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oist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편작심서(扁鵲心書).권상(卷上)"에 나타난 뜸법에 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ethod and the theory of moxibustion in "BianQueXinShu(扁鵲心書) (vol. I)")

  • 김현동;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5-193
    • /
    • 2007
  • A theory of the school which attach great importance to moxibustion therapy was more developed from 'Ge Hong(葛洪)', 'Wang Tao(王燾)' up to "BianQueXinShu(扁鵲心書)" of 'Dou Cai(竇材)' in Song Dynasty. The first volume of "BianQueXinShu" was described about the principles of health preserving method, diagnosis, treatment related with meridian system, support Yang theory, moxibustion therapy over the 10 chapters and in the continued 3 chapters, explained the symptoms and related moxibustion therapies. The summary is as follows. The Yang energy is the essence of the human body and it is minutely explained in "Hwangdineijing(黃帝內經)". However, the younger scholars after 'Zhang Zhongjing(張仲景)' held different views with "Hwangdineijing" so they didn't control serious diseases. Supporting the Yang energy, it will be possible to human body in good health and long life and perennial youth and longevity. To do like this, the first important thing is a moxibustion, the second is a Taoist hermit medication(丹藥) and the third is well usage of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Yang energy deficiency, the stages of diseases are classified as Ordinary Gi(平氣), Latter deficient state(微虛), The more deficient state(甚虛), Exhausting state(將脫), Exhausted state(已脫) and in the consideration of each stage, it is used gradually with warm-natured berbs, warm-acrid herbs, warm-heated herbs and moxibustion therapy. If it comes to the stage of Exhausted state, the Yang energy is too weak to treat a disease. Therefore it is easy to harm human body with usage the treatment of the Purgationist school theory or the Cold and cool medical school theory, so it is needed a great attention to use these therapies. To summarized the keynote of 'Du Jae''s moxibustion therapy, the one is a minority of selection of points(1$^{\sim}$2 acupuncture points), the second is a majority of moxibustion units(50$^{\sim}$500 units), and the other is a focused selection of points on spleen and kidney(especially Gwanwon, CC4). And in this book, it was explained concretely about the size of moxibus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 with mentioned size, the burning time of moxibustion was almost 4 min 40 sec, so the big size moxibustion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moxibustion therapy revealed in this book. Also it was used 'Suseongsan(睡聖散)' - a kind of analgesic herb complexes - to reduce a pain during the usage of moxibustion therapy in this book. To develop the moxibustion theory, it is more investigated in the future that there wasn't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Gwanwon(CC4) and spleen and kidney meridian in theory, compared to many used Gwanwon(CC4) in the prescription, where a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spleen and kidney in treatment, that considering the burning time(1 unit - 4 min 40 sec, 12 units an hour, maximum 288 units a day) there were no guidances about meals, sleeping, stool and urine, and that there was no concrete study about the toxicity of 'Suseongsan' as analgesic moxibustion therapy.

  • PDF

인체미 인식과 복식형태의 변천 - 선사~청대까지 중국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orm of costume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beauty of the body -from prehistorical period to Ch'ing Dynasty in Chinese female costume-)

  • 김민지
    • 복식
    • /
    • 제32권
    • /
    • pp.225-242
    • /
    • 1997
  • This study is histor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the Form of costume and the recognition of the beauty of the body from prehistorical period to Ch'ing Dynasty in Chinese female costume. In figure painting a significant point was to describe the spirit of the figure so Chinese painters were less interested in ideal body pro-portion or body shape than Westerns. But idealized beauty of the female body existed and changed keeping abreast with the form of costume in each period. In the prehistorical period Wemen fasten waist belt so enabled to distinguish upper part of the body from lower one. "Locust-forehead moth-eyebrows(蝗首蛾毛)" recorded in "the Book of odes(詩經)" was the canon of beaty and Wemen tried to make their forehead broad and square from Zhou Dynasty to the Wei Jin periods. From the age of Civil War to han Dynasty Slender waist was loved so waist was tightly fastened and hemline became broader. in the course of that time Plump body in big cloth with broad sleeve emerged but that was less significant than Tang Dynasty. During Wei Jin and the Southern/Northern Dynasty undergo disruption and division they admired Taoist images. Loose fitting style with handkerchief hemline and broad sash belt was prevailed while miserable life was reflected gaunt face and lean body. Suk Dynasty also preferred a slim and long body silhouette. The style was presented extremely high waist line long and narrow sleeve slim and long skirt which expressed dynamic and straight image. The culture of Tang Dynasty was open and diverse and that character enabled blod decolletate revealing body line by tight fitting and special make-up-Social background of uion and stabilization made female body extremely plump full face. full breast and hips with most erotic image. The period of Kaiyuan Tianbao fashioned mannish disguise presented androgynous image. Five Dynasty and Song Dynasty restored standard body type so upper garments concealed neck and bust high waist line lowered which represented refined and simple outfit. But another eroticism emerged as foot-binding in Song Dynasty. For the sake of covering up deformed top of the feet and ankle gaiters and arrow shaped shoes were devised. During Ming Ch'ing Dynasties body shape became more slim weak and young causing to escort instinct that reflects 'Lust' or 'Mundanity'.

  • PDF

바위글씨와 팔경으로 추적한 만수탄(萬水灘) 종호(鍾湖)의 경관 향유자와 풍류상 (A Landscape Possessor and Enjoyment of Jongho on the Mansutan River Traced by Stone Inscription and 'Jongho Eight Views')

  • 노재현;김화옥;박율진;김홍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3-66
    • /
    • 2020
  •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순창 구미리 남원양씨 종택과 만수탄 종호(鍾湖)에 펼쳐진 초로 양운거의 정원 향유 양상을 추적하기 위하여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호의 경관 향유자는 남원양씨(南原楊氏)인 초로 양운거와 종호팔경의 작자이기도 한 진주하씨 양진당 하만리를 비롯한 6인의 노선(老仙)으로, 이들은 양운거의 친우이거나 사돈 또는 외숙으로서 매우 긴밀한 관계였다. 투구모양의 돌섬과 소(沼)를 중심으로 생성된 종호정과 육로암 그리고 인근 탁영정 등은 종호에서 최대 약 2㎞ 떨어진 종택을 본제로 삼아 행해졌던 풍류 행위 거점이자 임천원림(林泉園林)이라 할만하다. 종호팔경은 종호암과 육로암 그리고 탁영정을 시점으로 하는 정자팔경과 구미리 남원양씨 영토를 대상으로 한 읍치팔경의 성격이 함께 공유하는 특성이 발견된다. 만수탄 일원에서 확인된 바위글씨는 총 9점으로 만수탄에서 행해졌던 시율(詩律)·낚시·탄금 풍류와 함께 특히, 술 풍류가 행해졌던 현장임을 여실히 알려줄 뿐 아니라 종호팔경의 경관내용이나 경관구조와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종호팔경과 그곳에서의 풍류 행위 그리고 주변 바위글씨는 만수탄 종호의 옛 풍경을 상기하거나 연출하기 위한 매우 시사적이고 유효한 문화경관이자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정원 향유사례'로 현대적 전통조경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1950년에서 2016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기공관련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n Gigong in Korea from 1950 to 2016)

  • 이재흥;백지유;조민군;정재훈;이은미;안훈모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2-112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ends of "Gi-Gong" related studies from 1950 to 2016 and to help guide the research direction of Gigong study. Methods : The computerized Korean database was searched from 1950 to 2016. The search terms used were only Korean language terms such as '기, '기공', '도인', '명상', '생체에너지', '수련', '양생'. Results : 1. A total of 310,184 (155,565(1950~2007) + 13,705(2016) + 140,914(2008~2016)) studies were searched in this study. A total of 6,240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s Gigong related studies. 2.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Main Subject Categories(KCI;Korea Citation Index), the 'Humanities' was the largest with 2,686 studies and the 'Marine Agriculture, Fishery' was the least with 10 studies. 3.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Middle Subject Categories(KCI;Korea Citation Index), the 'Philosophy' was the largest with 1,014(16.26%) studies. 4. A result of the Gigong Categories showed that the 'Philosophy of Gi' was the highest with 2,151(33.82%) not including duplication. 5. As a result of Research Method,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Analysis Research' with 4,199(67.33%) studies. 6. In the author search, 'Kim Nak Pil' was searched 112 times and was the most.. 7.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relevant studies with Gigong was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189), and the university that ha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Gigong was 'Wonkwang University'(212). Conclusions : 1. The number of Gigong related studies had increased rapidly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and reached to a peak in 2007 and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08. 2. The three major academic fields of Gigong related studies are Thought Field, Korean Medicine Field, and Kinesic Field. 3. In the Gigong related studies, the best authority is 'Kim Nak-pil' and the most active academy is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4. Although most categories of Gigong have been generally studied evenly, studies on External Gi Therapy and Taoist Sexual Practices are very insufficient.

옥죽차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omon's Seal Tea Package Design)

  • 김미자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97-106
    • /
    • 2004
  • 신선초로 불려지는 옥죽은 향미와 약효가 뛰어난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많은 한약서이 기록에서도 그 효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다른 차와 달리 다양한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옥죽차는 한방에서는 각종 허약증상에 자양 및 강장 효과 등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도가에서 성인들이나 불가의 스님들이 즐겼으며, 원효 스님이 구증구포한 옥죽차를 마시고 수도했다는 일화도 알려져 있다. 이처럼 옥죽차의 우수한 효능과 전통식품으로서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인식과 상품의 패키지 디자인 수준은 매우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전통차로서의 옥죽차나 구증구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상품 개발 또한 미흡한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국제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전통식품의 활성화는 측면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차이면서 지역 특산물인 옥죽차의 패키지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으며, 옥죽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외 제품들의 패키지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분석 결과에서는 저가의 둥굴레차를 중심으로 대부분 차별화되지 않는 패키지 구조와 재질, 유사한 그래픽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급의 상품과 패키지에서 벗어나 고급화된 상품의 생산과 이에 적합한 현재적이고 기능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태권도(跆拳道)에 대한 기공학적(氣功學的) 접근(接近)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Gi-gong and Taekwondo)

  • 이명찬;사희수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5-61
    • /
    • 2008
  • The Taekwondo is the martial arts where possibility thousand Ul of history and the ancestor is put in with specific martial arts of our nation. Also it practiced with the self defense martial arts which rules over the body and a mind and it came, the country from crisis of imminent danger won a victory with the good state affair alcoholic beverage and it was come. The ancestors condition anger the Taekwondo where the soul is put in were born again with martial arts of the world and they became and the world-wide conference was adopted with the Olympic formal item which becomes the historian of of course sports and became the martial arts in the world-wide center. In like this features martial arts even from each country condition anger and the sports raises the phase of the country is racing with of course martial arts. Specially from China it makes the right shoe which is a Chinese martial arts with condition item and sports anger the features of the martial arts origination to do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the features which in the succession nose sleeping martial arts perforation defends it concentrates. The martial arts perforation character is letting in religion and philosophy thought of the Orient. Confucianism and Buddhism, it puts in the teaching of friendship thoughts and heaven and earth positive and negative principles, five lines and eight divination signs. Features of like this perforation our ancestors the positive and negative principles where the philosophy of the Orient is put in, there is a possibility of searching from life and the Taekwondo which it does with at five events together. With history of the ancestor it breathes together and all Taekwondo operation every one by one it puts in the thought of our ancestors as well. The some branch it tried to listen to the representative example which the feather holds hereupon in basic operation, the Taoist garment, the belt and width tax of Taekwondo. The flesh which is healthy in the spirit which is healthy holds the feather. Taekwondo Oh! as the true feelings one martial art which accomplishes the artificial flower of the dynamic thing and the static thing at end with the perforation essentially it is deep it will be able to confirm repeatedly fire tube characteristic.

  • PDF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 조명된 상징성과 형태적 구현 (Symbolism and Formal Embodiment Lighted in Seokgasan of Seong-im in the Early Joseon)

  • 윤영조;윤영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9-169
    • /
    • 2012
  • 석가산(石假山)은 고려시대 창안되어 조선시대로 전승, 발달된 한국전통기법으로 산수자연의 풍치를 축경적으로 재현한 한국의 창조적 석정문화(石庭文化)이다. 이 연구는 조선 초 문신인 성임(成任, 1421-1484)의 한양 인왕산 저택에 조영한 석가산을 대상으로 관련 옛 문헌을 근거로 하여 성임이 조영한 석가산의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 그리고 형상과 구조를 구현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임의 석가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구명할 수 있었다.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은 고려 중기 만월대 본궐 뜰에 처음 조성한 지변형(池邊形) 석가산의 구조적 형태를 계승하고 있고, 석가산이란 명칭도 성임의 저택 원림에서 처음 '석가산'이라고 명명되고 있다. 그리고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는 신선사상 등 여러 철리적(哲理的) 함의(含意)가 고려시대보다 더 응축되어 상상의 공간으로 표상되고 있으며, 중국의 여러 명산명호의 모사가 고려조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고려시대 보이지 않던 석가산 조영목적에 정서적인 안정과 치유를 위한 실용성이 나타나고 있다. 성임의 석가산은 고려시대 석가산의 계승적 차원의 역사적 의미와 형상과 구조적 틀을 확인 해 볼 수 있는 조경사적 가치가 높은 기록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무소 소세키(夢窓疎石)가 작정한 정원에 나타난 사상 (Ideological Background the Garden of Mus$\bar{o}$ Soseki)

  • 최미영;홍광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3-128
    • /
    • 2013
  • 본 연구는 무소 소세키의 작품을 통해서 그의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고 있는 무소 소세키의 작품을 고찰하고 그 작품 이루고 있는 그의 생각이나 의도를 조경학적으로, 종교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라고 생각하는 죠고지, 에이호지, 즈이센지, 텐류지 사찰을 대상으로 무소 소세키가 작정한 정원속의 사상적 배경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대상지들의 선정기준은 깨달음의 수행을 시작한 곳에서 그 생각이 작품으로 승화되기까지 대활약을 한 장소로서 큰 의의를 가진다. 우리가 무소 작품에 집중하고 생각해야 할 것은 그의 작품을 보면서 감동하고 느낀다는 것이다. 연구결과 무소 소세키는 불교의 선사상을 기본으로, 본인이 터득한 다양한 사상과 철학을 정원에 공간구성으로 상징화하고 일본의 정원 속에 선사상의 뿌리를 확고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비적인 정원미를 이루었다. 그의 중심적인 사상이 농축되어 있는 저술서 "몽중문답(夢中問答)"을 통해 그의 작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소의 작품을 통해 작품 속에 심어진 사상적 배경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무소의 작품은 기본사상은 세 가지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첫 번째 사상은 선사상으로 정원에는 좌선석과 동굴, 참도 등 구성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두 번째 사상은 상구보제(上求普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의 자비심, 용문폭 석조에 석교(石橋)을 통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교사상이 나타나는데, 도교사상은 무소의 공간적 배경이 되고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난 양생관(養生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preservation of health in the ${\ulcorner}$Dongyi Bogam${\lrcorner}$ and ${\ulcorner}$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gyun${\lrcorner}$)

  • 이수경;이의주;고병희;송일병;정용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34
    • /
    • 2002
  • To understand characteristic of preservation of health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 first study preservation of health In ${\ulcorner}$Dongyi Bogam${\lrcorner}$, and then study preservation of health in the ${\ulcorner}$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gyun${\lrcorner}$ particularly Inherent vitality(命脈實數) and Regimen in ordinary life(生息充補之道) which shows early thought of Lee Je-ma. I acquire 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ulcorner}$Dongyi Bogam${\lrcorner}$ and 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gyun${\lrcorner}$, and conclude as follows. 1. In preservation of health ${\ulcorner}$Dongyi Bogam${\lrcorner}$ says Ups and downs of Qi according to degree, tells congenital health and acquired care of health, grades Jin-In, Ji-In, Seong-In, Hyeon-In according to degree of moral culture, and especially emphasizes managing mind which is based on Taoism. 2. In ${\ulcorner}$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gyun${\lrcorner}$ Dongmu divides human being to Sasangin(Taeyangin, Taeumin, Soyangin, Soeumin) according to Large & small of viscera, and regards as determine lift span and rendition of disease & health according to Inherent vitality which is degree of Small viscera. 3. Inherent vitality of Sasangin is supplemented by Regimen in ordinary life. Because Regimen in ordinary life decreases according to age, Dongmu emphasizes managing mind through an autonomic Knowledge Deed to maintain Regimen in ordinary life. 4. In the way of managing mind ${\ulcorner}$Dongyi Bogam${\lrcorner}$ says Taoist moral culture, but Dongmu emphasized control of knowledge and Deed by Confucian moral culture and the mind of control others through confucian self-control.

  • PDF

연경당 진작(演慶堂進爵)의 관극 체험과 무대미학 (The Significance of Audience's Reception and the Imagination on Transcendental World in Yungyungdang Jinjak(演慶堂進爵))

  • 사진실
    • 공연문화연구
    • /
    • 제18호
    • /
    • pp.379-412
    • /
    • 2009
  • 이 연구는 순조28년(1828) 순원왕후(純元王后)의 40세 탄신일을 경축하여 거행된 연경당 진작(演慶堂進爵)을 중심으로 관객의 관극 체험을 논의하고 무대미학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배경은 공연물로서 연경당 진작의 복원과 무대양식화를 위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는 데 있다. 논의는 연경당의 공간 배치에 따른 관객의 위치와 시선을 점검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연경당 진작의 관객 가운데 임금이나 왕비, 왕세자는 의례의 주체로서 무대 위 작품에 편입되거나 능동적으로 작품을 이끌어가는 특별한 관객에 해당한다. 이들 관객의 위상을 통하여, 엄숙한 의례나 제의의 진정성을 온전하게 수용하면서 공연예술의 감흥과 신명을 향유할 수 있는 관객의 존재 방식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재 작품의 창작 동기와 연출 방식을 중심으로 관객에게 주어진 상상과 체험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정재 창작을 주도한 효명세자는 장생불사의 신화를 무대 위의 장경(場景)으로 꾸며내는 한편, 중국 역대 임금의 연악(宴樂)을 전거로 삼아 재창조한 장면을 무대 위의 장경으로 형상화하였다. 정재에 구현된 신화 세계의 이미지가 공간적 초월계에 대한 상상과 체험을 가능하게 했다면 실존했던 과거의 이미지는 시간적 초월계에 대한 상상과 체험을 가능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품에 구현된 극중공간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신화와 역사를 재현함으로써 열리게 된 극중공간은 관객을 향하여 확장되거나 현실 속의 일상공간과 중첩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장생불사의 신화를 바탕으로 마련된 극중공간은 어좌와 보좌까지 확장되어 임금과 왕비가 신선을 만나는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역대 임금의 연악(宴樂)을 전거로 마련된 극중공간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역사적 풍류 공간이 현실 속의 연경당에 반복되는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시공간적 초월계를 '지금 여기'에 중첩함으로써 '상상의 추억'이라는 미학에 도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