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conazol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Rapid Analysis of Tetraconazol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using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Xu, Jun;Dong, Fengshou;Liu, Xingang;Li, Jing;Li, Yuanbo;Shan, Weili;Zheng, Yongqu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2호
    • /
    • pp.4265-4269
    • /
    • 2011
  • A method based on ethyl acetat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was developed for determining tetraconazol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A 10 g homogenized sample was mixed with 10 mL ethyl acetate, shaken vigorously for 3 min, stored at $-20^{\circ}C$ for 15 min, and then vortexed vigorously for 1 min; 1 g NaCl and 4 g anhydrous $MgSO_4$ were added. The clean-up was carried out by applying dispersive solid-phase with 150 mg $MgSO_4$and 50 mg primary secondary amine. Three precursor product ion transitions for tetraconazole were measured and evaluated to provide the maximum degree of confidence. Average recoveries in fruits and vegetables at three levels (0.005, 0.05 and 0.5 mg/kg) ranged from 85.53% to 110.66%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_r$) from 1.3% to 17.5%. The LODs ranged from 0.002 to 0.004 ${\mu}g$/kg, and LOQs ranged from 0.006 to 0.012 ${\mu}g$/kg. This method was also applied to determine tetraconazole residue in cucumber dissipation experiment under field conditions. The half-lives of tetraconazole in cucumber were in the range of 2.1-3.1 days.

Triazole계 살균제의 양파 흡수이행 및 조리 형태별 소실 양상 (Patterns of Uptake and Removal by Processing Types of Triazole Fungicides in Onion)

  • 이은향;황정인;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8-254
    • /
    • 2015
  • 양파 중 살균제 fluquinconazole 및 tetraconazole의 흡수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양파의 지상부에 fluquinconazole+tetraconazole 21% (14:7, v/v) 유현탁제를 500 및 200배 희석하여 살포하고 10일 경과 후 양파 지상부와 가식부에서 농약의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양파 지상부에서 잔류량은 200배 희석 살포구에서 fluquinconazole이 5.2 mg/kg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500배 희석 살포구에서 tetraconazole이 1.2 mg/kg으로 가장 적었다. 지상부를 통해 양파 가식부로 이행된 농약의 잔류량은 검출한계(0.1 mg/kg)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파 가식부를 최외각부터 차례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농약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fluquinconazole이 0.04~0.24 mg/kg의 농도로 검출되어 양파 가식부 층별로 농약이 다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가식부를 1,000배 농약 희석액에 침지한 후 삶기(boiling), 볶음(stir frying) 및 절임(pickle)과 같은 양파 조리를 실시한 결과 삶은 후에 76.9~92.6%의 제거율로 두 농약 모두 가장 많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재배 참외 중 살균제의 생물학적 반감기 (Biological Half-lives of Fungicides in Korean Mel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이주희;전영환;신갑식;김효영;박은정;김태화;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9-42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biological half-lives and dissipation patterns of fungicides, pyrimethanil, chlorothalonil and tetraconazole in Korean melon under green house condition. The instrument for analyzing pyrimethanil and chlorothalonil was HPLC equipped with UV detector. Initial residue amounts of pyrimethanil were 0.16 mg/kg at recommended rate and 0.28 mg/kg at double recommended rate in Korean melon. The biological half-lives of pyrimethanil were 11.2 days at recommended rate and 10.1 days at double recommended rate in Korean melon. In case of chlorothalonil, initial residue amounts of chlorothalonil were 0.06 mg/kg at recommended and 0.11 mg/kg at double recommended rate in Korean melon. The biological half-lives of chlorothalonil in Korean melon were 3.4 days at recommended rate and 6.6 days at double recommended rate. The instrument for analyzing tetraconazole was GLC equipp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Initial residue amounts of tetraconazole were 0.14 mg/kg at recommended and 0.22 mg/kg at double recommended rate in Korean melon, respectively. The biological half-lives of tetraconazole were 9.6 days at recommended rate and 18.5 days at double recommended rate in Korean melon.

국내 유통 약용식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Medicinal Plants)

  • 안지운;전영환;황정인;김정민;석다롱;이은향;이성은;정덕화;김장억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8
    • /
    • 2013
  • 약용식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2012년 전국 9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과 도라지에 대하여 전체 112점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22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및 HPLC-UVD를 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12점의 시료에서 7종의 농약이 검출되어 10.7% 검출률을 보였다. 농약 성분별 검출 빈도는 procymidone, kresoxim-methyl, endosulfan, cypermethrin, tralomethrin, tetraconazole, chlorfluazuron 순이었다. 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2점으로 1.8% 검출률을 보였으며, 도라지 1점에서 tetraconazole, 인삼 1점에서 cypermethrin이 검출되었다. 해당 작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품목고시 되어 있지 않은 시료는 10점에서 5종의 농약이 검출되어 8.9% 검출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농약이 해당 약용 식물의 섭취로 인체에 유입될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 섭취추정량은 최저 0.006%에서 최고 0.333%로 낮은 %ADI 값을 보여 인체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청주지역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Wholesale and Traditional Markets in Cheongju)

  • 노현호;강경원;박영순;박효경;이광헌;이재윤;엽경원;이은영;진용덕;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
    • /
    • 2010
  • 청주지역에서 유통중인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매시장과 재래시장에서 총 120점의 농산물을 채취하여 GLC와 HPLC 및 GC-MS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Procymidone과 penconazole 및 tetraconazole과 같은 3종의 살균제가 양파, 부추, 토마토, 풋고추에서 검출되었다.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양파에서 살균제 penconazole이 검출되었으며, 재래시장의 경우는 살균제 procymidone이 부추와 토마토에서, 살균제 tetraconazole이 풋고추에서 검출되어 3.3%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검출된 농약의 일일섭취추정량(EDI)은 일일섭취허용량(ADI)의 0.1%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Widespread Occurrence of a CYP51A Pseudogene in Calonectria pseudonaviculata

  • Stravoravdis, Stefanos;LeBlanc, Nicholas R.;Marra, Robert E.;Crouch, Jo Anne;Hulvey, Jonathan P.
    • Mycobiology
    • /
    • 제48권1호
    • /
    • pp.44-50
    • /
    • 2020
  • Calonectria pseudonaviculata and C. henricotiae are two closely related fungal species responsible for boxwood blight disease of ornamental shrubs (Buxus spp.) in the U.S. and Europe. A previous study has shown isolates of the latter species, which is restricted to Europe, to be less sensitive to tetraconazole, an azole fungicide.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CYP51 paralogs for polymorphism in 26 genomes, representing geographically disparate populations of C. pseudonaviculata (n = 19) and C. henricotiae (n = 7), from the U.S., Europe, Asia, and New Zealand. The presence of a CYP51A pseudogene and lack of a functional CYP51A paralog in all C. pseudonaviculata genomes examined is a novel discovery for fungi and could have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resistance to antifungal chemicals.

ASE 및 SPE 복합정제법을 이용한 친환경농업토양의 다성분잔류농약 분석 (Pesticide Multiresidues Analysi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Soils by the Complex Cleanup Method of 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 (ASE) and Solid Phase Extraction (SPE))

  • 문경미;박진우;이영근;최영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73-80
    • /
    • 2011
  • 국내의 친환경농산물과 토양에서 자주 검출되는 농약 50성분을 선정하고, 경남지역의 친환경농산물 재배농지의 토양시료 40점을 대상으로, 가속용매추출법(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과 고상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의 복합처리법으로 정제하고 GC/ECD/NPD, HPLC/UV/FL, GC/MSD 및 HPLC/MSD를 이용한 분석법을 적용하여 잔류농약의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적용한 분석법에 의한 농약 회수율은 72~118%의 범위로 평균 95.5%이었고, CV(%)값 평균은 3.0%로 나타났다. 토양 40점 중 잔류농약 검출은 21점에서 20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토양의 농약별평균 검출량은 endosulfan 0.035, ethoprophos 0.043, chlorpyrifos 0.020, chlorfenapyr 0.023, flufenoxuron 0.047, fenvalerate 0.070, cypermethrin 0.266, lufenuron 0.016, bifenthrin 0.022, fenobucarb/BPMC 0.025, difenoconazole 0.043, fenarimol 0.059, kresoxim-methyl 0.020, tetraconazole 0.026, isoprothiolane 0.039, iprobenfos 0.017, nuarimol 0.014, fluquinconazole 0.156, tebuconazole 0.047 및 oxadiazon이 0.045 mg/kg으로 나타나서 친환경재배농지의 토양환경기준에 잔류농약의 설정이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Simultaneous Analysis of Conazole Fungicides in Garlic by Q-TOF Mass Spectrometer Coupled with a Modified QuEChERS Method

  • Bong, Min-Sun;Yang, Si-Young;Lee, Seung-Ho;Seo, Jung-Mi;Kim, In-Se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3-329
    • /
    • 2011
  • BACKGROUND: The conazoles, difenoconazole, diniconazole, hexaconazole, penconazole and tetraconazole are a large class of synthetic fungicides used extensively for foliage and seed treatments in agricultural crops. The extensive use of conazoles has brought concerns on the potential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ity. Thu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monitoring the conazoles are required. METHODS AND RESULTS: A modified quick, easy, effective, rugged and safe (QuEChERS) method was involved in sample preparation. Quadrapole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Q-TOF MS) in electron spray ionization (ESI) mode was employed to determine conazoles in garlic samples.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conazoles by Q-TOF-MS ranged from 0.001 to 0.002 mg/L and 0.002 to 0.005 mg/L, respectively. Q-TOF-MS analysis exhibited less than 2.6 ppm error of accurate mass measurements for the detection of conazoles spiked at 0.05 mg/L in garlic matrix. Recovery values of conazoles fortified in garlic samples at 0.02, 0.05 and 0.1 mg/L were between 79.2 and 106.2% with a maximum 11.8% of standard deviation. No detectable conazoles were found in the domestic market samples by using the Q-TOF-MS method. CONCLUSION(s): High degree of confirmation for conazoles by accurate mass measurements demonstrated that Q-TOF-MS analysis combined with a QuEChERS method may be applicable to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onazoles in garlic samples.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 조사 (A Study on the Safety of Powdered Agricultural Products in Incheon)

  • 박병규;김선회;여은영;이한정;서순재;권성희;송성민;주광식;허명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6-1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통 중인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성확보를 위하여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에서 수거한 104건을 대상으로 다종농약다성분분석법으로 검사 가능한 잔류농약 373종 및 금속성 이물을 검사하였다. 품목별 수거현황은 향신식물 33건(31.7%), 과일류 31건(29.8%), 채소류 25건(24.0%), 서류 5건(4.8%) 순이었다. 잔류농약은 전체 104건 중 7건에서 잔류허용기준 이내로 검출되어 6.7%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제품은 없었다. 깔라만시분말에서 chlorpyrifos, malathion, permethrin, 노니분말에서 fenoxanil, 쑥분말에서 tebuconazole, 파프리카분말에서 tetraconazole, 신선초분말에서 etofenprox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농산물중의 잔류농약이 가공품으로 이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금속성 이물은 22.1%(23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며 기준을 초과한 제품은 계피분말, 강황분말, 새싹보리분말, 쑥분말 등 16건이 발생하여 분말 농산물가공품에서는 금속성이물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성 이물(쇳가루)은 단단한 건조 농산물을 분말로 만드는 분쇄과정에서 금속성 재질의 롤밀, 칼날 등의 마찰로 인해 미세한 쇳가루가 발생하면서 분말 농산물가공품에 섞여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원재료인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기본으로 건조원료의 분쇄과정 중 발생하는 금속성 이물의 최소화, 금속성 이물 제거 장치의 설치, 분말 농산물가공품의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