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distribution

검색결과 1,143건 처리시간 0.029초

베타분포를 이용한 서울 지점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의 대표 시간분포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bout Representative Temporal-distribution of Rainfall in the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s at Seoul using Beta Distribution)

  • 전창현;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4호
    • /
    • pp.361-3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1961~2010년 사이의 서울 지점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들을 베타분포로 분석하여 서울지점의 대표 호우사상을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첨두강우량을 기준으로 연최대치 호우사상들을 상위 50%와 하위 50%로 구분한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 첨두강우량의 평균을 지나는 베타분포를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유도된 두 베타분포의 산술평균을 우량주상도로 나타내어 대표 호우사상을 결정한다. 이렇게 유도된 대표 호우사상은 실제 호우사상과 유사한 모양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Huff 분포에 비해 큰 첨두 강우량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강우시간분포 모형들과 비교해 본 결과 Keifer & Chu 모형이 본 연구의 결과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의시간 환산계수에 대한 Weiss 모형의 개선 (Improvement of Weiss Model on the Conversion Factor of Fixed- to True-Interval Rainfall)

  • 유철상;전창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B호
    • /
    • pp.315-3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임의시간 환산계수(Conversion Factor, CF)와 관련하여 거의 유일한 이론적 연구인 Weiss 모형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한 수정 Weiss 모형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강우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이들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의 하나로서 강우의 시간분포 특성을 고려허여 CF를 추정하고 이를 실제 관측 자료에 근거한 CF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정 Weiss 모형을 근거로 산정한 CF 값은 강우 시간분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으로 집중된 강우 시간분포 형태에 대한 이론적인 CF 값이 실측 자료에 근거한 국내 외 CF 값들과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댐 유역 기상인자의 시공간분포 추정 (Estimat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limate Factors in Andong Dam Basin)

  • 임철희;문주연;임윤진;김세진;이우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7-65
    • /
    • 2015
  • 본 연구는 안동댐 유역을 대상으로 수문기상 정보의 조밀한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수문기상에서 나타나는 시계열적 공간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설치 운영하고 있는 낙동강 상류 안동댐 유역의 수문 기상 관측소 7곳의 기상정보와 인근 두 곳의 종관기상관측소(ASOS)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간적 자기상관성에 기반한 Semi-Variogram을 추정하여 시공간분포를 확인하였다. 유역에서 변이성을 관찰할 수 있는 기상요소인 온도와 습도를 시간과 각 월에 따라 분석하였다. 계절에 관계없이 온도의 경우 14시, 습도의 경우 10시에 가장 균일한 공간분포를 나타내고, 18시에 온도와 습도 모두 가장 불균일성이 높게 확인되었다. 월별 공간 분포에서는 온도의 경우 1월에 가장 불균일하였고, 9월에 가장 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습도의 경우 5월에 가장 불균일하고, 1월에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문기상에서는 일반 산림에서와 달리 계절적 공간분포특성이 적게 나타나며, 온도와 습도가 각각의 특성을 보이는 차이가 있었다.

공간 프로세스 대수를 이용한 정형 명세와 분석에서의 시간속성의 시각화 (Visual Representation of Temporal Properties in Formal Specification and Analysis using a Spatial Process Algebra)

  • 온진호;최정란;이문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3호
    • /
    • pp.339-352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분산된 실시간 시스템의 행위와 공간, 시간 속성을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정형기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공간과 행위를 같이 표현하는 구조적, 근본적 한계가 존재한다. 게다가 시간 속성이 포함되는 경우는 더욱 복잡해지게 된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Timed Calculus of Abstract Real-Time Distribution, Mobility and Interaction(t-CARDMI)라는 새로운 정형기법을 제안한다. t-CARDMI는 행위의 표현으로부터 공간정보의 표현을 분리시켜 복잡도를 단순화 시키며, 시간 속성에 대해서 오직 행위적 표현에서만 허용하여 복잡한 명세를 덜 복잡하게 표현한다. t-CARDMI는 대기기간, 실행시작 만족시간, 실행시간, 실행완료 만족시간 등의 특유의 시간속성을 이동과 통신의 행위에서 모두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새롭게 제안된 Timed Action Graph(TAG)는 공간과 시간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명세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서 공간과 시간속성을 2차원의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며 그 안에서 이동과 통신의 정보를 분산된 그림정보로 표현하는 그래프로 t-CARDMI를 좀더 효율적으로 명세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t-CARDMI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의 분산된 실시간 시스템의 공간적, 행위적, 시간적 속성에 대한 명세, 분석 및 검증에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혁신적인 정형기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논문은 t-CARDMI의 문법과 의미, TAG 그리고 Specification, Analysis, Verification, and Evaluation (SAVE)로 명명된 툴을 제안하고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 예제를 통해 효율성을 분석한다.

시공간 데이타베이스의 엔트로피 기반 동적 히스토그램 (Entropy-based Dynamic Histogram for Spatio-temporal Databases)

  • 박현규;손진현;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2호
    • /
    • pp.176-183
    • /
    • 2003
  • 질의 최적화에 사용하기 위한 선택도 추정 방법은 히스토그램, 샘플링 그리고 패러미터에 의한 요약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선택도 추정은 상용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이동 객체를 위한 시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는 데이타 분포가 지속적으로 변화함으로써 기존의 히스토그램 방법을 이용하는 것은 제한이 많게 된다. 특히 미래 질의를 위해서는 데이타 갱신을 반영하는 동적 관리가 가능하며, 정화도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공간 객체를 위한 선택도 추정 방법은 질의 술어가 요구하는 데이타 분포에 대한 히스토그램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미래의 시공간 영역 질의 술어에 대하여 신속히 히스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도록 쌍대성과 한계 분포 방법을 이용한 히스토그램을 제안한다. 쌍대 공간에서 이동 객체에 대한 데이타 시놉시스를 이용하여 구성된 시공간 히스토그램은 이동 궤적의 선형성이 유지하는 시간 동안 정확성을 보장하면서 빠른 시간에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동적 갱신을 점증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갱신된 정보를 반영할 수 있고 추정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yeonggi Bay, Yellow Sea)

  • 윤석현;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243-250
    • /
    • 2003
  • 본 연구는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인천 연안에서 선갑도에 이르는 수역에서 5개 정점을 대상으로 월별 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월평균 1,100∼404,200 indiv./㎥의 범위로 2월에 가장 적은 개체수가 출현하였고 8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였으며 연구 기간 평균 개체수는 55,000 indiv./㎥였다. 정점별 평균 개체수는 인천 연안 수역에서 114,600 indiv./㎥로 가장 많았고 외해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선갑도 부근 수역에서 16,500 indiv./㎥가 출현하였다. 경기만에서 우점하여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hongi, Oithona davisae, Paracalanus crassirostris, Paracalanus indicus, Oikopluera spp. 였으며 이들에 의해 전체 평균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94.9%가 점유되었다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경기만에서 연중 넓게 분포하지만 계절에 따른 개체수의 대량 증가 현상은 내만 수역에서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시, 공간적 분포 특성은 수온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음향 자료를 이용한 하계 여수 바다목장 해역에서 어군의 시·공간 분포와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chools during Summer in the Marine Ranching Area (MRA) of Yeosu using Acoustic Data)

  • 윤은아;황두진;김호상;이경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3-291
    • /
    • 2014
  • This study assessed dominant fish spec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chools using acoustic and catch data in the marine ranching area (MRA) of Yeosu in July and August 2013. Acoustic data were collected using a 200-kHz dual beam transducer, and cat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auction data generated by a set net installed in the MRA. More fish schools were detected by acoustic methods in July than in August.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fish schools differed between July and August, but, many schools demonstrated a high mean volume scattering strength (SV) around artificial reefs.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fish schools detected by echograms and the species caught by set nets differed between July and August.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Pampus argenteus, Scomberomorus niphonius, and Pampus echinogaster in July, and approximately 85% of the catch in August consisted of Scomberomorus niphonius. Therefore, hydro-acoustic tools are useful for estimating fish school characteristics in large areas over a short period. To determine species, it is important to conduct net sampling surveys during the acoustic surveys. However, if a database of fish school characteristics organized by species is constructed through continuous study, it could be possible to identify fish species through acoustic methods alon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vegetation in a riparian zone of South Korea

  • Park, Hyekyung;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2호
    • /
    • pp.62-71
    • /
    • 2020
  • Understanding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has been crucial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riparian zon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survey in a riparian zone of Namhan River in South Korea both before and after flooding in order to understan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riparian vege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vegetation were different along a gradient of elevation above the water level. At low elevation, Zizania latifolia was dominant throughout the field survey periods, and Bidens frondosa began to grow late and dominated both in post-flooding 1 and 2. Prior to flooding, Scirpus radicans and Polygonum thunbergii were widely distributed at middle elevation, while Artemisia vulgaris, Phragmites austral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dominant at high elevation. After flooding, P. thunbergii was dominant at middle elevation with most other species decreasing, and more invasive or pioneer plants, including Artemisia princeps, H. scandens, and Sicyos angulatus, were observed at high elevation.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were homogeneous at low elevation, whereas dynamic variations of vegetation were observed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at higher elevations. Elevation and distance from the water front were the most principal factors governing vegetation structure. Furthermor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lso found to determin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parian zones is form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hydrological regime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herent characteristics of species,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Understanding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riparian vegetation may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ecological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within the riparian zones.

한국 남부 해역에 출현하는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 유생의 시·공간적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and Crab Ovalipes punctatus Larva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이현규;지환성;이승종;최윤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58-568
    • /
    • 2023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sand crab Ovalipes punctatus larvae was investigated in the Korean waters in 2019. Sea surface temperature (SST) was the lowest in February and highest in September. Sea surface salinity (SSS) was the lowest in September and highest in March. Further, sea surface chlorophyll a (SSC)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Larvae were distributed in the South Sea and coastal area of Jeju Island from April to June, and the abundance was the highest in May.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suggested that larval groups showed a tendency to be dispersed over a wider area as the larvae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in their swimming abilit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larval density suggested that larvae appeared in the SST range 11.8-20.9℃ and SSS range 31.5-35.3 psu. The Megalopal stage appeared in a wider range of SST and SSS than other larval stages, possibly due to the increased environmental tolerance before settlement. Results of redundancy analysis (RDA)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arval density by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ed that S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SSC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later stag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Gwangyang and Sachon Bay, Korea

  • Kim Saywa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93-97
    • /
    • 2005
  • Zooplankton dynamics were investig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monthly during the period between November 1998 and October 1999 at 15 stations in Gwangyang and Sachon Bay. Zooplankter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with horizontal towing through the surface and oblique hauling from the bottom to surface at each station, simultaneously. A total of 88 taxa of zooplankton were distributed and 60 taxa were identified to species. Copepods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of 52 species. Number of taxa occurred in samples hauled obliquely always showed $2\~5$ more species than those captured in the surface except for stations near the Namhae bridge. In waters near Namhae bridge, fast current seemed to mix waters vertically. Seasonally these differences were more distinct in the spring and summer than those in other seasons possibly due to the stratification in warmer seasons. In quantitative aspects, differences between two layers seemed to be obscur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diversity of copepods showed more prosperity in pelagic realm than those in the surface. Our collection carrying out in day time might be one of the important reason to cause these differences in zooplankton dynamics between two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