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gillarca granosa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9초

토탄을 이용한 저질개선제가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혈액학적 성상에 마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Peat Moss on the Blood Properti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10
  • 토탄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연안 저질개선제 살포가 꼬막의 혈액학적 성상 몇 근육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0, 100, 300, 800g의 양을 살포 후 10일 동안 숙성시킨 꼬막을 수조에 수용하여 14일 동안 사육 실험한 결과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800g 살포한 구에서 48시간 후에 1개체가 폐사한 것 이외에 심험종료까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아 자연소재로 구성된 저질개선제가 생물 자체에는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막 혈액의 전혈량, 헤마토크리트값, 헤모글로빈량에 있어서는 저질개선제 살포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액 글루코스량 및 근육 글리코겐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꼬막 Tegillarca granosa 심신낭복합체의 미세해부학적 특징 (Microanatomy of the Heart-kidney Complex of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 구가연;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1-298
    • /
    • 2015
  • 꼬막 심신낭복합체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해부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심신낭복합체는 발 기저부 위쪽, 내장낭 등쪽 부근과 후폐각근 사이의 위심강 안에 위치하였다. 심장은 하나의 심실과 두 개의 심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신장은 좌 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심방과 심실은 심외막, 심근, 심내막으로 구성된다. 심외막은 단층상피층으로서 입방형 상피세포로 구성되며, 이들 상피세포의 핵은 중앙에 위치하고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심근은 다수의 근섬유 다발로 구성되며, 근섬유 다발은 심방보다 심실에서 더 치밀하게 나타났다. 심내막은 단층상피층으로서 편평상피세포로 구성되며, 핵은 중앙에 위치하고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심방에서 심내막의 두께는 $6.04({\pm}2.26){\mu}m$였고, 심실에서 심내막의 상피층 두께는 $7.36({\pm}3.21){\mu}m$로 심방에서보다 심실에서 더 두껍게 나타났다. 신장은 다수의 세뇨관으로 모인 집합적 구조였으며, 신장의 세뇨관은 단층상피층으로서 원주형 상피세포로 구성되었다. 핵은 기저부에 존재하였으며, 세포질에는 다수의 과립들이 관찰되었고 자유면에는 선조연이 발달되어 있었다.

3세대 DNA 염기서열 분석과 Hi-C기술을 이용한 꼬막 게놈의 유전체 연구 (Chromosomal Assembly of Tegillarca granosa Genome using Third-generation DNA Sequencing and Hi-C Technology)

  • 김진무;이승재;조은아;최은경;조민주;신소령;이정식;박현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7-105
    • /
    • 2021
  • 꼬막은 해양 어업으로써 아시아 전 지역에 있어서 중요한 수산자원 중 하나이다. 하지만, 공장의 산업화, 해양 환경오염, 그리고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양 어업 생산량이 급격히 떨어졌다. 우리나라 남해안의 주요 수산자원인 꼬막의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꼬막의 전장유전체를 해독하고 염색체 서열을 규명하였다. 915.4 Mb의 게놈을 조립하였고, 19개의 염색체 유전자 서열을 식별하였다. 꼬막의 유전체에서 25,134개의 유전자들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 22,745개의 유전자들에 대한 기능을 확인했으며, 4,014개의 유전자들에 대한 KEGG pathway를 분석하였다. 꼬막유전체와 8종의 다른 패류와 비교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확장/감소(gene gain and loss) 분석을 수행한 결과, 725개의 유전자군의 확장과 479개의 유전자군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꼬막의 homeobox 유전자 클러스터는 촉수담륜동물 내에서 잘 보존된 유전자 구조를 보였다. 또한, 꼬막은 3개의 hemoglobin 유전자들이 피조개의 hemoglobin과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꼬막의 전장유전체 정보를 통해 꼬막의 환경 적응과 진화의 유전적 특성과 생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꼬막 양식의 효율성을 높이는 양식산업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유전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매패류 3종의 당면체 소화효소 활성 (Digestive Enzyme Activity within Crystalline Style in Three Species of Bivalves)

  • 주선미;권오남;김재원;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4
    • /
    • 2011
  • 연구는 3종의 이매패류를 대상으로 당면체의 소화효소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꼬막(n=61), 지중해담치 (n=30) 및 개조개 (n=30) 이며, 이들은 한국 남해안에서 2010년 5월에 채집하였다. 당면체의 소화 효소 활성 분석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였다. 꼬막, 지중해담치, 개조개의 당면체를 구성하는 소화효소는 amylase와 cellulase가 약 9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꼬막, 지중해담치, 개조개의 당면체를 구성하는 소화효소 중 protease 의 활성도가 가장 낮았으며, 각각 0.02, 0, 0.08%로 나타났다. 당면체를 구성하는 소화효소 활성도는 3종 모두 cellulase > amylase > chitinase > laminarinase의 순으로 나타났다.

Genetic Variations of Three Tegillarca granosa Populations Investigated by PCR Technique

  • Yoon, Jong-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5-261
    • /
    • 2016
  • The selected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BION-32, BION-33, BION-35, BION-38, BION-40, BION-46 and BION-58 generated the shared loci, specific loci,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and shared loci by the three T. granosa populations in Beolgyo, a Chinese site and Wonsan, respectively. The bandsharing value between individuals' no. 03 and no. 04 was 0.816, which was the highest value identified within the Beolgyo population. The primer BION-35 generated the most loci (a total of 70), with an average of 10.0 in the Wonsan population. On average,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generated 16.1 specific loci in the Beolgyo population, 22.3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39.3 in the Wonsan population. 126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with an average of 18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Beolgyo population, 63 loci, with an average of 9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49 loci, with an average of 7 per primer, and were observed in the Wonsan population. The oligonucleotides primer BION-32 generated 14 unique loci to each population, which were identifying each population in the Beolgyo population. Interestingly, every primer had not distinguished the shared loci by the three populations, major and/or minor fragments of sizes, which were identical in almost all of the samples. As regards average bandsharing value (BS) results, individuals from Beolgyo population ($0.717{\pm}0.057$) exhibited higher BS values than did those from Wonsan population ($0.552{\pm}0.104$) (P < 0.05). The dendrogram resulted from truthful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representing three genetic clusters comprising group I (BEOLGYO 01, 02, 03, 04, 05, 06 and 07), group II (CHINESE 08, 09, 10, 11, 12, 13 and 14) and group III (WONSAN 15, 16, 17, 18, 19, 20 and 21). In three T. granosa populations,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0.874)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 was also between individual no. 02 within the Beolgyo population and individual no. 12 within the Chinese population. Relatively, individuals of the CHINESE population were fairly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WONSAN population.

꼬막, Tegillarca granosa (Linnaeus)의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생리적 반응 (Effects of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n the Physiology of the Manila clam, Teillarca granosa (Linnaeus))

  • 신윤경;문태석;위종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5-489
    • /
    • 2002
  • 전남 보성군 장도해역의 펄질에 서식하는 꼬막의 환경내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생존율, 호흡률, 여수율 둥의 생리적 반웅 및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꼬막의 용존산소농도의 감소에 따른 $LC_{50}$은 수온 $10^{\circ}$에서 16일동안 큰개체 1.31 mg DO/L, 작은 개체는 0.95mg DO/L이었으며, 수온 $25^{\circ}C$의 경우에는 각각 1.13와 1.24mg DO/L이었다. 호흡률과 여수율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 액 성분은 Hemoglobin, glucose,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을 분석하였다. 혜모글로빈은 모든 개체에서 수중내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스트레스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glucose는 수온 $25^{\circ}C$, 용존산소 1.6-1.2mg DO/L에서 일시적 증가를 보였으며, 1.2mg DO/L 이하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외 total protein, total cholesterol, GOT 및 GPT 등은 용존산소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거나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천수만, 가로림만 갯벌에서 서식지 적합인자를 이용한 꼬막 적지선정 연구 (A Study on Suitable Site Selection of Blood Clams (Tegillarca granosa) using Habitat Suitability Factors in Tidal Flat, Cheonsu and Garolim Bays)

  • 전승렬;허승;조윤식;최용현;오그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4-772
    • /
    • 2018
  • 꼬막은 갯벌에서 자연 발생, 양성, 수확의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기초적인 서식지 특성 파악과 함께 단계적인 대체 서식 지역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현재 꼬막은 타 종에 비해 자연적으로 발생된 치패의 의존도가 높은 반면, 자연 서식지는 한정적이어서 생물자원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꼬막 적지선정을 위해 천수만에 위치한 창기와 호포, 가로림만의 당산, 사창, 왕산 총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서식지 적합인자를 조사하였다. 환경(Environment)에 관련된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 생존(Survival)에 관련된 니질 함량과 퇴적물 평균입도, 성장(Growth)에 관련된 클로로필a, 총 5가지 서식지 적합인자들의 상관성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가로림만에 위치한 왕산이 꼬막 주요 서식지의 환경 특성 적합도(왕산: 87점, 당산: 86점, 사창: 81점, 호포: 78점, 창기: 73점)가 가장 높았다. 퇴적환경은 천수만에 비해 가로림만이 더 세립 하였고, 계절적인 변동이 낮아 적합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로림만이 꼬막의 잠재적인 적지로 더 적합하며 공간활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잠재적인 적지 탐색과 선정을 통해 꼬막의 생물자원과 생산량 감소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정소 구조 및 정세포 분화

  • 마경화;주자영;강승완;이정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6-247
    • /
    • 2000
  • 수서동물 생식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생식세포의 미세구조는 종 특이성, 생식생태 및 계통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이매패류의 정자는 각 분류군에 따라 핵과 첨체의 모양, 첨체의 axial rod, 미토콘드리아 수, 편모의 수 및 형태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Morse and Zardus, 1997). Anadara trapez 등이 속하는 돌조개과 (Arcidae) 패류들의 정자 두부는 난형이며, 첨채에 axial rod가 없고, 중편에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중략)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염분감소에 따른 생리적 변화

  • 신윤경;문태석;고창순;김성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48-249
    • /
    • 2000
  • 연안 및 조간대에 서식하고 있는 해산 무척추동물들은 수시로 염분변화에 노출되고 있으므로, 저염분에 노출되고 있는 시간은 생존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생리적 조정의 결과로서 성장률 감소를 수반하는 스트레스의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염분은 해산과 기수지역 생물의 생리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종의 분포를 결정 짓는 주요한 환경 요인 중 하나이며, 염분변화에 의해 패류에서 발생하는 전형적인 반응은 섭이활동의 저하, 성장률의 감소와 패각의 폐쇄 등이다(Bohle, 1972; Widdows, 1985). (중략)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 외투강 기관계의 미세구조 I. 외투막 (Mantle)

  • 마경화;박정준;이정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39-340
    • /
    • 2001
  • 이매패류의 의투막은 외부의 자극에 생물학적으로 처음 반응하는 기관계로서 자극을 외투강 기관계와 내장 기관계에 전달함과 동시에 외투강내의 모든 기관계를 이차적으로 보호하는 구조이다. 이매패류의 외투막은 자극수용, 외투강내 물질수송 및 패각형성 등 중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eff, 1972b; Wilbur, 1972, 1985; Machin,1977; Crrenshaw, 1980). 이매패류 외투막의 구조에 관해서는 Lyonsiidae의 일부 종(Prezant, 1981)과 Crassostrea (Morrison, 1993)등에 관한 일부 보고가 있을 뿐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