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미숙아에서의 전비경구적 영양 관련 담즙울체

  • Park, Kyung P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University) ;
  • Kim, Se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University) ;
  • Kim, Heng Mi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University)
  • 박경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세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행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9.24
  • Accepted : 2002.10.30
  • Published : 2003.01.15

Abstract

Purpose : Cholestasis is a major complication in prolonged use of TPN, especially in the neonatal period, but there are few long-term reviews examining the clinical course in premature infants. Thus, in this study, we reviewed premature infants with TPN-associated cholestasis(TPNAC) to determine the incidence, clinical courses and possible risk factors.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of 66 premature infants less than 2,000 gm of birth weight and on TPN for more than two weeks was performed. Cholestasis was defined as a serum direct bilirubin level greater than 2.0 mg/dL. The clinical course of cholestasis was described, and perinatal risk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 TPNAC developed in 21 out of 66 infants(31.8%). The onset was $41.7{\pm}17.4days$ after receiving TPN, and the mean duration was $33.6{\pm}23.4days$. The incidence of TPNA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nd duration of TPN. But, possible etiologic factors, such as incidence of perinatal asphyxia or infection,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infants with TPNAC and those without TPNAC(control). The enteral intake in the third postnatal week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infants with TPNAC than in the control infants(P=0.033). Conclusion : The enteral intake in the third postnatal week was smaller in the infants with TPNAC than in the control infants. Thus, the incidence of TPNAC may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ral intake during TPN in high risk infants.

목 적 :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는 오랫동안 전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미숙아에게 있어 TPN을 오래 시행하는 경우 담즙 울체성 황달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나 그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가운데 발생한 TPN 관련 담즙울체(TPN associated cholestasis, TPNAC) 환아를 대상으로 발생빈도, 임상 경과와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2년 5월까지 2년 동안 경북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2주 이상 TPN을 시행 한 출생체중 2,000 gm 미만의 미숙아 66명 가운데 담즙 울체가 발생한 환아 21명을 대상으로 울체가 발생하지 않은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TPN 관련 담즙울체의 진단은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이고 간염이나 담도 폐쇄 등의 다른 울체의 원인이 배제된 경우로 하였다. 담즙 울체의 발생시기, 빈도, 지속기간, 임상경과,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는 대상 환아의 의무기록지를 검토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PNAC의 발생빈도는 31.8%였으며, 출생 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낮을수록, TPN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발생시기는 TPN 시작 후 평균 41.7일${\pm}$17.4일이었으며 지속기간은 평균 $33.6{\pm}23.4$일이었다. TPNAC 환아는 대조군보다 생후 3주째의 경구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나 TPNAC 환아와 대조군 사이에 감염이나 가사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TPNAC의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직접 빌리루빈은 4-6주에 증가하였으며 ALT(alanine aminotransferase, SGPT)는 생후 6-8주에 증가하였다. 결 론 : 본 조사에서 TPNAC는 출생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적은 미숙아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TPN 기간이 길수록 호발하 였다. TPNAC 환아들은 TPN 시행 중 병행한 경구 수유량이 생후 3주째 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따라서 고위험 환아들은 TPN 영양 중에도 경구 영양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경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TPNAC 발생을 경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