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oist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 전통가구 양식디자인의 도교(道敎)적 요소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aoist Elements in South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 소양;김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32-344
    • /
    • 2019
  •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한국과 중국은 오랜 문화교류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기간의 교류를 통해 중국의 전통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한반도 선조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있다. 중국의 전통문화 중 하나인 도교는 한반도의 삼국시대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도교가 한반도에 녹아들고 발전하면서 한반도만의 특징을 지닌 도교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고, 한반도 선조들의 전통적인 이념 및 문화적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한반도의 가구발달 과정에서 도교의 음양오행설, 풍수지리설 등 도참설(圖讖說)은 한반도 전통가구의 용도, 조형, 재질, 문양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왕조 후기는 한반도 수공업 발전의 전성기였다. 이 시기에는 가구류가 증가하여 도교적 특성이 뚜렷하고, 모양이 아름답고, 디자인이 우수하고, 용도가 다른 가구들이 많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가구의 조형, 재질, 문양, 도장, 디자인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도교사상이 한국의 전통가구의 형태와 문양의 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 요소 중의 하나임을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자연물이나 동식물을 가구 디자인의 문양으로 활용한 것은 가족들이 화(禍)를 피하고 하늘로부터 복(福)을 받기를 기원하는 도교의 기복(祈福)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원굉(袁宏)과 갈홍(葛洪)의 유도(儒道)관계론 연구 (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of Yuan-hong & Ge-hong)

  • 李溱鎔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293-326
    • /
    • 2009
  • 중국철학을 대표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학파는 유가(儒家)와 도가(道家)이다. 두 학파는 각기 다른 방식을 통해 현실의 갖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고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상이한 이론체계를 세운다. 다만 중국철학의 발전을 살펴보면 이러한 상이한 이론을 하나의 체계 속에 엮으려는 다양한 시도가 전개되었다. 대표적으로 위진(魏晋)시기 현학(玄學)에서는 자연(自然)과 각수(名敎)의 관계를 토론하며 유도(儒道) 두 학파의 관계 설정에 골몰한다. 동진(東晋)시기의 지식인들은 바로 전대(前代)의 이러한 정신을 이어서, 직접적 방식으로 유도(儒道) 두 학파의 관계 설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펼친다. 본 논문은 동진(東晋)시기 유도(儒道)관계론의 대표적 학자로 원굉(袁宏)과 갈홍(葛洪)의 이론을 살펴본다. 원굉(袁宏)은 명교(名敎)의 효용성과 가치를 충분히 긍정하면서, 다만 명교(名敎)의 근본과 근거 찾기에 골몰하여 전대(前代)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관계 문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동시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도본유용(道本儒用)'의 관점을 제시한다. 갈홍(葛洪)은 신선도교(神仙道敎)의 입장에서 유도(儒道) 두 학파의 관계 및 두 학파 이론의 직접적 비교를 통해 '도본유말(道本儒末)'의 이론을 정립한다. 이들의 이론은 근본과 작용, 근본과 말단의 관계 설정으로 유가와 도가 두 학파의 관계를 설정하는 동시에,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관계 문제를 보다 심층적 방식으로 이론적 접근을 꾀함으로써, 향후 중국철학에서 유가와 도가의 상호 보완이라는 문제의식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중독(中毒) 현상의 도가철학적 해석 (On the Taoist Interpretation of Addiction)

  • 김백희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39-63
    • /
    • 2023
  • 현대사회의 병리현상 중에서 매우 심각하게 문제를 야기하는 "중독(中毒)" 현상에 대한 도가철학적 해석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고의 의도이다. 이를 위해 철학적 사유의 지평에서 중독을 관조는 법을 구명하였다. 질병은 고정불변의 실체를 지니는 존재자가 아니라 균형과 조화를 상실한 일종의 현상으로서 파악해야 한다. 이에 대한 치료는 해독약으로서의 약(藥)을 처방할 수 있다. 약 자체가 독약과 양약의 구분이 모호한 물질적 존재로서, 조화와 균형의 시각에서 약을 다루어야만 중독 현상의 해결에 유효할 수 있다. 중독 현상을 보는 도가철학의 관점은 만물의 개별자가 지니는 욕망의 일탈 또는 욕망의 과잉으로 빚어진 병리 현상이다. 개별자는 우주자연의 변화과정 속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과정적 존재일 뿐이다. 이런 도가적 세계관을 계승하는 유파로서의 한의철학이 있다. 도가적 한의철학의 지평에서 중독 현상은 마음의 조화와 균형을 잃는 것에서 온다. 해결의 방법도 마음의 혼란 상태[마(魔)]를 안정시키는 것에서 시작한다. 병리현상으로서의 중독은 실제로는 실체적 본질이 없다. 질병 현상은 삶의 어떤 계기나 인연에 의하여 조금씩 쌓여 견고하게 굳어진 일종의 일시적 현상일 뿐, 영원한 본질이 있는 악의 표상이 아니다. 이런 이치를 자각하는 순간 그런 병리현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도가철학의 진단과 처방은 단호하다. 욕망의 일탈이 바로 병리현상을 일으킨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과(過)와 불급(不及) 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하면 병리적 중독과 같은 모든 시름은 우주변화의 풍랑에 씻기어 간다.

민화(民火)의 개념 및 방광기화(膀胱氣化)와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min fire(民火) and its relation to qi transformation(氣化) in urinary bladder)

  • 은석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7-251
    • /
    • 2013
  • Objective : Min fire(民火) is mentioned as a kind of fire that exists in human body, which rarely appears in traditional medical books. It was mainly mentioned as a fire in urinary bladder, and was referred to have some function in the process of qi transformation(氣化) in urinary bladder. As the concept of min fire was originated from the Taoist internal alchemy, this study will make a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examples of min fire in medical theory and Taoist internal alchemy, and will find out the conceptual significance of min fire in medical theory. Method : Among traditional medical books, min fire appears in such books as Yixuerumen(醫學入門), Youyoujicheng(幼幼集成), Fengshijinnangmilu(馮氏錦囊秘錄), and also in some books of Taoist internal alchemy. Though rather brief and informal, they show us some information about the performance of min fire in human body. So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min fire that was acquired from those books, this study will apply the concept of min fire to the traditional dispute on the problem of qi transformation in urinary bladder. Result & Conclusion : The concept of min fire that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qi transformation in urinary bladder, shows well that qi transformation in urinary bladder produces not only urine but also the ascent of shuijing(水精). And it also shows well that min fire acts as a power for the qi transformation in urinary bladder, which would perform well in the cooperation with sovereign fire(君火). This can be presented as a theoretical basis that the power for the qi transformation in urinary bladder is basically prepared in urinary bladder itself.

조선시대(朝鮮時代) 석가산(石假山) 연구(硏究) (The Chosn Period SekGh-San Couplet)

  • 박경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60-79
    • /
    • 2001
  • We can infer from collections of prose in Cho-sun period that the main period is from King Se-jong's reign to King Yoeng-jo's or between the 15th and the 17th century.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dignity of the rock garden is derived from Taoist hermitism and Nitze and Jeng-je's quietism. The representation of the rock garden as tri-god mountain comprising Bong-lai, Bang-jang and Young-ju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making the tripartite rock garden in a pond practiced in the three north-easter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it's the representation of quietistic world of eternal life that had been sought by the taoism. Making a pond in which they plant lotus and made rock garden. they enjoyed watching immaculately pure lotus flower bloom even in the mud. It is compared to the confucians' seeking for virtue even in the profane or defiled world. Another motive of intellectuals to make rock gardens is their love of nature and its landscapes and their preference of recluse and temperate life to attaching to high public office, which was the tendency of the learned, established by the influence of taoist and quietist tradition. The essays portray the fountain water, ponds, waterfalls. the hilltops, the mountain pass over the ridge. winded lanes, valleys, caverns, and other architectural elements. The technic of building rock gardens includes those of harmonizing each elements of landscapes in the water, that of irrigation, building formation, and those of piling up the mountains and hills. With some comments on planting trees, grass and flowers. The original location of rock garden, esp. in case of taoist Chae-su's rock garden with waterfalls, is Ian-ri, Ian-myon in the city Sang-ju. Since no relics of rock gardens are to be found in any examples of Korea's traditional gardening, the study of rock gardening by analyzing the prose collections of Cho-sun period can be significant for the study of designing water space that has been considered the center of a garden space.

개화기 초등수학교육 재음미 (A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Age of Enlightenment)

  • 조영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61-181
    • /
    • 2018
  • 이 논문에서는 1876년에서 1910년에 이르는 개화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일어난 초등수학교육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개화기를 갑오개혁이전, 갑오개혁, 통감부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초등수학교육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았다. 갑오개혁이전시기부터 산술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었으며, 갑오개혁시기에 산술교육은 본격적으로 국가교육과정이 되었다. 특히 갑오개혁시기에는 국한문혼용의 초등수학교과서가 발간되었다. 일제의 간섭이 본격화된 통감부 시기에는 '간이'와 '이용'의 교육정책에 따라 산술교육도 축소 또는 약화되었다. 이 시기에 발간된 초등교원용 산술서는 특기할 만하다.

봉정사 극락전 벽화조사 (I) (The mural painting investigation of Kuknakjon at Pongjongsa)

  • 김사덕;이은희;엄두성;조남철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0호
    • /
    • pp.175-206
    • /
    • 1999
  • In 1972, the mural painting of Kuknakjon, which is National Treasure No. 15, at Pongjongsa was taken to pieces. From 1999. 9. 8 to 1999. 9. 15,we were precisely investigated with infrared vidicon television, video camera and so fort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shows that contents of the mural painting consisted of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paintings of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and old historic figure paintings (In the investigated mural paintings, there were paintings about pheasant or magpie on splendid peony, figures such as Lee tae baek(이태백) and Baek lakchon(백악천) known as old chinese poets, Chang yang(장량) and Hwangsok kong(황석공) known as old historic figures and Paebok(백복), and Choksongja(적송자) known as Taoist hermits.)It is noted that the mural painting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ter Choson culture included Taoistic and folk artistic than buddhistic contents such as painting of Bodhisattva, Arhat and apsara. Later, each mural painting will be more investigated in respect of Buddhism art historic value, and we'll make conservative treatment plan based on its result.

  • PDF

양양 죽도의 장소성과 지형경관의 지명 고찰 및 비정 (A Placeness and Identification on the Place Name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in Jukdo, Yangyang)

  • 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48
    • /
    • 2019
  • 양양 죽도의 지형 형성과 경관안내판, 경관해설판에 드러난 의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죽도 경관의 올바른 인식과 경관자원탐색의 일환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죽도 자연경관의 특성을 정리하는 한편, 전래 문화경관에 대한 지명 고찰과 경물 비정(批正)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양 죽도는 푸른 대나무가 가득했기 때문에 이름 붙여진 섬으로, 최소 14세기 전반 이전부터 18세기 중반 이전까지 주변에는 바다와 죽도를 관망하기 위한 관란정이 존재했다. 원래 섬이었던 죽도가 모래의 퇴식작용에 의해 육계도로 연륙화된 시기는 대략 19세기 후반 이후로 추정된다. 죽도에는 오랜 시간 풍화로 형성된 다채로운 풍화지형과 해안지형 그리고 구조지형이 발견된다. 그중 풍화혈의 일종인 타포니와 나마 지형경관은 죽도에 전래되는 전설과 시문의 핵심적 이야기와 관련된 경관요체이다. 죽도에는 총 7개소의 바위글씨가 존재하는데 해안에서 발견되는 방선암, 농구암, 청허대, 연사대 등은 신선 풍류와 은자(隱者)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경물로 보인다. '정씨세적(鄭氏世蹟)'이란 바위글씨를 통해 볼 때 죽도의 주된 경관 향유자는 18C 중반의 초계정씨(草溪鄭氏) 가문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관찬지리지나 시문으로 볼 때 죽도는 '죽도선구(竹島仙臼)', '죽도 돌구유', 또는 '신선절구' 등을 주요 모티브로 한 선교적(仙敎的) 색채가 짙게 전승됐다. 이 '신선의 돌절구'라 알려져 온 경물은 형태나 크기 그리고 기능으로 유추해 볼 때 나마 지형의 선녀탕이 아닌 별도 공간에 형성된 포트홀인 것으로 확증된다. 따라서 근대 명명된 선녀탕은 흥미 본의의 터무니없는 '이름붙이기'의 산물로 보인다. 현재의 경관 안내와 해설 내용은 죽도의 장소성과 부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전승되어 온 문화경관과 일치되지 않는다. 향후 경관안내판과 해설판 등 관련 경관정보는 양양 죽도의 경관정체성을 제고하기 위해 신선 관련 스토리 및 모티브를 적극 부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담초 『화서』의 이론 체계에 관한 연구 - 도, 허, 형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Huashu -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with Tao, Empty, Variation -)

  • 이승모
    • 철학연구
    • /
    • 제137권
    • /
    • pp.357-381
    • /
    • 2016
  • ${\ll}$화서${\gg}$는 당 말기의 도사 담초가 쓴 도교경전이다. 이 책은 그리 두껍지 않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내용 또한 심오하다. 이처럼 복잡하고 심오한 책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알아야할 핵심 용어가 있다. ${\ll}$화서${\gg}$는 일정한 논리적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체계는 특정한 용어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ll}$화서${\gg}$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먼저 ${\ll}$화서${\gg}$에 나오는 핵심용어의 의미와 이론체계를 이해해야 한다. ${\ll}$화서${\gg}$에 나오는 용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도(道)' '허(虛)' '형(形)' '화(化)이다. 담초는 이러한 용어의 관계를 통해 한편으로 '자연' '인간' '사회'의 변화를 이야기하며,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체적인 인간의 모습을 상상한다. 담초에 의하면 '자연' '인간' '사회'는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는 과정을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러나 인간은 이러한 변화를 바꿀 수도 있고 이끌어갈 수도 있다. 만약 사람이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겪는다면 이러한 과정에 역행하면 죽음을 미룰 수도 있고 초월할 수도 있다. 만약 사회가 생성에서 쇠락에 이르는 과정을 겪는다면 이러한 과정을 거스르면 쇠락을 늦출 수도 있고 오랫동안 안정된 사회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담초가 ${\ll}$화서${\gg}$에서 보여주는 것은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의 모습이며,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주제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이러한 신념은 나의 삶을 스스로 이끌어갈 수 있다는 신념이며, 사회의 변화에 참여해 능동적으로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다는 신념이다. "나의 운명은 나에게 달려있는 것이지 하늘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도교에서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타율적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존재이다. 담초는 이러한 도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운명을 결정하는 주체는 하늘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지적한다.

從《東医宝監》的編撰特点探討許浚的學術思想 (To discuss the Academic Thoughts of Xujun based on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 of Dong-Eui-Bo-Gam)

  • 왕영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46
    • /
    • 2010
  • Dong-Eui-Bo-Gam is a general medical literature, writing by Korea physician Xujun, who makes reference of Chinese medical literatures, Taoist literatures, historical records, Confucian literatures and so forth prior Ming Dynasty. It coveres many fields, such as medical theory, etiology, pulse theory, herb, prescription, internal medicine, surgery, gynecology, pediatrics, acupuncture, regimen, YunQi and so forth. Dong-Eui-Bo-Gam combines medical science and many others, using clustering arrangements, fully reflects Xujun's academic thoughts, and his rich clinical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