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uDEM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evelopment of Watershed-based Surface Soi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Web GIS기반의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 개발)

  • Sung, Yunsoo;Lee, Dongjun;Lim, Kyoung Jae;Yang, Jae E;Lee, Seoro;Kim, Jonggu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2 no.6
    • /
    • pp.94-103
    • /
    • 2017
  • Surface soi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that have many functions for human needs such as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materials, and productivity of food or energy. However, the surface soil is a limited resource that cannot be recovered readily for a long time once it is lost by erosion.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nacted the notification on the investigation of surface soil erosion and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As the results, database of soil quality assess criteria (biomass, groundwater recharge, habitat, carbon storage, buffer, and soil loss) was established, and the web-based system that can evaluate surface soil conditions was developed. However, non-experts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system because the system requires in-depth knowledge about soil qualities. In this study, the Web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atershed-based surface soil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improve usability of the system and accessibility of soil quaility database. The system provides the current condition of surface soil characteristics and GIS-based soil data at selected locations. The users are able to download soil quality data in different districts, watersheds, and special regions allocated by TauDEM module.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valuable surface soil information for studies of soil quality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and thereby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more appropriate and robust soil conservation laws.

Estimation of Basin Relative Saturation by Topographic Index (지형지수를 기반으로 한 유역의 상대적인 포화도 산정)

  • Kim, Joo-Cheol;Kim, Jeong-Kon;Lee,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8-298
    • /
    • 2011
  • 다양한 수문학적 순환 성분들의 영향을 받는 유역의 포화과정은 토양층의 공간적 이질성과 맞물려 매우 복잡한 거동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해 볼 만한 지형인자 중의 하나로서 지형지수(topographic index)를 들 수 있다. 지형지수는 TOPMODEL의 주요한 입력변수 중의 하나로서 그 공간적 분포에 따라 유역의 상대적인 포화도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하지만 신뢰성 있는 지형지수의 산정은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으로서 정확한 지형지수를 산정할 수 있는 절대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DEM을 기반으로 한 각종 흐름방향 모의기술의 수준이 아직 자연적인 지형형상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함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8-흐름방향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바 있는 $\infty$-흐름방향방법에 따라 지형지수를 산정하여 유역이 공간적으로 포화되어 가는 과정을 모의하여 보았다. $\infty$-흐름방향방법은 각도의 형태로 흐름방향을 산정하여 고정된 흐름방향의 구속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최소한의 흐름분산(flow dispersion) 모의를 허용하여 유역규모의 포화과정을 효율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수단으로 판단된다. 대상유역으로는 설마천 유역을 선택하였으며 지형분석 과정에는 Arc GIS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software 중의 하나인 TauDEM을 적용하였다. 아래 그림은 각각 포화도 20%, 50%, 90%에 해당하는 포화역을 도시한 것으로 하천망으로 중심으로 유역이 공간적으로 포화되어 가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되는 방법론은 자연유역의 유출응답 속에 내재하는 동적특성이나 비선형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QGIS plugin GUI for the GRM Model and Free Open (GRM 모형의 QGIS Plugin GUI 개발 및 모형 공개)

  • Choi, Yun Seok;Park, Sang Hoon;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3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의 확장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기존의 GRM은 HyGIS, MapWindow GIS 등과 같은 GIS 소프트웨어 및 Microsoft MDB와 코드 수준에서 통합된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GRM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시스템 개발시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RM 모형을 GIS 및 데이터베스와 코드 수준에서 분리하여 GRMCore.dll을 개발하였다. GRMCore.dll은 콘솔 모드 및 GUI에서 유출해석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실시간 유출해석시스템 등과 같이 유출 해석을 위한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두 번째는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GIS 인 QGIS의 plugin으로 GRM 모형의 GUI(QGIS-GRM)를 개발하였으며, GRM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을 위해 TauDEM을 이용해서 Drainage Tool을 개발하였다. Drainage Tool에서는 격자별 흐름방향, 하천망, 유역 등과 같은 수문학적 공간정보를 DEM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였다. 공개 대상은 GRM 모형, QGIS-GRM, Drainage Tool 등이며,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매뉴얼을 포함하고 있다. 소스코드의 공개는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Github(https://github.com/floodmodel/)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존에는 특정 소프트웨어에 코드 수준에서 의존적이던 GRM 모형의 독립성을 향상시켰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QGIS 기반의 GUI 개발, 모형 입력자료 구축 도구의 개발,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오픈소스화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좀 더 쉽게 GRM 모형을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The Change of Taurine Transport in Variable Stress States through the Inner Blood-Retinal Barrier using In Vitro Model

  • Kang, Young-Sook;Lee, Na-Young;Chung, Yeon-Y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v.17 no.2
    • /
    • pp.175-180
    • /
    • 2009
  • Taurine is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 in the retina and transported into retina via taurine transporter (TauT) at the inner blood-retinal barrier (iBRB).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taurine transport at the iBRB is regulated by oxidative stress or disease-like state in a conditionally immortalized rat retinal capillary endothelial cell line (TR-iBRB) used as an in vitro model of iBRB. First, [$^3H$]taurine uptake and efflux by TR-iBRB were regulated in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Ca^{2+}$. [$^3H$]Taurine uptake was inhibited and efflux was enhanced under $Ca^{2+}$ free condition in the cells. In addition, oxidative stress inducing agent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lipopolysaccharide (LPS), diethyl maleate (DEM) and glutamate increased [$^3H$]taurine uptake and decreased [$^3H$]taurine efflux in TR-iBRB cells. Whereas, 3-morpholinosydnonimine (SIN-1), which is known to NO donor decreased [$^3H$]taurine uptake. Lastly, TR-iBRB cells exposed to high glucose (25 mM) medium and the [$^3H$]taurine uptake was reduced about 20% at the condition. Also, [$^3H$]taurine uptake was decreased by cytochalasin B, which is known to glucose transport inhibitor. In conclusion, taurine transport in TR-iBRB cells is regulated diversely at extracellular $Ca^{2+}$, oxidative stress and hyperglycemic condition. It suggested that taurine would play a role as a retinal protector in diverse disease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