligonucleotide containing unmethylated CpG motif (CpG ODN 1826) and a stable water in oil emulsion (Montanide ISA720). Mice immunized with GsAg and combined adjuvant produced all antibody classes and subclasses to GsAg except IgA. IgG2a/2b/3 but not IgG1 subclasses were enhanced by immunization with CpG ODN 1826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mmunized with non-CpG ODN and Montanide ISA or only with Montanide ISA, suggesting a biased induction of a Th1-type response by CpG ODN. After challenge infection with live G. spinigerum larvae, the levels of IgG2a/2b/3 antibody subclasses decreased immediately and continuously, while the IgG1 subclass remained at high levels. This also corresponded to a continuous decrease of the IgG2a/IgG1 ratio after infection. Only IgM and IgG1 antibodies, but not IgG2a/2b/3, were significantly produced in adjuvant control groups after infe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 spinigerum infection potently induces a Th2-type biased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