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ebaek area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초

일부 석탄광산 기중 부유분진의 입경 분포와 호흡성 분진 비율 (Size Distributions and Respirable Mass Fractions of Airborne Coal Dust in Underground Coal Mines)

  • 윤영노;김영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2-67
    • /
    • 1991
  • 석탄광산에서 발생하는 갱내 부유분진의 입경분포와 부유분진 중에서 호흡성 분진이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태백, 화순, 점촌 지역의 일부 석탄광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굴진막상의 부유분진의 입경이 가장 작으며 대표입경이 ACGlH(1989)에서 정의한 호흡성 분진의 입경보다 작고 채탄막장의 입경은 호흡성 분진의 입경과 같으며 선탄장의 입경도 기관지 침착성 분진의 입경을 나타내고 있다. 2. 굴진부서의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분진 중에서 호흡성 분진이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부서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주목의 부위별 Taxol 함량 (Taxol Content in Various Parts of Yew Trees in Korea)

  • 변상요;강인선김공환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22-125
    • /
    • 1993
  • Taxol은 최근 항암제로 각광을 받고 있는 물질로서 매우 복잡하고 고 기능성을 갖는 diterpene 알칼로이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덕유산, 소백산, 태백산 및 수원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주목나무들의 부위별 taxol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소백산에서 채취한 주목나무에서 가장 많은 taxol 양이 분석되었다. 부위별로는 껍질, 잔가지, 잎 순으로 taxol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Microfibril Angle Characteristics of Korean Pine Trees from Depending on Provinces

  • KIM, Ji-Yeol;KIM, Soo-Chul;KIM, Byung-R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69-576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fibril angle(MFA)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pine tree lumber quality among the three mountain areas surrounding the Taebaek Mountains in Korea - Yeongdong (Goseong-gun), Yeongseo (Hongcheon-gun) and Yeongnam (Bonghwa-gun). Pine trees of each mountain area were divided into earlywood and latewood in relation to heartwood part (1959 ~ 1961, 3 annual rings) and sapwood part (2002 ~ 2004, 3annual rings), and measured at tangential section. The microfibril ang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untain areas. In general, Goseong Mountain was found to have 37.35°, followed by Hongcheon Mountain 32.42° and Bonghwa Mountain 25.75°, in order. The sapwood part had larger angle than heartwood part; and earlywood, than latewood. Variation within a single annual ring tended to be smaller from earlywood toward latewood.

주생활방식(住生活方式) 변화(變化)에 따른 농촌주택(農村住宅)의 공간변용(空間變容)에 관한 연구(硏究) - 동해시 괴란·만우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Transformations of the Rural Hous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Housing Lifestyles - Focused on Koirandong & Manwoodong in Tonghae Province -)

  • 최장순;최찬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15-127
    • /
    • 1999
  • The rural houses in Tonghae have a different spatial structure from those of the other area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al circumstances between the Taebaek mountains and the East 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at grasping how the spatial transformations of the rural hous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housing lifestyles by the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are coped with and changed. This study consists of understanding the trend of change of the rural houses in Tonghae through the analysis of living elements and the spatial transformation and process of the rural houses in Tonghae since 50's on the basis of the use change, extension and renovation of residential space.

  • PDF

강원도 지역 가임기 여성의 분만서비스 접근성 분석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for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 최소영;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40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to the healthcare organizations (HCOs) providing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Methods: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spatial accessibility based on the travel time and road travel distance. Travel time and travel distance were measured between the location of HCOs and the centroid of the smallest administrative areas, eup, myeon, and dong in Gangwon-do. Korean Transport Database Center provided road network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base in 2015 and it was used to build the network dataset. Two types of network analysis, service area analysis and origin-destination (OD)-cost matrix analysis, applied to the created network dataset. Service area analysis defined all-accessible areas that are within a specified time, and OD-cost matrix analysis measured the least-cost paths from the HCOs to the centroids. The visualization of the number of the HCOs and the number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on the Ganwon-do map an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ArcGIS ver. 10.0 (ESRI, Redlands, CA, USA). Results: Twenty HCOs were providing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in 2016. Over 50% of the women in childbearing age were aged more than 35 years. Service area analysis found that 89.56% of Gangwon-do area took less than 60 minutes to reach any types of HCOs. For tertiary hospitals, about 74.37% of Gangwon-do area took more than 60 minutes. Except Wonju-si and Hoengseong-gun, other regions took more than 60 minutes to reach the tertiary hospital. Especially, Goseong-gun, Donghae-si, Samcheok-si, Sokcho-si, Yanggu-gun, Cheorwon-gun, and Taebaek-si took more than 100 minutes to the tertiary hospital.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the accessibility toward the tertiary hospital was limited and it may cause problems in high-risk delivery patients such as over 35 years.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handle the obstetric accessibility issues in Gangwon-do.

용암대지의 형성에 의한 하천 하각률의 변화 (Change of Stream Incision Rate by Formation of Lava Plateau)

  • 이광률;이민부;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5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reveal incision rate and its change by formation of lava plateau in the Cheorwon-Jeongok area. Incision rates of 0.421 m/ka and 0.101 m/ka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Hantan-gang, respectively, were calculated from sites before formation of lava plateau. These incision rates indicate that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Hantan-gang have much higher and slightly lower incision rates than streams with similar distances from the Taebaek Mountains. However, sites after formation of lava plateau mostly showed incision rates ranging from 0.5 m/ka to 0.9 m/ka. Streams flowed on the lava plateau revealed 2-3 times higher incision rates than unrelated-streams or paleo-streams to formation of lava plateau d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ision rate in the study a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formation of lava plateau and resultant geomorphic avulsion with rearrangements of stream.

산지 차수에 근거한 남한지역의 산지 구분 (A Classification of Mountain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Mountain Ordering)

  • 김추홍;손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
    • /
    • 2010
  • 실험지역으로 선정된 거제도와 남해도에 대해 Yamada(1999)의 산치차수구분을 시도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산지차수구분을 남한 전 지역에 확대·적용하였다. 남한 지역의 최고 산지차수는 5차수였는데, 설악·태백산지, 지리·덕유산지, 영남알프스산지 모두 3곳으로 확인되었다. 4차수 산지는 10곳, 3차수 산지는 87곳에 나타난다. 5차수 산지는 대략 한반도의 융기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4차수와 3차수 산지의 분포는 2차산맥과 같은 북동-남서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하천차수법칙과 마찬가지로 차수별 산지 개수, 면적, 비고의 로그함수 값이 차수에 대해 선형관계를 이루고 있다. 차수별로 구분된 산지 중에서 기존의 산맥체계에서 고려하지 않은 산체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한반도의 지체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이해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국립공원 및 도립공원은 대부분 5, 4, 3차수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속리산국립공원이 남한 지역의 대표적인 두 산체인 지리·덕유산지와 설악·태백산지를 연결하는 생태축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산치차수구분법이 지니고 있는 지형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실용적 가치를 시사해준다.

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분지 진화 (Basin Evolution of the Taebaeksan Basin during the Early Paleozoic)

  • 권이균;권유진;여정민;이창윤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427-448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수행된 퇴적층서학 및 고생물학적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새롭게 분석된 자료를 보강하여, 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고환경과 고지리를 복원하였다. 또한 순차층서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조구조적 운동과 해수면 변동을 추적하여 종합적인 분지해석을 수행하였다. 태백산분지는 태백, 정선-평창, 영월-제천, 문경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암상 및 층서 특성에 따라 태백, 영월, 용탄, 평창, 문경 층군으로 구분되어 조사 및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태백산분지의 퇴적체는 탄산염암과 규산쇄설성 퇴적암이 혼합되어 있는데, 최근 쇄설성 퇴적물의 기원과 퇴적 연대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태백산분지에 공급되는 쇄설성 퇴적물의 근원지는 크게 곤드와나지괴와 한중지괴 기원지로 나누어진다. 태백산분지의 형성 초기에 태백대지와 정선-평창대지는 주로 한중지괴 기원지로부터 퇴적물을 공급 받았으며, 영월-제천 대지는 지리적 혹은 지형적 분리에 의해 한중지괴의 영향이 차단되고, 주로 곤드와나지괴 기원지로부터 퇴적층을 공급받았다. 쇄설성 저어콘 분석 결과는 중기 캠브리아 시기의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태백산분지 전체적으로 곤드와나지괴 기원의 퇴적물이 공급되었으며, 한중지괴 기원의 퇴적물은 공급이 멈추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태백산분지의 북쪽에 분포하는 정선-평창 대지의 퇴적체는 전기 캠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 지층사이에 부정합 관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중기-후기 캠브리아 시기에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효과를 상쇄할 규모의 지역적 융기 운동이 정선-평창 대지 인근에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융기운동은 최후기 캠브리아기와 최전기 오르도비스기에 태백산 분지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최전기 오르도비스기 이후에 태백산 분지는 조구조적으로 안정화되었고, 분지 전체적으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천해 탄산염 퇴적환경이 조성되어 두꺼운 탄산염암이 형성되었다. 전기 고생대 태백산분지의 퇴적작용은 후기 오르도비스기 동안 태백산분지와 한중지괴 전역에서 발생한 융기운동에 의해 종료되었다.

석탄폐광지에서의 식생기반재 처리별 수목 초기 생육상황 비교 (Comparison of Seedling Growth by Treatments of Vegetation Basis in an Abandoned Coal Mine Area)

  • 정용호;이임균;임주훈;서경원;이충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7-9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environmentally-friendly and low-cost mulching material that could replace soil molding which can be used to restore vegetation in an abandoned coal mine area. To this end, we established 20 experimental plots (4m ${\times}$ 10m in size) on the steep, south west-facing slope of the abandoned coal mine area in Hwangji-Dong, Taebaek City, Gangwon Province in April 2006. We planted two-year-old 1,600 seedlings (at intervals of 0.6m ${\times}$ 0.8m) of drought-resistant tree species including Betula schmidtii,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morpha fruticosa, and Quercus mongolica in the plots. After planting seedlings, mulching was applied by using five different kinds of material such as HWAP (Teracotem), peat moss, straw mats, wood chips, and control (no-mulchi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 on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performance were compared. Three years after planting,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in wood chip mulching, followed by straw-mat, peat moss, HWAP, and control.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in Quercus mongolica, followed by Betula schmidtii,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Amorpha fruticosa. Meanwhile the height growth was the best i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followed by Betula schmidtii, Quercus mongolica, and Amorpha fruticosa. The height growth of seedlings was the best in HWAP mulching, followed by peat moss, woody chips, straw mat, and control.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wood chips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mulching material. The results showed that mulching without soil molding and/or mixing applications would be effective for restoring vegetation in an abandoned coal mine areas.

교가(校歌)에 나타난 대구의 지형관 - 대구 초·중등학교를 사례로 - (View of Landform revealed in School Songs: Based o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83-96
    • /
    • 2012
  • 대구지역 초 중등학교(328개교) 교가에 등장하는 자연지명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설립년도가 오래 된 학교 교가에 많이 등장하는 자연지명은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등 대구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자연지명과 달구벌, 태백산, 서라벌 등과 같은 대구의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이다. 2. 교가 노랫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자연지명은 초등학교의 경우 팔공산, 금호강, 낙동강, 비슬산 순이었고, 중등학교의 경우는 팔공산, 낙동강, 금호강, 비슬산 순이다. 3. 서라벌, 태백산 지명이 비교적 많아 대구지역과 신라와의 관계, 풍수적 관점에서의 팔공산과 태백산 간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다. 4. 신개발지인 수성구, 달서구 일대에 분포하는 학교 교가에서는 전통적인 자연지명(대구지역 정체성과 관련한 자연지명 포함) 외에도 주변 자연지명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5. 달성군 내 학교의 교가에는 대구 대표적인 자연지명인 팔공산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달성군 지역민들은 팔공산 보다는 비슬산을 중심 산으로 인식하고 있다. 6. 대구 중심하천에 해당하는 신천의 경우 교가 노랫말에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어 특이하다. 7. 본 연구에서 파악된 자연지명은 대구지역의 중심생태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을뿐더러 각종 개발계획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생태공간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