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공업계 고등학교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모형 적용에 관한 형성적 연구 (Formative Research on Team-Based Learning Model in a Technical High School Class)

  • 이영민;남정권;조형정;이수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학습모형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한 공업계 고등학교 학습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형성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모형의 강점, 약점,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형의 타당성과 통용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팀 기반학습모형은 문제 상황 속에서 학습자 개인의 선행학습과 팀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과 팀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화된 교육방법이다. 이 모형의 개선과 보완을 위해 형성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분석결과, 모형의 강점으로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 유발,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교육 가능, 선행학습을 통한 자신감향상, 반복학습을 통한 개념 이해 등을 파악하였다. 한편 모형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실적인 교과내용과 방법 편성에 있어서의 한계 극복, 현장감을 높이는 문제은행 확보 필요, 실습 기자재 확충 필요,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경험을 고려한 토론 주제 발굴, 구체적인 팀별 활동과 역할 부여 필요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점으로는 합리적인 팀 구성, 발표 기회의 공정성, 적극적인 참여 독려, 학습자의 선수지식과 태도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 계획, 주요한 개념 사전 안내 및 토론 주제선별 등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적용 가능한 팀 기반 학습모형과 운영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전문계 고등학교 의상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 및 내용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and Present Status of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 유혜자;정미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71-384
    • /
    • 201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clothing departments at voc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fashion industry, employment potential in the clothing departme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s, numerical changes in the educational statistics, and curriculums were investigated by papers, reports, and statistic data. The statistic data were derived from the 'Center Educational Statistics and Information', 'School Information' (Hak-gyo Alimi),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and internet home pag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echnical service workers that graduate from clothing departm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limited competitiveness in a thriving fashion industry field. Highly developed fashion industries require more professional workers in fashion design, fashion marketing, and fashion materials. Compared to 1994, when 35 classes were conducted in 5 vocational high schools, 69 classes are now conducted at 15 schools. They have over 2,000 students and produce over 600 graduates. However, 222 credits of the $1^{st}$ curriculum in 1958 went down to 82 credit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complete the credits of clothing departments. The 15 courses of the 1st curriculum fell to 5 courses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n the number of major subjects. It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major courses in clothing education have been excessively reduced despite the demand for of highly specialized worker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e view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ose schools,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wide gaps in the curriculum, limited equipment, the supply of teachers, and counseling on the choice of college or a career. In conclusion, the following measures are required: 1) the increase of complement credits in major subjects and renovation of curriculum, 2) national substantial support to change the social circumstance concer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3) operation of credit approving system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students that have completed the same courses at vocational high schools, 4) designing realistic program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cooperation systems with corporate enterprises.

R&E 융합적 사례: IoT 기반 무선 디바이스 성형연구 (Convergent Case Study of Research and Education: Internet of Things Based Wireless Device Forming Research)

  • 이정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7
    • /
    • 2015
  • 본 연구는 이과계통의 고교생들과 함께 연구한 연구(RESEARCH) 및 교육(EDUCATION)의 사례연구이다. 최근 발달한 사물인터넷(IoT)[9-15] 기반의 여러 가지 연구주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들 중 이동형 통신기기중 가장 초보단계이면서도 학생들이 쉽게 접하고 제작방법을 따라 갈 수 있는 무선 호출기의 성형과정을 연구 주제로 정하였다. 우리는 이것을 페이저라고 한다. 오늘날 복잡하고 빅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스마트 이동형 통신기기[9-15]가 나와 있다. 그 이전 무선 호출기는 우리 삶에 이동 통신 수단의 첫 의미를 가르쳐 준 기기였다. 내부 구조도 비교적 간단하고 기능도 비교적 단순하여 이제 막 대학의 이공계에 관심을 가진 고교생들의 교육 사례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사출성형 해석의 ONE CAVITY해석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내용으로 무선호출기의 기구, 전자적인 내용을 모두 살펴볼 수 있다. 나아가 학생들에게 대량생산 및 공정자동화에 대한 융합교육의 의미도 일깨워 줄 수 있는 좋은 교육 사례로 평가된다.

핀란드 초등 과학 교과서의 소재중심 통합단원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aterial-Centered Integrated Unit in Finlan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 채희인;노석구;이소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1호
    • /
    • pp.26-3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regarding the material-centered integrated unit of environmental and natural studies, a science subject in Finland, to investigate a need for applying the material-centered integrated unit to the science curriculum of Korea. For the purpose, the study made an analysis on contents, inquiry activities, and visual materials (the most important in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composition), and it brought following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ea of contents, the bicycle material-centered integrated unit comprised a large proportion of 44 pages (25.3%) of the whole 174 pages from the environmental and natural studies textbook for the third grade. The contents included such various concepts as traffic rules, safet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ollution, recycling and separate collection, tubes and triangular structures, wedges and screws, leverage, wheels, axles, gears, elasticity (spring), friction, and so 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ntents related to the thinking ability of inquiry activities, "expecting or confirming expectations" and "application" are included in every lesson, and one lesson is compose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can study on bicycles as a practical material for their daily life and they can improve various thinking abilit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ircumstances of inquiry activities, daily circumstances made up eight lessons (80.0%) and techn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made up two lessons (20.0%) by focusing on bicycles, a material related to students' daily lif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visual materials, the percentage of pictures and photos was high at 53.4% and 45.2%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ole of visual materials, the percentage of the illustrative role and explanatory-complementary role was high at 52.1% and 47.9% respectively.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from the epistemological view to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visual materials and students and the position of visual materials, the visual textbook materials were provided toward a way that students can decrease their feeling of epistemological separation in the three fields of ideational metafunction, interpersonal metafunction, and textual metafunction.

초, 중, 고교 교과서의 식품위생 내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Food Sanitation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남철현;변부형;노병의;남원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5-104
    • /
    • 1994
  • A study on food sanitation in school textbooks was performed for 7 months from October 1, 1992 through may 31, 1993. A total of 243 textbooks (77 from elementary school level, 52 from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14 from senior high school level)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better method for teaching the subjet of food sanitation to students eff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number of pages of textbook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were 48 pages (0.53%) in elementary level textbooks, 38.05 pages (0.31%) in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05.05 pages (0.34%) in senior high school level. 2) 104.05 pages were allocated for the subject of food storage, 33 pages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32 pages for food poisoning, 15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7 pages for kitchen hygiene. 3) Of the four categories of textbooks, the numb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were 145 in home economics, 31 in physical education, 12 in social studies and 3.0 in science. 4) Home economics and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llocated many pages in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Home economics textbooks had 88 pages for food storage, 26.05 pages for food poisoning, 7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2 pages for kitchen hygien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had 15 pages about food storage, 4 pages for food poisoning, 5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and 1 page for kitchen hygiene. 5) Social studies textbooks had 5 pages for food storage, 4 pages for insect and rodent control, 3 pages for food contamination. 6)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elementary school level textbooks were 20 in physical education, 13 in home economics, 12 in social studies, 3 in science respectively. 7)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junior high school level textbooks were 31.05 in home economics, and 7.00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31.50 pages were about food storage, 6 pages about food poisoning, 13 pages about insect and rodent control, and 1 page about kitchen hygiene. 8) The number of pages dealing with food sanitation in senior high school level textbooks were 101.05 in home economics and 4 in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64 pages were about food storage, 21.05 about food poisoning, 13 about insect and rodent control, 4 about kitchen hygiene, and 3 about food contamination. 9) Pictures, drawings and tables were used in explaining food sanitation in the textbooks, 32 drawings of a total of 38 cuts in elementary school level textbooks, 8 pictures of 10 cuts in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13 tables of 14 cuts in senior high school level were used. 10) 5th grad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did not have a subject on food poisoning. Other grad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level did not contain a subject on food contamination and insect and rodent control. It's recommended that these subjects be contained in the textbooks. 11) It is necessary to teach a subject on health or health and environment independently and contain food sanitation in the subject. It is recommended that a textbook on health or health and environment be published and taught to students. 12)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specialized in health education be assigened to schools to teach health related subjects. 13) It is recommended that book publishers use the latest information in the textbooks and technical terms be unified.

  • PDF

인공지능의 이해와 사회적 영향력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on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al Impact)

  • 김한성;전수진;최승윤;김성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1-2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AI)과 관련한 기술적 지식과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길러주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적 접근에 기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수업을 통해 AI에 대한 개념과 인식의 변화 그리고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후 AI 개념과 일상생활 속 사례에 대한 이해가 향상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AI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고, 개인정보, 초지능화, 신뢰성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만족도를 보면 AI에 대한 이해, 수업에 대한 재미, AI에 대한 흥미와 관심, 다른 친구에게 추천 관련 항목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초·중등학교의 AI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O 미터를 이용한 탐구중심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 용존산소 측정 활동 - (Development of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DO Meter - Measuring Activity of Dissolved Oxygen -)

  • 류재홍;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2호
    • /
    • pp.96-107
    • /
    • 2006
  • Inquiry has great value in environmental education(EE). Being able to see the world environmentally through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value and goal of EE.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velop an EE program of measuring activity of dissolved oxygen(DO), based on the theory of 'inquiry-based EE'. Especially, we recognized the potential that DO meter can be used in 'inquiry-based EE', and we tried to develop a model of inquiry-based EE using DO meter.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present specific models of inquiry-based EE about how to perform measuring activity of DO and how to use the DO meter in laboratories and streams from the perspective of inquiry of water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we considered organization of the inquiry process, use of concept and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and insightful inquiry, integration, sustain-ability, content components of 'Environmental Studies for EE', developmental level and in-forest of students. The developed EE model is a scientific inquiry model, pursuing 'explanation' based on data collection. Through this model, we tried to make students see water environment more deeply.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applied to various water environments, like laboratories, streams, ponds, etc. It can be more effective inquiry activity if we perform measuring activities simultaneously with P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urbidity meters.

  • PDF

미국의 학교-노동 이행에 관한 연구 (School-to-Work Transition in the United States)

  • 은기수;김병관
    • 한국인구학
    • /
    • 제25권2호
    • /
    • pp.231-270
    • /
    • 2002
  • 지구화시대에 정보산업이 발달하고 국가 경쟁력이 더욱 더 중요해지면서 미국에서도 학교에서 노동으로의 이행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학교교육이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주장과 학교교육은 기술교육이 아니라 인문교육이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지만, 미국은 최근 들어 학교에서 노동으로의 이행을 돕기 위해 새로운 법령을 공포하고 여러 프로그램에 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은 고등학교의 학력으로는 좋은 직장을 얻기 힘들고, 대학 졸업자에 비해 낮은 임금을 받으며, 영원히 사회내에서 낮은 계층에 머무를지 모른다는 위기의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 노동으로의 이행의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기보다는 대학교에 가기 위한 보조장치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의 주 정부에서는 연방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각종 학교-노동시장이행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지만, 연방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끊기면서 독자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전망은 밝지 않다.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연계시켜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돕는 프로그램은 지구화시대에 치열한 경쟁을 뚫고 나가기 위한 중요한 사회적 장치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인문교육과 대학교에 진학하는 것이 학부모의 관심사였던 미국사회에서 학교-노동시장 이행 프로그램은 아직 완전히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Specialized High School)

  • 김영민;김현정;이창훈;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5-114
    • /
    • 2011
  •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0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들 중에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제공되는 학술지, 학위 논문을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성화 고등학교 산학협동 관련 연구는 1970년부터 시작되어 발행 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0년까지 총 발행부수는 196편이었다. 이 중 학술지 논문은 50편, 학위 논문은 146편이었다. 연구 분야별 동향으로 현장연구, 정책연구, 기초연구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료 수집 방법별 동향을 살펴보면 설문지, 조직내부자료, 논문, 인터뷰, 관찰 실험 전문가협의회순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방법별 연구 동향은 조사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개발연구, 실험연구 순이었으며 조사연구가 전체 연구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연구의 대상 기관별 연구동향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체 특성화 고등학교, 농업계 고등학교, 상업계 고등학교, 수산 해운계 고등학교,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순이었으며 공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의 대상 지역별 연구 동향은 전국, 경기도, 서울,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인천, 강원 제주도,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순이었다. 인적 대상별 연구 동향은 학생, 교사, 산업체, 기타, 대학교직원, 학부모 순으로 학생과 교사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산학협동 유형별 연구 동향은 현장실습, 학교기업, 현장견학, 산업체인사초청, 연수, 인턴십 순으로 현장실습에 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절반 이상이었다.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 CAI의 효과성 연구- 화학 평형 단원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CAl on Achievement and Attitudes in High School Chemistry- in Chemical Equilibrium -)

  • 성숙경;김주래;한인옥;이진승;정대홍;서정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3-312
    • /
    • 1998
  • 본 연구는 화학 평형 단원에 대한 멀티미디어 CAl를 제작하고, 고등학교 화학수업에 적용하여 성취도와 태도 면에서 전통적 수업과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처치 전에 화학수업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를 하였고, 중간고사 성적을 공변인으로, 중간고사의 과학성적을 구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화학 평형 단원을 대상으로 각각 전통적인 수업과 CAl를 수행한 후에 성취도 검사와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학수업을 받은 학생은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에 비하여 성취도는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으나, 태도의 향상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의 사전 성취수준과 수업처치와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성별로 분석해 보니 여학생은 CAl에 의해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나, 남학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해와 적용의 하위범주 중 적용문제 영역에서 CAl에 의한 성취도의 향상이 있었으며, 화학 평형의 법칙, 화학 평형의 개념, 평형 이동의 적용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화학 평형의 개념에서 성취도의 향상이 가장 컸다. CAl가 컴퓨터에 대한 태도와 화학수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지 않았으며, 남학생은 CAl에 의해 화학수업에 대한 태도와 컴퓨터에 대한 태도 모두 긍정적으로 변했으나 여학생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