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selmis sp.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기수산 물벼룩(Diaphanosoma celebensis)의 대량생산을 위한 대체 먹이원의 효과 (Relative Effectiveness of Replacement Diets for Mass Production of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 박진철;권오남;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6-153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ormulated diets (composed of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or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sources derived from baker's yeast) on the population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to determine diet effectiveness for mass produc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maximum density, fecundity, and population specific growth rate (SGR) of the flea were observed using a diet of $Tetraselmis$ $suecica$ (control). However, results using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and the mixed treatment of $Schizochytrium$ sp.+$Crypthecodinium$ sp.+EPA oil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control treatment ($P$>0.05). Thus, $T.$ $suecica$ could be replaced with a combination diet of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ithout growth interruption of $D.$ $celebensis$. As the percentage of combination diet (mix of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increased, the level of ARA, EPA, DHA, and n-3 HUFA in $D.$ $celebensis$ also increased. However, the population density of $D.$ $celebensis$ sharply decreased with the use of treated supplements C5M5 (CHL [50%] and $Crypthecodinium$ sp.+ $Schizochytrium$ sp. + EPA oil [MIX 50%]). The optimum proportions of CHL and MIX for $D.$ $celebensis$ within the mixture were 70% and 30%,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bination of $Schizochytrium$ sp., $Crypthecodinium$ sp., and EPA oil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appears to be a stable and effective food source for mass production of $D.$ $celebensis$.

먹이종류 및 공급량에 따른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의 성장 (Growth of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on Different Foods and Food Concentrations)

  • 박진철;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1-138
    • /
    • 2010
  •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um microalgae species and concentration for the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in individual and community cultures by feeding it several different diets. Six single trials (Tetraselmis suecica, Isochrysis galbana, marine Chlorella ellipsoidea, freshwater Chlorella vulgaris, Scenedesmus sp., Selenastrum sp.) were conducted at 10 psu and $30^{\circ}C$.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cultures of the water flea were performed in 1-L beakers and 3-mL vessels (12-well culture plates), respectively. In the community cultures, the maximum density and specific growth rate were highest for water fleas fed T. suecica, reaching 60.0 individuals (ind.)/mL and 0.40, respectively. In the individual cultures, the most offspring and greatest life span of females were 56.9 ind. and 24.3 days, respectively, in the T. suecica trial. By contrast, diets of Scenedesmus sp. and Selenastrum sp. resulted in poor growth rates. In the T. suecica experiments examining a range of 10 to $200\times10^3$ cells/indl. the specific growth rate of the water flea tended to increase with the amount of supplement, while the life span decreased. The maximum density and number of offspring of females was highest at 53.5 ind./mL and 38.8 ind. respectively, at 40,000 cells/i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st microalgae species for the mass culture of D. celebensis is T. suecica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is 40,000 cells per individual.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Apocyclops sp.의 혼합 배양 (Combination Culture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Copepod Apocylops sp.)

  • 정민민;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49-455
    • /
    • 1998
  • 능성어와 같은 고급해산어의 양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부화후 섭이 개시 직후의 자어의 구경이 작은 이유 때문에 현재 배양하고 있는 로티퍼 보다 소형의 먹이 생물이 요구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이와 같은 현실적인 요구사항에 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먹이 생물을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S형 로티퍼B. rotundiformis와 자유 유영형의 사이 크로포이다의 코페포다 Apocyclops sp.에게 T. suecica를 먹이로 급이하면서 두종을 혼합 배양하였다. 실험조건은 수온 25${\circ}C$, 염분 22ppt, 배양수량은 50ml의 비이커에 사육수 40ml, 실험기간 16일간, 2일마다 전 개체수를 계수하면서 암흑조건하에서 배양했다. 단독 배양구의 코페포다 Apocyclops는 실험기간 동안에 계속 대수증식을 하여 평균 최고 밀도는 12개체/ml에 달하였다. 더욱이 코페포다 Apocyclops의 증식은 코페포다 Apocyclops 단독 배양의 경우보다도 로티퍼 b. rotundiformis 와 혼합 배양했을때가 탁월한 증식을 보였다(최고 밀도는 20.15${\pm}$4.45개체/ml). 특히 로티퍼와 Apocyclops의 혼합 배양구에서 노플리우스의 개체수는 9.88${\pm}$1.38개체/ml로서 코페포다 Apocyclops 단독배양의 경우와 비교하면 약 2배 이상의 증식을 보였다. 그러나,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증식은 단독 배양에 비하여 코페포다 Apocyclops와 혼합 배양함으로서 그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먹이로서 급이한 T. suecica는 로티퍼 B. rotundiformis 단독 배양구와 코페포다 Apocyclops와의 혼합 배양구에서는 실험 개시 후 10일째부터 잔존량을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코페포다 Apocyclops는 적극적으로 T. suecica을 섭이하지는 않았다. 즉, 로티퍼와 코페포다간의 먹이 경쟁관계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소구경 어종의 종묘 생산 초기과정에서 자어의 기아현상으로 인한 초기 대량 폐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배양중인 로티퍼(사이즈180${\mu}$m 전후) 보다 더 적은 사이즈의 먹이 생물을 검색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소구경 어종들이 요구하고 있는 먹이생물의 사이즈, 즉 150${\mu}$m 전후의 노플리우스가 생산 가능한 코페포다 Apocyclops를 로티퍼와 혼합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먹이생물을 혼합배양하여 사육 대상 자치어에게 먹이로서 급이 가능하다면, 소구경 어종이 요구하는 사이즈의 문제는 극복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이즈 280${\mu}$m 전후의 대형 로티퍼(B. plicatilis)와 부화직후의 알테미아 유생(사이즈 950${\mu}$m)을 사용하고 있는 현재의 먹이 생물 급이 계열에서 요구되는 중간 사이즈 (사이즈300-500${\mu}$m 전후) 먹이생물의 공급도 해결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nauplii 생산에 미치는 미세조류의 영향 (Effect of Microalgal Species on Nauplii Production in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김미정;김정창;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8-275
    • /
    • 2009
  • The survival and growth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 larvae such as abalone depend on the nutritional value of micro alga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etary value of the many microalgal species used for food by benthic larvae. Therefore, we tested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which grazes microalgae on substrata in a manner similar to abalone larvae. It also has short generation time and is easy to rear which makes to be easier to examine the dietary value of each micro algal species. We measured the daily production of nauplii from gravid females of T. japonicus fed 26 microalgal species separately.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 of the micro algae and the copepod was also analyzed. The nauplii production of T. japonicus was the highest (10.7) when they were fed Navicula sp. (B-394) and the lowest (0.8) when they were fed Scrippsiella trochoidea. In Tetraselmis suecica the nauplii production was so high (8.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 diatom group. We determined that Navicula sp. (B-394), Rhaphoneis sp. and T. suecica were good sources of food for T. japonicus. We suggest that a diet of with a mixture of these three micro algal species may be also good for invertebrate larvae such as abalone.

A Study 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Effect of Microalgae Extracts

  • Ji, Keunho;Kim, Yeeun;Kim, Young Ta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7-173
    • /
    • 2021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isrupt the cellular redox balance, exert cytotoxic effects, and consequent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seases in human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ntioxidants counteract the adverse effects of ROS. Several studies examine the whitening effects of various agents based on their ability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Tyrosinase is a critical enzyme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melanin, which protects the skin against radiation. Various agents exhibiting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have been synthesized. However, these synthetic drugs are associated with toxicity, decreased safety, and poor skin penetration in vivo, which has limited the clinical application of synthetic drug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ome microalgae. The methanol, dichloromethane, and ethyl acetate extracts of four microalgal species (Tetraselmis tetrathele, Dunaliella tertiolecta, Platymonas sp., and Chaetoceros simplex) were prepared. The physiological and whitening effects of microalgal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D. tertiolecta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Future studies must focus on examining the whitening effects of microalgae on cell line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icroalga-based therapeutics for skin diseases, functional health foods, and whitening agents. Thus, microalgae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pharmaceutical, food, and cosmetic industries.

부유형 해양 광생물반응기의 선택적 투과막의 술폰화 반응을 통한 Biofouling 억제 및 미세조류 생산성 향상 (Improving Microalgal Biomass Productivity and Preventing Biofouling in Floating Marine Photobioreactors via Sulfonation of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s)

  • 김광민;이윤우;김지훈;박한울;정인재;박재훈;임상민;이철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4-2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hibit biofouling on a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SPM) and increase biomass productivity in marine photobioreactors (PBRs) for microalgal cultivation by chemical treatment. Surfaces of a SPM, compos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sulfonated to decrease hydrophobicity through attaching negatively charged sulfonic groups. Reaction time of sulfonation was varied from 0 min to 60 min. As the reaction time increased, the water contact angle value of SPM surface was decreased from $75.5^{\circ}$ to $44.5^{\circ}$, indicating decrease of surface hydrophobicity. Furthermore, the water permeability of sulfonated SPM was increased from $5.42mL/m^2/s$ to $10.58mL/m^2/s$, which reflects higher nutrients transfer rates through the membranes, due to decreased hydrophobicity. When cultivating Tetraselmis sp. using 100-mL floating PBRs with sulfonated SPMs, biomass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3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non-reacted SPMs). In addi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SPMs used for cultivation clearly revealed lower degree of cell attachment on the sulfonated SP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lfornation of a PET SPM could improve microalgal biomass productivity by increasing nutrients transfer rates and inhibiting biofouling by algal cells.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성장 및 성숙 유도 (Induction of Sex Maturation and Growth in Comb Pen Shells, Atrina pectinata per Microalgae Classes)

  • 문태석;조필규;김병학;박기열;구학동;신윤경;임영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5-112
    • /
    • 2009
  • 키조개 양식은 근래에는 오염과 자연산 모패의 남획 등으로 점차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의 양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의 성성숙 조절기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의 비만도와 생식소 및 유생의 발달단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키조개 모패로부터 인공종묘생산을 시도하였다. 키조개의 비만도를 살펴보면 어미의 연체부 지수는 사육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5월 중순부터 전 실험구가 먹이생물을 매우 활발히 섭취하는 경향이 있었고, 실험 종료 시에는 연체부 지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부 용적지수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키조개 생식소의 성숙 발달단계는 비 활성기, 초기 활성기, 후기 활성기, 완숙기, 방출 및 퇴화기의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험 개시일은 후기활성기로 판단되며, 시험 종료시에는 전 시험구가 완숙기와 방출기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3 종, Chlorella ellipsoidea, Tetraselmis tetrathele, Pheasant ylum tricornutum과 키조개 성성숙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키조개 암, 수 모두 Tet. 실험구에서 조직학적으로 빠른 성숙을 나타냈으며, 성성숙 유도율과 생존율 또한 Tet. 실험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Tetraselmis tetrathele가 키조개 어미사육에서 매우 유용한 먹이생물로 판단되었다. 자연 상태의 키조개 어미로는 인공종묘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성숙실험한 키조개 어미로부터는 5 회의 채란기간 중 반응이 있었고, D형 유생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것으로 나타나 키조개는 실내 인공성숙관리에 의해 채란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개 유생을 사육한 결과, I. galbana, Chaetoceros sp., P. lutheri 및 혼합구 전 실험구에서 실험 시작 3-5일 사이에 생존율이 매우 낮아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조개 어미 인공사육관리에 의한 인공종묘생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키조개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생사육 및 치패 생산에 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할 수 있다.

  • PDF

부착성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최적배양환경 (Optimum Culture Environment of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7-157
    • /
    • 1993
  • 부착성 요각류중 Tigriopus japonicus는 어류의 종묘 생산시 먹이생물로서 매우 중요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본 연구는 T. japonicus의 염분 내성과 최적 배양 환경 (염분, 온도, 빛)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대량 배양을 하기 위한 2종류의 효모와 6종의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한 먹이 가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T. japonicus의 염분 내성 실험에 있어서 배양 5일 후 포란 암컷의 생존율은 $0%o$$90%o$에서 각각 $40\%$$70\%$로 나타났다. 그러나 $2-80\%o$에서$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 종은 매우 광염성이라고 생각된다. T. japonicus의 최적 배양 환경은$24^{\circ}C,\;24\%o$, 3,000 lux 24 L : 0D였고, 이 때 한마리 암컷의 평균 산란수는 38마리였으며 평균 산란 간격일은 2.05일이었다. T. japonicus의 가장 좋은 먹이생물은 P. tircornutum였고 T. suecica는 먹이 가치가 매우 낮았다. 그리고 유지 효모의 먹이 효율은 빵 효모 보다 높았고, Amphora sp., C. ellipsoida N. oculata와 비슷하게 나타나서 T. japonicus의 대량 배양시 좋은 먹이라고 생각된다.

  • PDF

이매패류 어미관리를 위한 미세조류 기반 폐쇄-순환여과시스템 개발 연구: I. 성 성숙 유도 (Development studies of microalgae-based closed recirculating bivalves adults conditioning system: I. Induction of the gametogenesis)

  • 김정우;허영백;한종철;박영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1-240
    • /
    • 2016
  • 폐쇄순환여과시스템을 활용 굴 어미를 전체 42일 간의 평균 일간 사육수의 교환율은 0.5%였고, 총 사육수 교환은 21.3%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수온은 실험개시 시 $16.3^{\circ}C$에서 서서히 증가시켜 실험 21일째 $22.7^{\circ}C$로 상승되었고, 이 후 실험종료 시까지 $22.1{\pm}0.4^{\circ}C$였고, 염분변화는 $24.9{\pm}0.4$ 이었고, 용존산소는 7.9-5.1 mg/L 이었고, pH 는 $7.93{\pm}0.15$였다. 암모니아와 질산의 축적농도 범위는 각각 1.958-0.353 mg/L 과 1.34-0.47 mg/L 였고, 아질산 농도는 0.03-0.16 mg/L 였고, 용존성무기인의 농도는 0.42-0.03 mg/L, 규산염은 0.00-3.83 mg/L, 아질산을 제외하고 실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P < 0.05) 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식소 발달은 실험 42일 만에 암컷은 90.9%, 수컷은 94.4% 방란 방정이 가능한 완전히 성숙된 생식소로 발달하였다. 비만도는 실험 개시 시 25.2에서 종료 시 24.5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크기요소인 평균 각장과 각폭은 실험 개시 시에 약간 성장하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05). 그러나 평균 각고는 개시 시 대비 종료 시 8.3 mm 성장하였고, 무게요소인 평균 전중, 육중 및 각중은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 전체 평균 생존율은 98.7%였고, 각장은 실험개시 시 평균 54.5 mm 에서 실험종료 시 59.2 mm 로 유의적인 성장변화는 없었지만, 평균 4.6 mm 성장하였고, 각고는 실험 14일째 평균 122.9 mm 까지 유의적인 성장이 관찰되었다. 실험결과 충분히 본 시스템의 시설용량으로 기존 가온해수유수 사육 방법 대비 에너지비용과 먹이공급량 대비 10분 1수준에서 채란 가능한 어미로 성숙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향 후 상업적 인공종묘배양장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디젤 품질 특성 및 차량 저온 성능평가 연구 (A Study on the Fue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ld Weather Performance Test for Biodiesel Derived from Microalgae)

  • 전철환;박천규;임재혁;류영진;양지현;심상혁;조용희;김기현;박한울;김준호;박재훈;정인재;강성모;신동우;임상민;이철균;나병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45-553
    • /
    • 2017
  • Microalgae can offer an attractive way of generating renewable and sustainable biodiesel. Biodiesel derived from microagae can have lower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food supply than biodiesel produced from crops. But biodiesel derived from microagae have poor fuel properties at low temperature depending on their specie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fuel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derived from Tetraselmis sp. and cold weather performance of biodiesel blend (BD3, 3 vol.% biodiesel - 97 vol.% diesel). The startability and operability of the passenger car in BD3 was good at $-2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