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1/Th2 cytokine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35초

Alleviation of Atopic Dermatitis through Probiotic and Mixed-probiotic Treatments in an Atopic Dermatitis Model

  • Seo, Jae-Gu;Chung, Myung-Jun;Lee, Hyun-G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0-427
    • /
    • 2011
  • The use of lactic-acid bacteria (LAB) is effective for preventing and curing immune disorders by activating the immune system in the digestive tract and the consequent immune response in the blood. In this study, LAB and mixed LABs were used in an atopic dermatitis (AD) mouse model. Alleviation of AD was observed based on the change in cytokine leve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 ex vivo test showed that immunoglobulin-E and interleukin (IL)-4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groups treated with LAB than in the group treated with only 1-chloro-2,4-dinitrobenzene. Results of an in vivo test based on the ex vivo results showed that the scratch score decreased in all groups treated with the LAB and particularly decreased in the group treated with mixed LABs. Additionally, the T helper (Th) 1 cytokines interferon-gamma and IL-12p40 were upregulated by the LAB and mixed-LABs, whereas levels of the Th2 cytokine IL-4 were downregulated in a mouse model of AD-like skin lesions. Furthermore, hematoxylin & eosi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dorsal area of the mice in each group showed that AD improved in the LAB-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B and mixed LABs inhibit the development of AD in NC/Nga mice by suppressing the Th2 cell response and increasing the Th1 cell response. Our results indicate that mixed LABs are better than LAB for treating AD-like skin lesions.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separ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59-566
    • /
    • 2017
  • 본 연구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PCP)의 면역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 및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PCP를 처리하여 면역세포의 면역활성능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상세포에 PCP를 1, 5 및 $10{\mu}g/mL$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103.4{\pm}3.8$, $108.8{\pm}2.1$, $117.8{\pm}3.3%$ (n =3)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활성 인자인 산화질소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각각 $2.7{\pm}0.2$, $4.5{\pm}0.2$, $7.3{\pm}0.3{\mu}M$ (n =3)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농도(1, 5 및 $10{\mu}g/mL$)별 PCP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alpha}$ ($372.3{\pm}0.32$, $604.8{\pm}0.54$$954.2{\pm}1.32pg/mL$), IL-6 ($508.4{\pm}0.39$, $761.5{\pm}1.34$$1038.5{\pm}1.67pg/mL$), IL-$1{\beta}$ ($314.5{\pm}1.04$, $524.8{\pm}1.89$$664.8{\pm}0.89pg/mL$), IL-12 ($321.4{\pm}0.94$, $832.5{\pm}0.85$$901.{\pm}0.94pg/mL$)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C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CP의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자소엽조다당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 효과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향후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을 분리 및 정제과정을 통하여 구조분석 및 정제된 조다당 추출물의 정확한 면역활성과 면역활성기전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러지성 천식 모델 생쥐에서 프랑킨센스 에센셜 오일의 염증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swellia sacra (Franckincense) Essential Oil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 이혜연;윤미영;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3-352
    • /
    • 2008
  • 프랑킨센스는 감람나무 종에서 얻어지는 gum resin으로, 성분은 5-9% 방향정 에센셜 오일, 알코올-용해성인 65-85% resin과 수용성인 gum 잔여물로 구성된 복합물이다. 프랑킨센스의 알코올 용해성인 resin 성분들의 항염증 작용은 잘 알려져 있으나, 방향성 에센셜 오일 성분이 알러지성 천식에 작용을 하는지의 여부는 보고되지 않았다. 실험은 프랑킨센스 에센설 오일(BSEO)이 ovalbumin(OVA)으로 유발된 알러지성 천식 생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LB/c 생쥐는 OVA로 복강감작 후 OVA 기도 투여로 면역반응을 유발시켰다. 실험그룹은 0.3% BSEO를 8주간 흡입시켰다. OVA로 감작, 유발시킨 BALB/c 생쥐에서 기도내 호산구 침윤증가, 점액분비 증가와 기도과민성이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BSEO 처치군에서 BALF내 호산구수, 술잔세포의 과증식, 기도과민성이 감소되었다. BALF내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 BSEO는 Th1 사이토카인인 IFN-$\gamma$를 증가시켰으며 Th2 사이토카인인 IL-4, IL-5와 IL-13을 감소시켰다. 또한, OVA-specific IgE와 eoxtain 분비를 억제시켰다. BSEO 흡입 군에서 종격동 림프절의 $CD4^+$, $CD3^+/CCR3^+$, 및 $B220^+/CD23^+$ 세포들 또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BSEO는 Th1/Th2 관여 면역조절인자로 판단되며, BSEO 흡입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러지성 기도 염증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참치심장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Activity of Tuna Heart Ethanol Extract)

  • 강보경;김꽃봉우리;김민지;박시우;박원민;김보람;안나경;최연욱;배난영;박지혜;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6
    • /
    • 2015
  • 본 연구는 DNCB(2,4-dinitrochlorobenzene)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BALB/c mice에 참치심장 에탄올 추출물(THEE)을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THEE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Th1 및 Th2 cytokines의 분비량, 비장 세포 증식능, 혈청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THEE를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혈청 내 총 IgE의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Th1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IFN-{\gamma}$ cytokine은 증가하고 염증매개성 cytokine인 $TNF-{\alpha}$의 분비량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Th2 cytokine에 속하는 IL-4, IL-5, IL-13 분비량은 감소하였으며 항염증성 cytokine인 IL-10의 분비량이 증가함을 보여 항아토피 효과를 나타내었다. 육안 평가를 통해서 THEE를 2주간 지속적으로 도포 처리하였을 때 그 증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kin clinical severity score에서도 DNCB 단독 처리군과 비교시 유의적으로 그 값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THEE는 Th1과 Th2 cytokine의 생성 및 활성을 조절하고 IgE의 과다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착상과 임신 초기 면역반응에서 T 림프구의 역할 (Roles of T Lymphocytes in Early Human Reproduction)

  • 양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151-162
    • /
    • 2009
  • 착상, 태반생성 및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semi-allograft인 배아 및 태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모체 면역계의 면역관용이 요구된다. 면역관용은 분자 생물학적으로 염증반응과 항염증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인식되고 있으며, 생식과정에서 모체 면역계의 T 림프구, 자연살해세포,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등 여러 면역세포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이루어진다. 면역세포들은 특정 항원 및 사이토카인의 자극에 따라 정반대의 성질을 가진 사이토카인을 생산, 분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각각을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면역세포로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며 면역세포의 이러한 특성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에 따라 Th0 형 (Th 0 cell, Tc 0 cell, NK 0 cell), Th1형 (Th 1 cell, Tc 1 cell, NK 1 cell), Th2 형 (Th 2 cell, Tc 2 cell, NK 2 cell), Th3 형 세포 (Th 3 cell, Tc 3 cell, NK 3 cell)로 분류하기도 한다. 즉, 착상 시기에 혈관신생 및 영양막의 자궁 내 침투를 위한 적절한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의 분비 및 임신의 지속을 위한 항염증성 (anti-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의 분비 등 생식과정에서 수반되는 염증성과 항염증성 면역반응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기전은 특정 면역세포만의 작용으로 결론 지을 수 없으며 면역 세포간 network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Figure 5). 면역세포 중 최근 그 존재가 알려진 면역조절 T림프구 (T reg cell)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면역관용에 관여함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어 자궁 내모체-태아간 접촉면에서 면역세포들 간의 network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작용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뒷받침 할 만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찰에서는 착상과 임신 유지 등 생식과정에 수반되는 면역세포 및 그 세포들의 작용기전중 T 림프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그 분류 및 기능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착상과 임신의 유지 등 생식과정에서 T 림프구는 면역관용과 거부에 적극적으로 작용하며 착상부전, 습관성유산 등 면역학적 병인이 유사한 생식장애 (poor reproductive performance)들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향후 T 림프구 및 그와 연관된 면역세포들의 작용에 대한 확실한 분자학적 규명이 요구된다.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대한 당삼(黨參)에탄올추출물의 효능 연구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Codonopsis Pilosulae Radix on ovalbumin-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

  • 강석용;정진기;이상국;이승호;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5
    • /
    • 2013
  • Objectives : The root of Codonopsis pilosula (Fr.) Nannf. (Codonopsis Pilosul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oriental medicine with an anti-thrombotic, antidiabetic, anticancer, and anti-gastric ulcer effects and immunological adjuv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70% ethanol extract of Codonopsis Pilosulae Radix (CPR-E) on ovalbumin (OVA)-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 Methods : Mice were sensitized (1, 8, and 15 days) with OVA and airway challenged(22, 24, 26, 28, and 30 days) to induced allergic responses. CPR-E extract at doses of 50 and 100 mg/kg/body weight was orally administered from days 21 to 30 consecutively. The levels of allergic mediators such as histamine, OVA-specific immunoglobulin (Ig) E, and Th1/Th2 cytokines such as IFN-${\gamma}$ and IL-4 were measured in the sera of mice by ELISA. The histological change of lung tissue was observ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sults : CPR-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histamine, OVA-specific IgE, and IL-4 compared with those of OVA control group,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IFN-${\gamma}$. Based on H&E staining, CPR-E extract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to lung tissues with histological chang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PR-E extract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responses through regulating the cytokine balance, suggesting that the extract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참모자반 조다당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 활성 비교 (Comparison Study of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 and Ethanol Extracted from Sargassum fulvellum)

  • 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21-1628
    • /
    • 2015
  • 본 연구는 참모자반 조다당 추출물(SFP) 및 에탄올 추출물(SFE)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세포인 대식세포와 후천면역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비장세포에 각각 SFP와 SFE를 처리하여 각각의 면역세포의 세포 증식률과 사이토카인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대식세포에 SFP 및 SFE를 각각 농도별(12.5, 25, 50, $100{\mu}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추출물 모두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대식세포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NO, iNOS 및 cytokine의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SFP 처리구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마우스 비장에서 유리된 비장세포에 SFP 및 SFE를 처리하였을 때 SFP의 처리구에서 비장세포의 증식능 및 면역 활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Th1 type의 cytokine인 IL-2 및 $IFN-{\gamma}$의 분비능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반면, 알레르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Th2 type의 cytokine인 IL-4의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참모자반 당류 추출물은 선천면역계와 후천면역계를 담당하는 면역세포인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의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CD4+ T cells에서 백개자가 IFN-$\gamma$와 IL-4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napis alba L. on expression of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4 production in anti-CD3/anti-CD28-stimulated CD4(+) T cells)

  • 박대중;이장천;이영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9-136
    • /
    • 2010
  • Objective : Sinapis alba L. (SA) is a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that is usually used to prevent or treat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infection and rheumatoid arthritis. However, the effects of SA supplementation in vitro on serum antibody levels, splenocyte and peritoneal macrophage immune responses have not yet been determin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A on the production of Th1/Th2 cytokines. Methods : Splenocytes were isolated from naive C57BL/6 mice. Cells were enriched for CD4+ cell populations by first staining the cells with anti-CD4 (BD PharMingen, Calif, USA). CD4+ T cells were selected on a (CS) column, and the flow-through was collected as CD4+ T cells. Isolated cells were activated by overnight incubation on 24-well plates coated with $1{\mu}g/mL$ anti-CD3, $1{\mu}g/mL$ anti-CD28 and with SA ($100{\mu}g/mL$). Primary macrophages were collected from the peritoneal cavities of mice (8-week-old female C57BL/6). The peritoneal macrophages were washed and plated with RPMI-1640 overnight for the experiments. After 48-hours cultures, samples were centrifuged at 2000 rpm for 10 minutes, and the supernatants were stored at $-80^{\circ}C$. Mouse IL-4, IFN-$\gamma$ and TNF-$\alpha$ were quantified using ELISA kits (BioSource International, Camarillo, Calif, US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protocols. Results : SA at 100ug/ml decreased the generation of Th1 cytokine (IFN-$\gamma$) by 0.5-fold. However, SA has no effect on Th2 (IL-4) produc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T-cell-mediated autoimmunity by down-regulation of Th1 cytokine (especially IFN-$\gamma$, TNF-$\alpha$). These data may contribute to the design of new immunomodulating treatments for a group of autoimmune diseases.

가미패모탕이 보조 T 임파구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ipaemo-tang Ethanol Extract on Helper T Cell Differentiation)

  • 신재호;고은정;홍무창;정승기;신민규;배현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397-1403
    • /
    • 2004
  • By recently study, GM (Gamipaemo-tang) treatment have worked well on the allergic asth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ffect of GM extract on helper T cell, major regulator of immune system. Splenic cells from 8-week BALB/c mice were cultured in GM containing media without activation for 48 hours. The MTS assay and flow cytometry study revealed that lymphocyte treated with GM were not effective on CD4+ T cells. Subsequently CD4+ T cell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GM containing media. Either GM were not effective on CD4+ T cell without APCs. By FACS scan analysis, the expression of INF-γ, IL-4 were down-regulated in the condition skewed Th1 and Th2 cells respectively, Using ELISA analysis, the expression of INF-γ is up-regulated and IL-4 is down-regulated in the condition skewed Th1, Th2 cells respectively. With RT-PCR analysis, the expression of mRNA for INF-γ is down-regulated and IL-4 is down-regulated in the condition skewed Th1 and Th2 cells respectively. The result suggests that GM inhibited the differetiation of Th2 cells significantly and indicates GM could enhance anti-allergic immune system.

백개자, 나복자 및 두 배합 약물의 천식 동물 모델에 대한 효과 (The Effects of Sinapis Semen, Raphani Semen, and mixture decoction on the Asthmatic Mouse Model)

  • 김창민;이영철;이장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5-23
    • /
    • 2013
  • Objectives : To clarify the possible effects of Sinapis Semen and Raphani Semen on the development of pulmonary eosinophilic inflammation in a asthmatic mouse model. Methods : BALBav/c mice were sensitized to OVA followed intratracheally and by aerosol allergene challeng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inapis Semen and Raphani Semen 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eosinophiic infitratio, immune cell phenotype, The2 cytokine product, and OVA-spedific IgE production. Results : Total lung cells, eosinophils, and lung leukocytes, OVA specific IgE levels, and Th 2cytokine levels such as IL-5, IL-13, IL-17, TNF-alpha, and eotaxin in BALF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ose of OVA sensitized asthma mice (control). The absolute numbers of $CD3^+$, $CD3^+/CD69^+$, $CD3^-/CCR3^+$, $CD4^+$, $CD8^+$, $Gr-1^+/CD11b^+$, $B220^+/CD22^+$, $B220^+/IgE^+$ cells in lung tissiue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Specially total lung cells in BALF and the absolute number of $CD3^+/CD69^+$ and, $B220^+/IgE^+$ cells in lung tissiue effectively reduced in Sinapis Semen plus Raphani Semen compared to those of Sinapis Semen and Raphani Seme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napis Semen plus Raphani Semen has deep inhibitory effects on airway inflammation and hyperresponsiveness in asmatic mouse model and also has effect of suppression of IL-5, IL-13, IL-17, OVA specific IgE production in BALF. The results verified that Sinapis Semen, Raphani Semen, and Sinapis Semen plus Raphani Semen could act as a immunomodulator which possess anti-inflammatory and anti-asthmatic property by modulating the relationship of Th1/Th2 cytokine im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