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Study

검색결과 960건 처리시간 0.031초

Taxonomic implications of floral morphology in the subfamily Asclepiadoideae (Apocynaceae s.l.) in Korea

  • NAM, Bo-Mi;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2-184
    • /
    • 2018
  • We examined the floral morphology of 15 taxa of five genera (Cynanchum, Marsdenia, Metaplexis, Tylophora, and Vincetoxicum) in Korean Asclepiadoideae using a stereoscopic and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to clarify and describe the flor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corolla and corona types, the types of corona lobes, appendages on the corona lobes, and the apex shape of the style head are considered as diagnostic characteristics at the generic level. The genus Vincetoxicum, which is treated as a synonym of the genus Cynanchum in Korea, is distinguished from Cynanchum by the interstaminal part on the corona, fleshy and mainly triangular or ellipsoid corona lobes, and various corolla colors. In Cynanchum, various corona types have been observed, while Vincetoxicum have similar corona types among the taxa. In addition, the main floral characteristics at the species level were as follows: flowering time, inflorescence, corolla color, trichomes on the corolla surfaces, apex shape of the corona lobe, and trichomes on the ovary. This study presents the taxonomic importance of floral morphology by providing descriptions and diagnostic characteristics among the genera and species investigated.

A new distribution record of Scutellaria barbata D. Don (Lamiaceae) and an erroneously identified Scutellaria in Korea

  • LEE, Yoonkyung;KIM, Jung-Hyun;LEE, Byoung Yoon;KIM, Jin-Seok;KIM, Sangt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3-128
    • /
    • 2018
  • Earlier taxonomic studies of Korean Scutellaria reported a new record of Scutellaria hastifolia L. in Korea based on three herbarium sheets. During a reexamination of these specimens, we found that the leaf characters of these specimens differ from those in the type specimen of S. hastifolia.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and confirmation of the type specimen, the specimens identified as S. hastifolia thus far were a misidentification of S. barbata D. Don. S. hastifolia is clearly different from S. barbata by single conspicuous teeth on both sides of the leaf margins and larger leaves.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 sites of the three specimens used in the previous study, a distribution site of the S. barbata was newly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distribution of S. barbata in Korea, correct a previous report of S. hastifolia,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 barbata, and suggest a taxonomic key to Korean Scutellaria including S. barbata.

Intraspecific genetic variation in Corynandra chelidonii (Angiosperms: Cleomaceae) as revealed by SCoT, ISSR and RAPD analyses

  • Sirangi, Subash;Jogam, Phanikanth;Nemali, Gandhi;Ajmeera, Ragan;Abbagani, Sadanandam;Raju, Vatsavaya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289-297
    • /
    • 2020
  • The genetic diversity of two subpopulations of Corynandra chelidonii, one of terrestrial and the other of aquatic environments, was measured with molecular markers, such as start codon targeted (SCoT),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ISSR), and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The traditional morphological traits such as habitat, habit, leaf morphology, the colour of the sepals and petals, number of stamens, and seed morphology formed the base for their realization as two varieties, C. chelidonii var. pallae and C. chelidonii var. chelidonii. The polymorphism between the two variants was 100% with the primers SCoT-2 and OPA-1 and 4, while maximum polymorphism was detected with ISSR-2, SCoT-3, and OPA-3. The study used, for the first time, more than one molecular marker to assess the genetic variation underscor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 in Corynandra chelidonii (L.f.) Cochrane & Iltis. The study justifies the recognition of the two subpopulations of Corynandra chelidonii from aquatic and terrestrial environments as two distinct varieties, C. chelidonii var. pallae (Reddy & Raju) V.S.Raju and C. chelidonii var. chelidonii, respectively, based on the traditional taxonomic evidence.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protozoans discovered through the project of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II

  • Kyu-Seok, Chae;Jongwoo, Jung;Won Je, Lee;Gi-Sik, Mi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335-342
    • /
    • 2022
  • Through the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project hos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new or unrecorded species of various protozoans inhabit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discover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rine, freshwater, and soil habitats in South Korea and all specie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by experts working on the respective taxonomic group. This study includes 17 unrecorded Korean protozoan species discovered through this project, which belong to four phyla: Amoebozoa Lühe, 1913, Cercozoa Cavalier-Smith, 1998, Euglenozoa Cavalier-Smith, 1981, and Ciliophora Doflein, 1901. Among them, three families (Rhogostomidae Dumack et al., 2017, Parauronematidae Small and Lynn, 1985, and Cyclidiidae Ehrenberg, 1838) and three genera (Rhogostoma Belar, 1921, Parauronema Thompson, 1967, and Cyclidium Müller, 1773)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Unlike the previous paper of 2017,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taxonomic account of each species (e.g., species name, collection site, synonyms, specimen vouchers, diagnoses, and figures). Additionally, all the species were assigned Korean names.

Comparative analysis of HiSeq3000 and BGISEQ-500 sequencing platform with shotgun metagenomic sequencing data

  • Animesh Kumar;Espen M. Robertsen;Nils P. Willassen;Juan Fu;Erik Hjerde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4호
    • /
    • pp.49.1-49.11
    • /
    • 2023
  • Recent advances in sequencing technologies and platforms have enabled to generate metagenomics sequences using different sequencing platforms.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shotgun metagenomic sequences generated by HiSeq3000 and BGISEQ-500 platforms from 12 sediment samples collected across the Norwegian coast. Metagenomics DNA sequences were normalized to an equal number of bases for both platforms and further evaluated by using different taxonomic classifiers, reference databases, and assemblers. Normalized BGISEQ-500 sequences retained more reads and base counts after preprocessing, while a slightly higher fraction of HiSeq3000 sequences were taxonomically classified. Kaiju classified a higher percentage of reads relative to Kraken2 for both platforms, and comparison of reference database for taxonomic classification showed that MAR database outperformed RefSeq. Assembly using MEGAHIT produced longer assemblies and higher total contigs count in majority of HiSeq3000 samples than using metaSPAdes, but the assembly statistics notably improved with unprocessed or normalized reads. Our results indicate that both platforms perform comparably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taxonomically classified reads and assembled contig statistics for metagenomics sampl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researchers in selecting an appropriate sequencing platform and bioinformatics pipeline for their metagenomics studies.

생태계위해성평가 기반 마련을 위한 한국 도입 외래 포유류 목록 구축 (An inventory of alien mammals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South Korea)

  • 박수곤;이도훈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65-1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도입된 외래 포유류를 조사하여 생태계위해성평가와 외래생물 관리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관상 목적으로 도입된 외래 포유류, 개인 간 거래되는 외래 포유류 등 사육 환경에서의 외래 포유류와 자연에 유입된 외래 포유류를 조사하여 한국에 도입된 외래 포유류 목록을 구축하였다. 한국에 도입된 외래 포유류는 총 16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관상 목적으로 도입된 외래 포유류는 11목 44과 139분류군, 개인 간 거래되는 외래 포유류는 5목 19과 28분류군, 자연생태계에 유입된 외래 포유류는 총 4목 7과 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국내 도입된 외래 포유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도입된 모든 종의 목록을 토대로 종별 개체수, 도입지역 등 기초적인 정보의 확보가 중요하다. 아울러, 자연생태계 유출 시 나타날 수 있는 생태계위해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통해 잠재적인 위해 정도를 구분하고 이에 근거한 관리정책의 체계적 연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내 자연생태계에 유입된 Capra hircus, Cervus nippon taiouanus, Felis catus, Myocastor coypus, Ondatra zibethicus, Oryctolagus cuniculus, Ovis aries, Rattus norvegicus 등 8분류군에 대해서는 확산 변화 양상에 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서식 변화 수준에 따른 즉각적 대응체계 구축 등 국가 차원에서의 확산 제어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한국 남부 지역별 돼지 장내 미생물생태 비교분석 (Differences in swine gut microbiota in southern region of Republic of Korea)

  • 김정만;;;운노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1-85
    • /
    • 2015
  • 성장촉진제로 항생제 사용이 금지가 된 이후, 가축들의 사망률이 증가되어 항생제 대체제를 개발해야 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한 대체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 중 하나는 숙주의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장내미생물생태를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가축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이해가 인간과 비교하여 볼 때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 차이가 있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돼지 분변샘플은 제주(n=40), 광주(n=28), 해남(n=30) 농가로부터 채취하였으며, MiSeq을 이용하여 16S rRNA V4 지역을 시퀀싱하였다. 또한 Mothur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MiSeq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총 5,642,125 reads를 얻었으며, 에러시퀀스들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3,868,143 reads가 남았다. Phylum 수준의 taxonomic composition 분석에서는 제주 돼지들이 Firmicutes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Operational Taxonomic Units 분포분석에서 또한 지역적 차이에 따라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과 Phyla의 풍부함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Actinobacter, Verrucomicrobia, Firmicutes, Fibrobacteres이 세 개의 지역에 있는 돼지들의 장내미생물생태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장내 미생물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한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는 농장에서 사용하는 사료와 사양관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돼지장내미생물생태가 지역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에 가축의 장내미생물생태에 관한 연구는 지역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될 것이다.

한국산 포아풀속(Poa L.)의 소수 형태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the spikelet morphology of Korean Poa L. (Poaceae))

  • 정수영;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7-502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산 포아풀속(Poa L.) 17분류군에 대하여, 화서, 소수(spikelet)의 형태, 소화축(rachilla), 포영(glume), 호영(lemma), 내영(palea) 등의 소수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관찰하였다. 소수의 무성아(bulbil) 유무, 화서의 돌기 유무, 호영 기반(callus)의 털 유무 그리고 내영 표면의 털, 유두상 및 자상 돌기의 유무는 아속을 구분하는 형질로, 내영 용골(keel)의 유무, 내영 용골의 털 유무, 제1포영(lower glume) 맥수, 호영 측맥(lateral nerve)의 뚜렷함은 절을 구분하는 형질로, 소화의 개수, 소화축의 유무, 제1포영 맥수, 포영 맥 위의 자상돌기의 유무, 호영 표면의 털과 유두상 및 자상돌기의 유무 등은 종의 식별형질로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한국산 포아풀속 17분류군은 3아속(Ochlopoa, Poa, Stenopoa) 7절(Arenariae, Ochlopoa, Homalopoa, Poa, Pandemos, Tichopoa, Stenopoa)로 정리되었으며, 기존 분류체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6분류군중 P. ullungdoensis(울릉포아풀), P. takeshimana(섬포아풀), P. matsumurae(가는포아풀)의 3분류군은 Poa아속 Poa절, P. nipponica(큰꾸러미풀), P. radula(좀꾸러미풀)의 2분류군은 Poa아속 Homalopoa절, P. viridula(청포아풀)은 Stenopoa아속 Stenopoa절에 속하였다. 또한 P. nemoralis(선포아풀)은 기존에 Stenopoa아속 Stenopoa절에 속하였지만 Poa아속의 특징을 보여 Poa아속 Poa절에 옮겨져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1955년 신종으로 발표된 P. ullungdoensis(울릉포아풀)은 최근까지 그 실체가 불분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그 실체를 확인하였다.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Planting Patterns and Landscape Redevelopement of Pilam Seowon in Jangseong-Gun)

  • 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1-141
    • /
    • 2011
  • 본 연구는 서원의 조경정비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장성 필암서원(사적 제242호)을 대상으로 고문헌 분석과 식재공간에 대한 권역별 전수조사 및 항공사진 촬영을 통해 공간별 식재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제시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장성 필암서원은 평야산록형의 전학후묘형으로, 필암서원에 식재된 수목은 주로 문중에서 식재한 것과 1980년대 조경정비 때 식재된 것으로 교목 23분류군, 관목 6분류군, 초화류 5분류군으로 평지의 한정된 공간에 밀식되어 있다. 노거수로 군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소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배롱나무, 매화나무 등 우리나라 전통조경에 사용되는 수목들이 주로 식재되어 있었다. 경내의 차나무는 연화산의 야생차밭에서 도입되어 식재된 것이다. 향후, 필암서원의 조경정비 시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는 문화재 지역에서 주로 발생되는 경내의 식재수목에 대한 수형관리, 과도한 수목식재로 인한 밀도의 조정과 백송, 칸나 등 외래수종 제거, 외부시설의 과도한 식재로 인한 주공간의 왜소화 방지, 식재권역별 공간간의 단절성 회복 등을 들 수 있으며, 서원 내 건물의 벽화 소재인 식물그림의 활용한 식재구상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의 시사점은 조경정비 시 지나친 조경수목의 도입으로 인한 전통공간의 장소성 상실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향후 보전적 차원에서 서원과 같은 전통조경공간의 정확한 실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산 말벌과의 종목록 정리 및 분포에 대한 고찰 (Checklist and Distribution of Korean Vespidae Revisited)

  • 최문보;김정규;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5-91
    • /
    • 2013
  • 한국산 말벌과에 관한 그 간의 연구는 다수의 오류를 포함하는 과거의 정보들이 동정에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여러 가지 분류학적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말벌 연구들을 최종 정리하여 호리병벌아과를 제외하고 확정된 한국산 말벌과의 종 목록과 그들의 분포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였다. 총 2아과 5속 30종(3아종 포함)의 말벌류와 쌍살벌류를 한반도산으로 확정하였으며, 그 중 말벌아과는 3속 18종, 쌍살벌아과는 2속 12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