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M 활동요인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TPM 활동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he TPM Activity Factor on Corporate's Performances)

  • 연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76-48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TPM의 이해정도가 TPM의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작용할 것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TPM 활동요인 모두는 TPM의 이해정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별개선활동과 자주보전활동은 TPM활동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보다는 TPM의 이해 정도에 따라 활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육훈련은 활용성과에 직, 간접으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업의 TPM활용성과가 기업의 TPM활동요인과 TPM에 대한 이해정도와 밀접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TPM활동요인들 간의 꾸준하며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이익 및 위험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것을 근거로 한 TPM의 이해정도는 기업의 TPM활용성과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이다.

TPM 프로그램의 활동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PM program Affecting the Productivity Increase)

  • 오연우;이기채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969-974
    • /
    • 2005
  • 기업의 경영혁신활동을 통해 경영성과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TPM프로그램의 도입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부문을 포함하여 전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TPM 프로그램의 활동요인들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이론적인 모형으로 제시하고, 활동요인들이 매개변수를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TPM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 300여 기업체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지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요인분석과 빈도분석은 SAS 8.2 version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LISREL 8.52 version을 사용하였다. TPM 프로그램의 활동요인들은 '자주보전', '개별개선', '계획보전', '교육 및 훈련'의 네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4개의 활동요인들 중에서 특히 개별개선과 교육 및 훈련이 설비효율과 조직 및 인적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설비효율과 조직 및 인적관리 중에서는 조직 및 인적관리가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PM프로그램의 활동을 통해서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종업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가장 중요하고 다음으로 개별개선활동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PM활동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PM Activiti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 이재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415-44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중소기업에 있어서 전사적 생산 설비 보전(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그 결과 개별개선, 자주보전활동을 통하여 경영관점, 고객관점, 성과관점, 그리고 활동관점 등 4가지 관점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획보전, 교육훈련, 안전환경활동은 고객관점, 성과관점, 그리고 활동관점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TPM을 도입한 기업이 전사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생산보전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TPM을 도입 추진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을 제시해 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4가지 관점에서의 성과측정을 통해 TPM 추진 기업에서의 성과측정지표 선정시 추진목적에 따라 어느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성과목표를 설정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할뿐만 아니라 향후 TPM 성과 관련 후속연구의 기본방향을 제시해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도출된 TPM 활동요인과 성과측정 지표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TPM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및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TPM활동요인의 효과에 대한 AHP분석 (AHP Analysis for the effect of TPM Activity factors)

  • 연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1-117
    • /
    • 2014
  • 일반적으로 TPM 전개프로그램은 추진단계가 정하여져 있다. 그러나 생산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TPM의 구체적인 추진요령이나 절차 등에 있어서 업종이나 생산방식, 설비의 종류와 상태,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업환경에 맞는 추진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TPM을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KSA가 제시하는 TPM활동별로 2단계로 세분화하여 각 단계별 활동 중에서 어떠한 활동들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는지를 AHP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TPM추진의 1단계 활동에 있어서는 개별개선을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그리고 전체 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현장불합리 개선 및 Loss 개선, 그 다음은 준비 및 5S 활동을 위한 기본조건 체계를 구축하는 활동, 초기 청소 등의 순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개발부문의 성과창출을 위한 TPM R&D(Research & Development)보전과 Lean DFSS 프로세스의 핵심요인 연계에 관한 연구;H사 TPM R&D를 중심으로

  • 양성연;이강군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32
    • /
    • 2007
  • 최적의 혁신기법이란 각사의 핵심역량을 명확히 한 후 꾸준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자사에 맞게 시스템(SYSTEM)을 변형해 나가는 과정에서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반도체 제조사인 H사는 지난 IMF 때 경영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최근 각 부문(제조, 연구개발, 영업 등)의 탁월한 경영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뒷받침하는 것은 경영혁신 활동이 일환으로 TPM을 2001년부터 꾸준하게 적용을 해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TPM은 제조중심의 활동이 대부분이나, H사는 R&D부문 경영혁신 활동에 TPM활동을 접목해 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H사의 R&D부문 TPM R&D보전의 10대 지주 활동과 연구개발 부문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Lean DFSS의 두 방법론에의 장 ${\cdot}$ 단점을 분석하여 좀 더 바람직한 방법론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제조 공장의 TPM 및 TQM과 생산 운영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PM TQM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industry)

  • 최연홍;김창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3-151
    • /
    • 2007
  • 공장의 생산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현재 많은 공장에서는 동시에 TPM & TQM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원가를 절감하고, 납기를 단축하며, 생산의 유연성을 확보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제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TPM 및 TQM과 생산 실행 요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제조업에서 생산력을 향상하고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을 얻는 것이다.

인천항 하역장비에 TPM 적용시 영향을 미치는 상황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xtual Factors Affect on the TPM Applica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s of Incheon Port)

  • 박상기;이창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47
    • /
    • 2007
  • 인천항 항만하역장비에 대한 현재의 장비보전활동상황을 점검하여 장비생산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비보전활동의 향상을 통하여 장비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의 하나로 TPM 기법의 적용을 제시하였다. 설문은 현재의 인천항 항만하역장비와 관련된 운영, 정비 및 운전자들을 선정 실시하였고, 내용은 장비보전활동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자주보전 계획보전활동, 개별개선활동, 교육 훈련활동, 장비관리활동, 조직 인적관리 활동 및 장비생산성으로 구성하였다. 장비생산성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만들어 컴퓨터패키지를 통하여 구조모형의 검증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결과에 의하면 장비생산성에 장비관리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조직 및 인적관리가 장비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천항의 장비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TPM 기법의 적용을 제안하며, TPM 실시시 장비관리활동의 강화와 조직 및 인적관리가 장비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TPM 활동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PM activity factors on Corporate performance)

  • 연경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1-15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TPM을 대한 주제로 작성된 논문 중 검증이 가능한 1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5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각 연구논문에서 제시한 t값을 투입하여 CMA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개 가설에 있어서 I-square 값이 모두 75%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이질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모든 연구의 모집단 효과크기는 같다는 귀무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질성의 원인은 분석에 사용된 개별연구의 응답자분포, 연구조건, 연구시기, 연구지역 등의 연구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효과크기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연구특성별로 구분할 수 있는 개별연구들의 요약 통계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별연구들에서는 효과차이를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요약통계량이 제시되지 않아서 이질성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수 없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국내 경영혁신 활동의 핵심 성공요인 문헌 연구 - 6시그마, TQM, 린 6시그마, ERP, TPM, BPR, Project Management, System Engineering 중심으로 - (Literature Review of Key Success Factors of Management Innovation Actions in Domestic - Focused on Six Sigma, TQM, Lean Six Sigma, ERP, TPM, BPR, Project Management, System Engineering -)

  • 문제옥;윤성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39-648
    • /
    • 2016
  • Purpose: Existing precedent studies include success factors of individual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constantly. However, those studies have limitations about the common key success factors of individual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Methods: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key success factors using literature research of the most typical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adopted and implemented by many companies in Korea, such as 6sigma, TQM, Lean 6sigma, ERP, TPM, BPR, Project Management, System Engineering. Factors emerging repeatedly was combined into common factors and inherent factors that are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individual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are designated to essential factors. Results: 'Essential factors for Six Sigma' consist of 5 items. Black belt operating system, personnel management system linkage, the correct management of the data, perform improvement projects associated with financial performance financial result, linked to financial performance improvement project, project progress management. 'Essential factors of TQM' are arranged 4 items. Quality team's independence and role, goal-setting, Quality Information System, corporate's philosophy of quality first. 'Essential factors of Lean Six Sigma' are the selection of value stream which is based on the customer needs and the value creation and identify the project based on the selected value in the company. 'Essential factors of ERP' are investigated 6 items. Ongoing system maintenance and upgrades, the measurement and support of user satisfaction, the operating systems and the policies for the maintenance, IT infrastructure, change adaption condition monitoring, focusing on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Essential factors for TPM' are arranged 4 items. Motivated and energetic Bottom-Up, CEO'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facility management, long-term perspective of necessity and ongoing patience. 'Essential factors for BPR' are the pursuit of change process and the staff's sense of crisis management. 'Essential factors for Project Management' are the strategy that reduce the risk management skills through risk management and the understanding and organized management for the project participant's needs. 'Essential factors for System Engineering' consist of 2 items. The first is the design for the best balanced system with pre-analysis about the compromise the cost, schedule and the performance. The second is the analysis of large problem into small problems which can solved. We have found the solution considering components of the interface through the systematic perspective. Conclusion: Common factors and essential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properly help to introduce the individual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for the each business sector and implement management innovation. After this study, new literature research that reflect new studies should accomplish steadily.

품질경쟁력 평가모형에서 제품 디자인의 인과관계와 디자인 경영에 관한 실증적 분석 : 한국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 임채숙;임양택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4년도 25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0-213
    • /
    • 2004
  •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경영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이제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즉, 제반 기능의 활동이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경영방식(즉, 제품 개발 $\rightarrow$ 제품 디자인 $\rightarrow$ 제조 $\rightarrow$ 마케팅 $\rightarrow$ 판매)과는 달리,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을 중심으로 제반 기능간의 통합과 조정을 이룬다. 이 결과, 디자인 경영은 조직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소비자의 추상적인 욕구가 구체적으로 상품에 표현되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은 기업 이미지 창조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과거 제품의 판매(sales)지향적이던 기업 활동을 소비자와의 관계(relationship)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목적은 제품 디자인을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포함시켜 품질경쟁력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 및 상관관계와 품질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제품 디자인 및 디자인 경영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 디자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 및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신상품의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제품 디자인이 연구개발, 제조, 마아케팅, 판매 등의 제반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며 이들 기능들의 통합과 조정을 추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디자인 경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연구목적과 분석목표를 위하여, 한국 제조업 부문의 400개 표본기업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품질경쟁력 지수를 도출하여 산업부문별 및 제품유형별로 비교하였으며, 품질함수를 추정하였다. 전술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경영이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품 디자인의 파급효과와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주요 제품들의 기능성, 기본 성능, 제품성과의 기술적 성취도, 제품 수명(내구성), 신뢰성, 핵심 기술력, 사용 편의성, 서비스 편의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