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textbook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초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Occupational Content in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of High School)

  • 윤인경;장명희;이수정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155-176
    • /
    • 2016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결과 직업세계에 대한 진로개발 역량과의 관련성이 높은 기술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제시 내용과 직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 검정교과서 6종 중에 점유율이 높은 3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내용은 교과서 내용 해당 직업내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대상으로 특성별 빈도, 직업에 대한 기술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진이 분석한 내용은 결과의 타당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현장 교사 2인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기술 가정 교과의 직업은 발생사별, 단원별로 직업제시 빈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직업분류 수준별 제시 빈도가 실제 종사 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명은 한국직업사전 상 직업의 3.3% 수준이었으며, 청소년들의 선호직업 등이 높은 제시 비율을 보였다. 교과서에서 직업이 제시된 내용은 주로 본문보다 읽기자료, 사진 삽화 등의 유형에서 많이 나타났고, 직업에 대한 기술 인식은 대부분 '중립(82.8%)', '긍정(16.2%)'이었으며, 일부 부정적 사례(1.0%)도 편향적 의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를 통한 진로개발 역량 지도 시 고려할 사항과 직업에 대한 이해와 진로개발 지도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함양, 새 교육과정의 교과서 집필 측면에서의 시사점과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지수함수 그래프의 구성 맥락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ontexts for Constructing Exponential Graph)

  • 허남구;강향임;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411-4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지수함수 맥락에서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와 각 맥락의 교수학적 적절성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제시된 지수함수 맥락은 무수히 많은 점을 이용하는 맥락과 무수히 많은 직선을 이용하는 맥락, 무한히 지급되는 이자 맥락이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단계별로 그래프의 개형을 제시하는 과제에서 유한개의 점에 대한 그래프의 극한이라는 아이디어 A에서 가장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한 점에서의 변화율과 함숫값이 비례한다는 아이디어 B와 연속 복리 개념이 내포된 아이디어 C를 사용한 그래프 구성에는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지수함수 그래프 구성 맥락이 적절한가에 대한 판단은 예비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에, 부적절하다는 판단은 수학의 내용지식 측면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각 맥락에 따른 그래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조건과 상황을 언급하며 그래프 구성 맥락의 적절성을 주장한 반면에, 부적절성에 대해서는 각 맥락에 내포된 수학 개념의 본질과 논리적 관계들을 언급하였다.

초등학생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교과서분석 및 식습관 조사연구 -강릉시내 초등학생 대상으로- (A Research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Textbook Contents for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neung City)

  • 김영화;장미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4호
    • /
    • pp.379-388
    • /
    • 2007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actual level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knowledge of nutrition and the extent of curren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children through the use of textbooks. Two or three classes were sampled from each of six schools, respectively, in Gangneung; of the 562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537 were returned and used for analysis. Respondents were all sixth-graders, on average boys and girls were 153.02$\pm$8.19㎝ and 152.79$\pm$7.15㎝ in height and 45.27$\pm$10.32㎏ and 43.33$\pm$7.46㎏ in weight, respectively, which was consistent with others' research. Most children had two siblings and a working mother, considered that they were well off, and their mother prepared meals. Children regularly had breakfast and dinner, although more children had dinner than breakfast. As a whole, their knowledge of the main nutrients contained in foods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knowledge of nutr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the main nutrients contained in foods, with girls showing more knowledge than boys (p<0.01). Most of them learned about nutrition at school, followed by home. At school, Practical Technology classes taught them the most about nutrition. Although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expected to teach about nutrition in a quantitative way, they accounted for just 4.7% of the overall knowledge. As for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use of a textbook at school, just 19% of the students gained a very good understanding. As for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 22.2% of the students had no interest, while girls were more likely to have their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at school affected by knowledge of nutrition than boys. For both boys and girls, the most desired method of education was cooking practice. More research across subjects is necessary so that nutrition education concentrated on the curriculum for fifth-graders can be provided by stages from the lower grades. Since cooking practice or games were preferr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methods to incite active interest rather than passive education.

  • PDF

한국과 일본의 초.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Science Textbooks for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Field of Physics -)

  • 심소진;최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0-493
    • /
    • 2005
  • 현재 일본은 1998년 12월 문부성에 의해 고시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2002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그 특징으로는 학교 주5일제 수업 실시와 종합학습시간의 신설로 수업 시수가 대폭 줄고, 기초, 기본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기초 학력을 충실히 익힐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2000년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직장인들의 주5일 근무에 따라 5일제 수업 실시가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한국과 일본 모두 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상황을 뒷받침 해볼 때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장단점을 명료히 정리한다는 것은 새로운 교과서 개발의 기초 과정으로서 대단히 의미가 있는 일이며 앞으로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연구 결과 일본과 한국의 교과서는 내용 면에서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학습이 이루어지는 순서와 학습이 이루어지는 시기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한국의 경우 같은 내용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학습하고 있으므로 주제에 비해 교과서 분량이 상당히 많다.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교과서의 개편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의 계속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러 교육적문가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 기초, 기본 교육에 충실한 교과서가 되기를 기대한다.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를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 탐구 학습 모듈 개발 및 효과분석: '화산과 지진'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a Elementary School Scientific Inquiry Learning Module in a View of ESD: Focusing on 'Volcano and Earthquake' Unit)

  • 임성만;김성운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603-61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지질관련 단원인 '화산과 지진'단원의 학습 내용을 재구성하여 지속가능발전 및 지질 개념을 학생들이 알기 쉽게 습득하도록 탐구 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군의 '화산과 지진' 단원을 선정하여 탐구학습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탐구학습 모듈은 교과서 1종과 교사용 지도서 1종으로 초등학교 4학년 1개 반에 투입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새로 구성한 학습모듈은 학생들에게 ESD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새로 구성한 학습모듈을 통해 과학학습을 흥미롭게 수행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더불어 화산과 지진과 같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ESD 관점에 대한 명시적인 학습 발문과 내용 제시는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학습 개념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적인 교육의 흐름에 맞춰 ESD에 대한 관점이 우리나라 교과서에도 명시적으로 반영되어 학생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생각을 갖게 해줄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탐구 활동의 특징 - 가상실험, 가상현실, 증강현실 활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 (The Features of Inquiry Activities Using Technology in Elementary Science Digital Textbook - Focusing on the Cases of Using Virtual Experiment,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 장진아;박준형;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75-28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inquiry activities using technology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digital textbooks. For this, we analyzed the features of inquiry context and inquiry method presented in inquiry activities using three kinds of technology: Virtual experiment,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s a result, firstly, the most common types of 77 inquiry activities were realistic type which shows the phenomenon actually and vividly as possible and realistic-abstract type which shows the phenomena with the abstract concepts. Second, the ways of using three technolog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cesses of inquiry and the sub-domains of science. For example, virtual experiment technologies were mostly used in the contents of physics and chemistry with the inquiry context of realistic-abstract type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experiments and describing the phenomena mechanically. On the other h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tend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in biology and earth science contents with the inquiry context of realistic type for observing and describing the phenomena. Finally, w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echnology-based inquiry activities.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의 해석과 적용: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s mathematical competency: A case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은현;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89-403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이 어떻게 해석, 적용되고 있는지 교과서 분석을 통해 탐구하였다. 중학교 1-3학년 10종 30권 교과서의 191개 과제를 정보처리 능력 하위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하위요소별, 교과서별로 차이가 컸으며 공통적으로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매우 치우쳐 있었다. 과제 유형별로도 해석과 적용 방법의 다양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개선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의 내용 및 용어에 관한 남북한 비교 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Content and Terminology of Middle School Computer Textbooks in South-North Korea)

  • 박정호;안성훈;이원규;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17
    • /
    • 2007
  • 본 연구는 통일대비 교육통합을 위한 연구로서 남북한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한 교과서는 영역별로 균등하게 선정된 것에 비해 북한은 컴퓨터의 기초지식, 문서작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최신의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해결력 시장을 위해 BASIC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 관련 내용이 삽입되어 있어 향후 IT 인재육성을 대비하고 있었다. 또한 용어부문에선 남북한 언어정책의 차이, 기술유입경로의 차이 등으로 인해 심각한 언어의 이질화가 발견되었다. 통일 후 정보교육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과서의 내용 선정 및 용어의 표준화를 위한 남북한 IT 관련자 및 학계의 공동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의용생체공학 체험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요소 선정 -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ontents Fitting for Bio Medical-Engineering Experience Program - Forcus on High School Life Science Textbook -)

  • 조동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4호
    • /
    • pp.84-8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고등학교교육과정의 생명과학 교과서에서 내용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위원회를 조직하여 체험프로그램의 내용요소 추출을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생명과학 교과 중 체험프로그램에 반영 요구, 체험프로그램에 포함할 내용 영역이었다. 1개월간(2012. 4) 대전광역시 고등학교 46개교에 근무하는 생명과학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응답자는 전체 53명이었다. 연구결과, 유전과 생명과학을 포함하는 체험프로그램이 되도록 하여 15개 중단원을 포괄해야한다.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할 하위 내용은 '생명공학의 기술과 이용'을 포함한 32개 내용이다.

  • PDF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제시된 중앙처리장치 내용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Problem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of CPU Contents in Korean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이상욱;서태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4호
    • /
    • pp.143-150
    • /
    • 2013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교육은 컴퓨터 과학의 원리와 개념을 배울 수 있는 내용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정보 교과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 과학의 최신 흐름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제시된 중앙 처리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한 내용은 교과서마다 차이를 보여 정확성과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 구조 및 동작의 역사적, 기술적 접근을 통해 교과서 내용의 오류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패스와 제어 장치로 구성되었다고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패스는 명령어의 수행에 따라 데이터의 연산 또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 레지스터, 연산 장치, 가산기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 장치는 명령어의 수행에 따라 데이터패스, 주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동작유형을 결정한다. 하지만 어려운 전문 용어의 사용이 인지 발달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학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패스와 제어 장치 대신 '연산부'와 '제어부'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