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ilored Residential Spac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3차원 지적정보 기반 맞춤형 주거 공간정보 서비스 모델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vice Model for Tailored Residential Space based on 3D Cadastral Information)

  • 배상근;신윤호;이성규;주용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49-57
    • /
    • 2015
  • 공간정보의 연계 개방 융합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민간 사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생산적인 생태계 마련이 필요하다. 경제 성장에 따라 삶의 질 및 복지에 대한 요구가 상승하고 이에 따른 건강, 안전, 복지, 생활 불편 개선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민밀착형 맞춤공간정보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지적정보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맞춤형 주거 공간정보 검색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지적 정보 데이터 모델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지적 등록 객체를 도출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정립하고, 3차원 지적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지적 등록 객체의 속성과 관계를 정의하였다. 서울시 송파구 잠실역 주변을 연구 지역으로 지상의 주거용 및 주상복합 건축물과 연계하여 입체적 권리공간분석을 위한 맞춤형 주거 공간정보 검색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차원 지적정보를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국민밀착형 공간정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정보 활용의 폭을 높이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옥의 공간을 적용한 노인복지시설 유니트케어의 평면 유형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Unit-Care Typ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a Traditional Korean House)

  • 남윤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13
    • /
    • 2012
  • After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implementation (July 1, 2008), the elderly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covered by medical insurance continuously increases 30 to 63% sanction annually. Rapid growth of senior citizen welfare facilities arises in a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issues. In most cases, it is the legal minimum criteria tailored for 4 persons accommodated in nature, such as the hospital. Therefore, 'Hometown-style traditional Korean House' is needed to rest comfortable for elderly people. Research goal is to provide direction and design materials by developing a type of architectural planning f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unit care of the atmosphere of a traditional Korean House. The following two elements are applied to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Senior citizen welfare facilities in the main living space are applied to modern residential space of the elderly-friendly atmosphere of a traditional Korean House. It is applied for the Korean lifestyle and residential culture are through an analysis of Japan's leading development unit care system.

현대한옥 단위세대와 집합주거 모델개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of Unit Plan and Cluster Housing, Modern Hanok)

  • 손승광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21-132
    • /
    • 2011
  • Hanok with a long tradition in our country, but a significant period of modernization in the process of being cut off did not have continuity. Many of Hanok aging, according to the rapid residential development and life-changing was the subject of a complaint. Conversely, the benefits of Hanok was given to the advantages that compare to a monotonous mass housing of apartments. Despite these changes and the potential of these social needs and demands Hanok quickly did not respond: First, for the life of contemporary and traditional Hanok with a form of gap is a matter of space and style. Economy and lifestyle $20,000 for the era of Hanok was to develop a model for spatial configurations. Second, Hanok in a low density, is evaluated to aging, because increasing the economic utilization of land and tailored to their needs as a Hanok housing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model, but this did not present a layered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modern residential Hanok persistence of this set to have 1)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modern urban life Hanok living space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degree of each other, to find sustainable elements, and 2) these demands the modern residential area type, combined with a set of Hanok 3) Korea Hanok 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set is created to residential housing types is to develop a basic research.

농촌 자녀양육 가구의 주거공간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f Rural Residential Space for Child-rearing Households)

  • 이연숙;김진구;허혜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21-31
    • /
    • 2016
  • In recent rural areas, unlike the past, the young population is increasing with the growth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he quality of life-focused trend. Therefore, the rural areas need to more actively respond to the housing demands of the young genera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housing conditions of the households with children and identify any problems. The study targeted 16 families with children in Deokpo-ri, Yeongwol-gun, Gangwon Provi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on-site case study, specifically face-to-face in-depth interview and on-site monitoring using the checklist by residential spac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discovered issues include the storage size and safety issues in the movement space, failure to provide the spac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nd the insufficient size and storage space in the living space and the size and safety issues in the sanitary space. Overall, it was identified that small and insufficient storage space in the house pointed out as the main issue in this research was getting the residents' life more uncomfortable and unreasonable, and the activities of the children made their parents do unnecessary behaviors and stressed out during the process of childre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ace arrangement considering the organizing system, caring system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during the process of child-rearing.

QFD를 적용한 아파트 거주후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E on Apartment with QFD Application)

  • 서경화;박영원;심우갑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1-169
    • /
    • 2001
  • Recently, the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is emphasized much more than ever. This is caused by various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 Those users, i.e. the occupants, seemed very sensitive to any changes of their environment. Therefore many producers (construction companies) need to be concentrated on the occupant's needs, and try to apply those needs to their design of products(apartments).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categorization methodology with QFD application. Therefore QFD performed to produce much tailored occupant's needs as a transformation of technically processed value. For this purpose, categories were experimented for a pilot project of POE. As a result, it showed a possibility and need of accuracy and maturity for the design of POE in its categorization.

  • PDF

고령자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의 Smart Aging 시스템의 연구 (A Study on Smart Aging System for the Elderly based on Metaverse)

  • 조면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61-268
    • /
    • 2022
  • 최근 급격한 고령화, 핵가족화 현상에 따라 외로움과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독거노인 인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고령자에게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따라 IT의 도움으로 최적의 고령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smart aging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의학의 발달로 건강한 노년층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 속에서 활동적으로 생활하고자 하는 고령자뿐 아니라, 시설에서의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에 대해서도 IoT, AI(인공지능) 기술 및 메타버스 환경을 십분 활용하여 선진적인 고령자 맞춤형 지원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시스템은 병원(요양) 시설 및 재택으로 외로움으로 고통 받는 고령자에게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맞추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 사회적 연결(social connection)을 제공하여 인간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 변화에 AI와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하고 주거환경과 건강상태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smart aging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지향적 노인복지정책의 새로운 길을 제시할 수 있다.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35
    • /
    • 2017
  •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