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s' Activities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47초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유지연;이지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53-561
    • /
    • 2011
  • In this study, the illustrations in 16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gender-role stereotyping,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frequencies of male and female who appeared on textbook illustrations were counted, and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characters of them were analyzed. Most pupils were found to be active, and female pupils appearing in the textbooks were more than male pupils. In all types of activities for pupil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le and female pupils were illustrated in learning activities with almost equal frequencies, but male pupils were still more frequently represented than female pupils in other activities. Gender difference in adults wa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houseworks was not large, but the difference in outdoor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jobs of adults were illustrated as male-centered, and scientists appearing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were also mostly male.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xtbooks of South Korea, Singapore, and Japan Focused on the Teaching of the Time)

  • 조영미;임선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21-4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간 지도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국, 싱가포르,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두 나라에 비해 시간의 덧셈과 뺄셈의 사칙 계산과 그 알고리즘이 강조되고 있었다. 또한 두 나라에 비해 시간 지도 요소 항목이 많이 편이었으며, 소재와 시계 모형에 있어서도 유사한 것들이 반복 사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간의 흐름이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 PDF

중등 환경 교과서의 환경 소양 요소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Literacy Components for Secondary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s)

  • 이기영;손연아;신동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3호
    • /
    • pp.80-9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valuable suggestion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education(EE) teaching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four secondary school EE textbooks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literacy compon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whole, the EE textbooks tend to focus the understanding environmental knowledge much more than environmental activities. (2) In 'main text' domain of EE textbook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environmental issue knowledge, is much more focused tha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 including socio-political and environmental issue knowledge. (3) In 'graphic data' domain,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 issue knowledge was most prevalent. (4) Most learning activities focus on 'issue skill' component, rather than 'attitude' and 'action' component. (5) The objectives of E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not explicitly embedded in textbooks and too much is inclined toward 'knowledge' and 'skil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dule-type' EE textbooks to enable integrative EE. Also, it is suggested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for linki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behavior.

  • PDF

한국의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와 SCIIS의 탐구 활동 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in Primary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of Korea and SCIIS)

  • 김진용;정완호;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6-6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quiry activities of SCIIS and Korea primary school science curricular meterial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quiry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The Scientific Inquiry Evaluation Inventory (SIEI: Myung Hur, 1984) was used to evaluate the inquiry activity content of the primary school "Science, Level-6" and "SCIIS, Level-6" text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quiry activities of Korean science textbooks are stressing on gathering and organizing data, but rarely require students to formulate a hypothesis, to design an experiment. 2) The SCIIS textbooks relatively tended to put more weight on interpreting/ analysing data and hypothesizing/ designing experiments. 3)The Korean science textbooks had little concern about establishing hypothesis and designing experiments, interpreting / analysing data. 4) The SCIIS textbooks require students to perform a variety of inquiry skills when compare to Korean science textbooks. 5) Competition / Cooperation Scale checks the level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among student teams inherent in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The result from each team is incorporated into the formation of a class result. The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formulate a synthesized class response, enhances cooperation among teams. The SCIIS(84%) is the higher than Korea(50%) in cooperation scale. 6) Korean science textbooks rarely require students to discuss about experiment when compare to SCIIS textbooks. 7) Korean science textbooks provide students with both inquiry problems and experimental procedure, or including answers SCIIS textbooks provide students with both inquiry problems and experimental procedure, or problems only. 8) The Korean textbooks emphasize demonstrating or verifying of the text while the SCIlS emphasize extending the content of the text in inquiry scope scsle. The inquiry pyramid which helps analysis the inquiry activity curriculum as a whole is one of type 1- the course is centered on gathering and organizing data. The SCIIS are better than the Korean science textbook in the light of proportion of interpreting / analysing data and hypothesizing / designing experiments.

  • PDF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활동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 배현경;정공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626-639
    • /
    • 2008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구활동의 내용에서, 한국 교과서는 단원 당 5.8개로 미국 교과서의 단원 당 4개보다 더 많은 탐구활동 개수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대부분 도표나 그래프 등 자료해석에 관련된 탐구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미국 교과서는 스스로 조작하는 실험이나 자료변형 그리고 직접설계 할 수 있는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탐구활동 1개당 사용된 탐구과정 개수는 한국 교과서가 평균 1.8개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3개로 미국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보다 더욱 다양한 탐구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탐구과정 요소는 추리와 자료해석으로 이 두 요소의 비율은 한국 교과서는 평균 73.3%이고 미국 교과서는 46.2%였다. 즉 한국 교과서는 특정 탐구과정 요소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고르지 못한 탐구과정 요소의 분포는 학생의 통합능력 신장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통합적 탐구과정에서 미국교과서는 7개의 모든 요소가 다 제시되었지만 한국 교과서는 단지 2개 내지 4개의 요소만이 제시되어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탐구활동을 제공하는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탐구상황 분석에서 한국교과서는 다소 단편적 인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은 탐구 상황이 제공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좀 더 실생활과 관련되어 적용된 탐구 상황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탐구성 분석 (Analysis on the Aspect of Learners' Explorations Reflected in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8권5호
    • /
    • pp.103-1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 단원에 대한 탐구성을 분석하였다. 7종 교과서에 Romey 분석법을 적용하였으며, 4개 분석항목인 본문, 자료, 활동, 평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본문, 자료, 활동, 평가의 항목에서 각각 1종, 3종, 6종, 2종의 교과서가 탐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omey 평가지수를 기준으로 6종 교과서의 본문이 0.175~0.393로 낮게 분포되었으며, 자료 항목에서 4종 교과서가 0.058~0.226로 매우 낮았다. 평가 항목은 5종 교과서가 2~6.333로 매우 높게 분포되었으며, 교과서 간의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운 교과서가 본문, 자료, 활동의 3개 분석항목에서 이전 교과서보다 탐구성이 향상되었으며, 평가 분석항목은 Romey 지수가 0.916에서 3.194로 크게 증가하여 탐구성이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통합 교과서의 다문화요소분석 - 1, 2학년 통합 교과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in Integrated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round the First and Second Grades)

  • 강현주;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21-1235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content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 revised in 2015. This study abstracted the framework of multicultural factors for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from the research on "Revision Guidelines by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in Secondary Curriculum and Textbook". The analyzed textbook is the integrated winter textbooks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grades revised curriculum in 2015. Several findings were re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multicultural content displayed five times in first grade and nineteen times in second grade respectively. Second, the analyzed textbooks did not include contents direct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ism. Activities and experience is important in the acceptance of unfamiliar cultures Thus, multicultural contents' frequency of within textbooks is very crucial. Finally, the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about the theme and content in the textbook and was developed around block chassis. For teaching the textbook content, teachers must perfectly understand textbooks through teacher training. The textbooks of reflecting right values on multiculturalismIn. this respec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 should be improved by supplementary revision fitting for the growth of humanity in the multicultural era.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 기술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분석 (Analysis of the Critical Thinking of Technology Activitie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Middle School)

  • 정해영;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0-85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서에 제시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을 표집하였고, 수록된 187개의 활동 과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과서 활동과제의 비판적 사고 수준 총점은 67.3점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과제를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 '건설기술(72.8점)', '발명과 표준(70.4점)', '생명기술과 적정기술(70.4점)'단원은 총점 70점 이상으로 다른 단원에 비해 비교적 높았으나, '수송기술과 에너지(67.0점)', '제조기술(66.1점)', '정보통신기술(57.0점)'단원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이론 활동과제(69.3점)', '실습 활동과제(61.5점)'으로 차이가 있어 '실습 활동과제'가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는데 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형성에 초점을 둔 '청소년의 이해' 단원의 교육내용 선정 및 구성: 한·미 가정과 교과서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Understanding of self as an adolescent' Unit to Build Adolescent Empowerment: a comparis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of Korea and America)

  • 서민지;이수희;손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43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형성 관점에서 한 미 가정과 교과서의 서술과 활동과제를 검토하고, '청소년의 이해' 단원의 대안적 틀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 미 가정과 교과서 '청소년의 이해' 관련 단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임파워먼트 형성을 위한 세 가지 관점-Micro 관점, Meso 관점, Macro 관점에서, 교육내용이 어떤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는지 그리고 활동과제가 어떤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교육내용 서술을 검토한 결과 한국 교과서의 경우, 임파워먼트 형성과 관련한 전체 교육내용 중 개인 임파워먼트 범위의 교육내용이 가장 많이 서술되고 있었으며(55%), 다음으로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의 교육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었다(37%).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의 교육내용이 가장 적은 비중인 8%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한국 교과서는 임파워먼트 세 범위의 서술 비중이 균형을 잃고 있으며, 교육내용은 Meso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미국 교과서의 경우, 개인 임파워먼트 범위 43%,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 40%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 17%로, 교육내용이 상대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서술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미국 교과서는 다소 미흡하지만 교육내용이 Macro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교과서의 활동과제를 검토한 결과 한국 교과서의 경우, 임파워먼트 형성과 관련한 전체 활동과제 중 개인 임파워먼트 범위의 활동과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었으며(66%), 다음으로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의 활동과제가 다루어지고 있었다(25%).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의 활동과제가 가장 적은 비중인 9%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한국 교과서는 임파워먼트 세 범위의 활동과제 비중이 심각하게 균형을 잃고 있으며, 활동과제가 Meso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미국 교과서의 경우, 개인 임파워먼트 범위 37%, 집단 임파워먼트 범위 40% 그리고 조직 임파워먼트 범위 23%로, 활동과제가 비교적 균형을 잘 이루어 제시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미국 교과서의 활동과제는 Macro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Macro 관점에서 임파워먼트를 형성할 수 있는 '청소년의 이해' 단원의 대안적 틀을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의 STS 교육 내용 분석과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Analysis of STS Contents in Chemistry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 Investigation of STS Education)

  • 박국태;이유라;김은숙;노지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3-16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단원에 대한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Yager가 제시한 STS 교육에서의 8개 필수 요소와 SATIS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에서의 9가지 활동 유형을 분석기준으로 삼았으며,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면담과 설문지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7종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들의 화학 단원에 STS 교육 내용이 평균적으로 22.4%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STS 교육 내용이 과학의 응용성과 지역 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한 필수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리고 STS 교육 내용의 학년별 분포는 2학년 과학 교과서에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학년 과학 교과서와 3학년 과학 교과서 순서였다. SATIS 활동 유형으로는 실제활동 유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과 구조화된 토론 유형의 순서였다. 중등학교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STS 교육이 과학교육에 필요한 이유로는 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STS 교육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STS 교육 관련 교수-학습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 내용이 필수 요소 2개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작업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 유형을 가진 중학교 과학 교과서들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STS 교육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을 통하여 STS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