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N-associated cholestasi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신생아의 TPN 요법 시 발생되는 Cholestasis 치료를 위한 Ursodeoxycholic Acid의 약물사용 평가 (Drug Evalu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Use for Treatment of Cholestasis Associated with TPN Therapy in Neonate)

  • 이정옥;송태범;이명구;임성실
    • 약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70-281
    • /
    • 2010
  • 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is necessary to neonat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for survival and growth because of impossible of enteral feeding. Long-term TPN can be associated with a broad spectrum of hepatobiliary disorder, ranging from mild hepatic dysfunction to severe end-stage liver disease. Cholestasis developed most commonly in neonate, ursodeoxycholic acid (UDCA) is widely used in adult with cholestatic and non-cholestatic liver diseases but there have been limited data on the effects in neonate with PNAC. This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to review all medical histories of the total 30 neonates with was administrated UDCA for treatment to parenteral nutrition associated cholestasis (PNAC)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NICU from April 2002 to December 2008. UDCA was administrated at bilirubin is over 2 mg/dl. The criterias for drug evaluation were included hepatic biochemical marker such as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ST, ALT, ALP and GGT, TPN therapy period, cholestasis development period, UDCA treatment period, UDCA dosage and adverse effect. In the results, Post-UDCA treatment significant was decreased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ST and ALP (p<0.05), and was decreased GGT (p>0.05) and slightly was increased ALT (p>0.05). Reffective timect biDCA was appear at mean $10.5{\pm}1.3$ days, iDCA administration period was mean $64.4{\pm}5.9$ days, cholestasis period was mean $71.9{\pm}6.4$ days and UDCA dosage was mean $22.9{\pm}0.9$ mg/kg/day. Common adverse effects is diarrhea, 5 patients arised mild diarrhea but it possible also related with increased enteral feeding. In conclusion, iDCA can decrease direct bilirubin that major parameter t bcholestasis and oher hepatic biochemical makers. UDCA is effective on PNAC without any serious side effect and cost-effective. Although no greatly shortening cholestasis period, but can protect to develop into severe liver disease and other complication or death. Based on these result, UDCA is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cholestasis at direct bilirubin is over 2 mg/dl.

미숙아에서의 전비경구적 영양 관련 담즙울체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 박경필;김세영;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17-23
    • /
    • 2003
  • 목 적 :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는 오랫동안 전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미숙아에게 있어 TPN을 오래 시행하는 경우 담즙 울체성 황달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나 그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가운데 발생한 TPN 관련 담즙울체(TPN associated cholestasis, TPNAC) 환아를 대상으로 발생빈도, 임상 경과와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2년 5월까지 2년 동안 경북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2주 이상 TPN을 시행 한 출생체중 2,000 gm 미만의 미숙아 66명 가운데 담즙 울체가 발생한 환아 21명을 대상으로 울체가 발생하지 않은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TPN 관련 담즙울체의 진단은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이고 간염이나 담도 폐쇄 등의 다른 울체의 원인이 배제된 경우로 하였다. 담즙 울체의 발생시기, 빈도, 지속기간, 임상경과,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는 대상 환아의 의무기록지를 검토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PNAC의 발생빈도는 31.8%였으며, 출생 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낮을수록, TPN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발생시기는 TPN 시작 후 평균 41.7일${\pm}$17.4일이었으며 지속기간은 평균 $33.6{\pm}23.4$일이었다. TPNAC 환아는 대조군보다 생후 3주째의 경구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나 TPNAC 환아와 대조군 사이에 감염이나 가사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TPNAC의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직접 빌리루빈은 4-6주에 증가하였으며 ALT(alanine aminotransferase, SGPT)는 생후 6-8주에 증가하였다. 결 론 : 본 조사에서 TPNAC는 출생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적은 미숙아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TPN 기간이 길수록 호발하 였다. TPNAC 환아들은 TPN 시행 중 병행한 경구 수유량이 생후 3주째 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따라서 고위험 환아들은 TPN 영양 중에도 경구 영양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경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TPNAC 발생을 경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소아 총정맥영양의 간담도계 합병증에 대한 Ursodeoxycholic acid의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 (Ursodeoxycholic Acid in the Prevention of Pediatric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 김지희;민명숙;인용원;손기호;최경업;최연호;백남선;이숙향;박태성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20
    • /
    • 2005
  • Cholestatic liver disease is a frequent complication of prolonged parenteral nutrition, especially in premature infants. Numerous factors have been cited as contributing to TPN associated cholestasis. However the exact etiology remains obscure. Ursodeoxycholic acid (UDCA) has been reported to be beneficial far children and adults with various chronic cholestatic liver disease. The aim of this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entive effects of UDCA administration during TPN. Seventeen pediatric patients (8 boys and 9 girls) undergoing TPN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UDCA and placebo group. UDCA group (n=9) received 15 mg/kg/day UDCA and placebo group (n=8) received 15 mg/kg/day placebo enterally during the TPN period. Liver function tests (total bilirub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were per-formed before TPN and weekly or three times a week. The patients' weights, complete blood count, composition of TPN, and the infusion rate of TPN and lipid were monitored everyday. Calcium and phosphate were monitored twice a week. Between the UDCA and placeb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eight at the onset of TPN, birth weight, duration of TP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ssociated with prematurity, age at the onset of TPN, gestational age, the number of days the patients received antibiotics,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ed enteral nutritions and the composition of TPN. In contra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DCA and placebo groups in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during TPN. It doesn't seem that UDCA administration during TPN correlates directly with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But the preventive administration of UDCA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liver enzym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has no adverse effects.

  • PDF

총정맥영양 연관 담즙정체증 (Comparis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according to amino acid mixture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진성;배윤진;이영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72-976
    • /
    • 2006
  • 목 적 :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에 영양을 미치는 인자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중 아미노산의 조성이 총정맥영양을 시행 받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담즙정체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의료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일주일이상 총정맥영양을 시행 받은 환아 6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의 연구 대상을 제1군으로, 2002년 7월부터 2004년 12월까지의 연구대상은 제1군과는 cysteine, tyrosine, taurine, glutamate 등의 성분이 차이가 있는 아미노산 제제를 사용하여 제2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군과 제2군의 임상적 특징과 총정맥영양에 의한 담즙정체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제1군(n=32)과 제2군(n=31)의 재태연령($29.7{\pm}2.7$주, $29.5{\pm}2.8$주), 출생체중($1,195.6{\pm}200.4g$, $1,177.0{\pm}224.0g$) 및 총정맥영양 시작시기($16.1{\pm}8.5$일, $14.8{\pm}7.7$일), 총정맥영양의 기간($25.7{\pm}13.5$일, $25.4{\pm}12.1$일), 제공된 아미노산의 양($1.45{\pm}0.49$g/kg/일, $1.65{\pm}0.89$ g/kg/일), 완전장관영양 도달시기($59.9{\pm}23.2$일, $61.0{\pm}18.0$ 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정맥영양과 관련된 담즙정체의 빈도는 제1군은 7례(21.9%), 제2군은 2례(6.5 %)로 제2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P=0.148). 두 군 간의 최고 직접 빌리루빈 수치($1.62{\pm}1.18mg/dL$, $1.04{\pm}1.05mg/dL$, P=0.046)와 평균 직접 빌리루빈 수치($0.78{\pm}0.46mg/dL$, $0.52{\pm}0.29mg/dL$, P=0.012)는 각각 제2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다. 결 론 : 총정맥영양을 시행 받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생기는 총정맥영양에 관련된 담즙정체를 비교한 결과, 아미노산 조성의 차이에 따라 담즙정체의 발생 빈도에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고, 직접 빌리루빈 수치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좀 더 많은 연구 대상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정맥영양 극소저체중출생아의 간담도 기능 이상 (Hepatobiliary Dysfun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Supported with Parenteral Nutrition)

  • 이윤희;빈중현;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97-204
    • /
    • 2009
  • 목 적 : 동일 병원에서 같은 기준에 의하여 정맥영양을 받는 미숙아들 중에도 간기능 검사 결과는 쓸개즙정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간효소의 수치만 오르고 쓸개즙정체의 증상이 없는 경우, 쓸개즙정체 및 간효소 수치의 이상이 없는 경우 등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저자들은 출생 직후부터 정맥영양을 받은 미숙아 및 극소저출생체중아들을 대상으로 간기능 검사 결과의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의대 부천 성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출생체중 1,500 gm 미만의 미숙아들 중 2주 이상 TPN을 시행한 9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정맥영양 시행 2주 이후부터 관찰기간 동안 시행된 대상아 각각의 간기능 검사 전체를 분석하였으며 검사 결과 혈청 직접빌리루빈(direct bilirubin, DB) 2 mg/dL 이상이 측정되었고 담도폐쇄나 쓸개즙정체를 초래할 다른 원인이 배제된 경우 쓸개즙정체 그룹으로,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 (ALT)가 각각 60 IU/L 이상으로 측정되었고 측정시기에 상기의 제외기준을 비롯하여 뚜렷한 간손상의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 간세포손상 그룹으로 하였다. DB 2 mg/dL 이상인 쓸개즙정체그룹을 I군, DB 2 mg/dL 미만이나 AST 및 ALT가 각각 60 IU/L 이상인 간효소치 이상군을 II군, 각각에 이상이 없었던 정상군을 III군으로 하였다. 각 대상아들의 출생체중, 재태주령, 분만방법, 당뇨병 및 전자간증 등의 산모질환,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계면활성제 사용, 장관영양 시작 시기, 정맥영양기간, 적혈구수혈 횟수, 패혈증, 괴사성장염, 만성호흡곤란증, 동맥관개존증 발생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아들 중 쓸개즙정체 그룹이 36명(39.1%), 간세포손상 그룹이 51명(55.4%) 이었으며, I군 36명(39.1%), II군 19명(20.7%), III군 37명(40.2%) 이었다. 쓸개즙정체그룹과 간세포손상 그룹 각각에 대한 T검정 및 교차분석 결과 재태일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정맥영양기간, 적혈구수혈 횟수, 계면활성제 사용, BPD 진단, PDA 진단 유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쓸개즙정체 그룹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재태주령, 계면활성제 사용, 패혈증, 적혈구수혈 횟수, 동맥관 개존증과의 관계가 유의했다(P<0.05). 결 론 : 정맥영양을 받고 있는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쓸개즙정체증에 대하여 정맥영양 이외에 출생체중, 재태주령,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계면활성제사용, 적혈구수혈 횟수, 만성호흡곤란증, 동맥관개존증 등 요인들에 대한 고민이 동반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