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nstroemia japonic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Jacaranone and Related Compounds from the Fresh Fruits of Ternstroemia japonic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 Jo Youngmi;Suh Jiyoung;Shin Myoung Hee;Jung Jee H.;Im Kwang S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8호
    • /
    • pp.885-888
    • /
    • 2005
  • Jacaranone and related compounds (1-3) were isolated, along with three triterpenes (4-6), from the fresh fruits of Ternstroemia japonica.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jacaranone (1), 3-hydroxy-2,3-dihydrojacaranone (2), 3-methoxy-2,3-dihydrojacaranone (3), 3-O-acetyl­oleanolic acid (4), 3-O-acetylursolic acid (5), and ursolic acid (6). Jacaranone and its derivative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aceae. Of the isolated compounds, compound 3 is a new compound. Jacaranone (1) exhibited weak antioxidative effect on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Phenolic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Ternstroemia japonica

  • Cho, Young-Mi;Park, Kyoung-In;Kim, Min-Kyoung;Jung, Jee-H.;Im, Kwang-Si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94.1-194.1
    • /
    • 2003
  • Ternstroemia japonica (Theaceae)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The tree is a useful source of lumber, dye and horticulture. Its fruits have been used as folk medicine in Japan for the treatment of chest pain or numbness. Previously, we have isolated saponins and jacaranone derivatives from the fruits. In our continuous study on the same plant, the leaves of Ternstroemia japonica were extracted with MeOH and the MeOH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solvents. The n-BuOH soluble fraction was separated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ies on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and further purified by reversed phase HPLC. (omitted)

  • PDF

비쭈기나무의 이름 유래와 문헌상 기재 그리고 이용 및 번식 (The Derivation of the "Bizooki" tree in the literature, the Uses and Propagation of Cleyera japonica Thunberg)

  • 서병기;변광옥;손석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97
    • /
    • 2007
  • The Korean name "Bizooki" tree was named by the shape of winter bud which is like a slim bow. There are four scientific names in the tree which are Cleyera japonica Thunberg, Cleyera ochnacea DC, Sakakia ochnacea Nakai, and Ternstroemia gymnanthera. And the English name are Japanese Ternstroemia and Japanese Cleyera. "Bizooki" tree has planted at Buddhist temples in Japan for the ritual. The best result of stem cutting in "Bizooki" tree, 100 percent of rooting, could be accomplished in July when cuttings were done on the mixture-soil containing the same rates by volume of 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with cuts processed with IBA 1,000 mg/l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70% of shade, plastic mulching, and mist were conditioned.

  • PDF

물배지의 종류 및 첨가물의 농도가 후피향나무 삽목묘의 발근 및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Water Media and Concentration of Additives on Rooting and Survival of Ternstroemia japonica after Transplanting Cuttings)

  • 강현우;김민수;김동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41-152
    • /
    • 2011
  • 물을 배지로 하는 삽목은 토양을 배지로 하는 삽목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물배지에서 발근이 되는 수종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물배지 삽목은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배지에서는 삽수의 생존율은 높으나 발근이 잘 되지 않고 캘러스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삽목묘가 토양에 정식된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다면 물배지 삽목도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물배지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후피향나무의 삽수를 여러 종류의 물 배지에 침적시킨 후 캘러스의 형성과 발근상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물배지 삽목묘를 토양에 이식한 후, 활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만 형성된 삽목묘도 정식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 형성 상태가 양호한 삽목묘일수록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물배지 내에서 발근된 삽목묘는 정식 후 96. 6%의 높은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4. 후피향나무의 물배지 삽목 시기는 7월말이나 8월말이 6월말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IBA 50ppm24시간 침적 처리한 처리구가 IBA전 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IBA 50ppm 24시간 침적 처리하고 아토닉 오천배액, 포리옥신 오천배액, 포리옥신 일만배액에서 물배지 삽목한 삽목묘는 80~85%의 발근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물배지 삽목은 삽수의 발근율은 낮지만 삽목시기와 식물호르몬처리, 물배지의 선정을 적절하게 하면 높은 발근 활착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지 삽목은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필요로 하는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 자생 차나무과 식물의 ACE, APN, $\alpha$-amylase 저해 활성 및 항산화활성에 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y, including Inhibitory activities of ACE, APN and $\alpha$-amylase, in Theaceae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 오순자;이진호;고광섭;신동범;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6-414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자생하는 차나무과 식물을 대상으로 식품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활성, aminopeptidase N(APN) 저해활성 및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고, 항산화활성을 검색하고 T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후피향나무(수피)와 비쭈기나무(잎)에서 5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APN 저해활성은 비쭈기나무(잎과 수피)와 후피향나무(수피)에서만 양의 활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동백나무(열매), 우묵사스레피나무(수피), 후피향나무(수피)와 차나무(줄기)에서 30% 이상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활성은 비쭈기나무(수피), 후피향나무(수피), 차나무(잎)에서 30% 이상의 다소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비쭈기나무(수피)는 dot-blot test에 의해 다른 종에 비해 활성이 높아 $1.25\;{\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TLC 분석에 의해 비쭈기나무(수피)에서 EGC(Rf 0.26) 활성이 높았으며, 비쭈기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후피향나무의 수피에서 EGCG(Rf 0.09) 활성이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표준 catechin류와는 다른 것으로 보이는 5개의 밴드(Rf 0.54, 0.46, 0.44, 0.16, 0.03)는 Folin-Ciocalteu Reagent 방법과 Ferric chloride-alcohol 방법을 이용하여 polyphenol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사스레피나무를 제외한 차나무과 식물들은 생리활성이 높아 식품 소재 또는 생약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활성성분의 분리 및 동정 그리고 이들 물질을 이용한 임상실험 등 보다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