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B 이론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8초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종합병원 간호사의 출산의도 관련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Fertility Intention in General-hospital Nurs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한경미;정혜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9
    • /
    • 2010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fertility intention of nurse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are 674 nurses at the peak fertility age of 20-39 years old, who work in 4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 The mean score of subjects' fertility intention is 3.69 in 5-point scale. The fertility inten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ertility intention of the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as influenced by the TPB variables such as the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 Thus, a comprehensive approach strategy is needed considering these factors.

하이브리드 대학도서관 환경에서의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Users' Intention to Use in a Hybrid Environment of Academic Library)

  • 한지연;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29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와 학생 이용자가 전통적인 형태의 물리적 도서관과 온라인 정보이용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도서관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 의도 즉, 도서관 이용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 그룹이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서관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심리학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행동-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계획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한 통합모형을 제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인식과 이용의도를 물리적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으로 나누어 각각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미래 전략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으로 하여금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균형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지, 주목, 그리고 협력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점을 주지하고 있다.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실증적 연구 (Understanding the Use of Community Informatic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 권나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4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주민을 위한 정보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Ajzen의 계획적 행위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기본모형으로 선택하였는데, 이 이론은 (1) 지역정보 서비스 이용 결과에 대한 기대, (2) 주변 사람들의 권유, (3)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내외적 요인에 대한 자신의 통제 능력의 지각 등을 기본 골격으로 한다. 계획적 행위 이론은 일반적인 사회행동의 설명에 적용되어온 사회심리 이론이므로 필자는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의 행동적 특성을 연구 모형에 반영하기 위하여 두 이론 즉, 인터넷 등 매체 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널리 적용되어온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s)과 경영정보시스템 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용되어 온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을 추가적으로 검토했다. 417명의 지역정보망 시스템 이용자로 부터 수집된 실증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이용하여 제안된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모형을 검증한 후 향상된 수정 모형을 제안했다. 그 결과, 지역정보 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로 지역정보를 이용하고자하는 의도, 태도, 주관적 규범, 정보습득에 대한 기대,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 지역 연계에 대한 기대, 및 개인관련 규범 신념 등을 밝혀 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과제가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조직구성원들의 정보보안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호동기이론(PMT)과 계획된 행동이론(TPB) 통합을 중심으로 (Influence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Members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egr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 (TPM))

  • 정혜인;김성준
    • 시큐리티연구
    • /
    • 제56호
    • /
    • pp.145-163
    • /
    • 2018
  • 최근 조직 구성원의 보안행동은 기업 차원의 정보보안에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보유출 및 정보보안에 대한 연구는 보안 위협에 대한 개인행동이나 보안 기술을 사용하는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과 보호동기이론의 통합을 중심으로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기업에서 보안 경험이 있는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구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정보보안 사고에 대해서 내 외부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위험을 예방 및 대응하고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솔루션 도입해야하며, 정보시스템에 대한 취약점 점검과 보인 패치 등의 보안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행동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금연의도에 대한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타당성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실증적 분석 (Applicability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Smoking-Cessation Intention: An Empir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유혜라;이선혜;유태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9-61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o Korean adult smokers in order to obtain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ir smoking-cessation intention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ffective smoking-cessation interventions at the community clinic. Methods: The data came from a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adult male smokers who visited the smoking-cessation clinic at H community clinic in Korea from January to November in 2006 (N=434). Included in the survey were questions asking core variables and salient belief variables dictated by TPB.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using TPB and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theor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variables leading to intention. Results: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revealed that the study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suggesting the high validity of TPB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ata. Among the relationships in the model, negative behavioral beliefs were not significant(p>.05), and negative control beliefs and subjective norm were significant(p<.05) but not as highly as other variables in the model(p<.001). Conclusion: TPB was useful in understanding smoking-cessation intention of smokers who visited community clinic to stop smoking. More specific strategie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toward smoking-cessation intention, such as emphasizing health benefits of quitting smoking, and eliciting values and life principles that can help increase the intention to stop smoking.

TPB 이론을 적용한 치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실습실 안전교육 효과 평가 (Effect Assessment of Safety Education in Laboratorie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pplied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 박종희;이명선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31
    • /
    • 2008
  • 본 연구는 치기공과 학생들의 안전 행동 예측을 위하여 Ajzen(1988, 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이 안전 행동 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로 본 연구 결과 사고예방 교육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TPB 독립 변수인 안전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안전행동 의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동과 지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동에 있어서 사전, 사후 조사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실험군의 경우 11개이었고, 대조군은 2개로 나타났으며, 지식은 실험군의 경우 12개, 대조군은 4개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전 행동에는 태도,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보다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기공과 학생들을 위한 실습실 안전교육시 사용하는 재료나 도구에 대한 안전 수칙이나 안전행동 방법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교육이 1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더불어 태도나 규범, 행위통제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안전행동 방법에 대한 지식을 강화하고 생명의 존엄성과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안전행동을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소비자의 적극적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감정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Consumers Vigorous Complaining Behaviors in the Internet Web Site Explained By Integrat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Anger)

  • 조승호;조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0-229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 불만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적 반응 (Anger)이 소비자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이론 중에 하나인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결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삼성 핸드폰 애니콜 사용자들이 개설한 '소비자의 힘'이란 웹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감정적인 부분과 인지적인 요인들의 결합을 통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힘" 웹 사이트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위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감정적 반응인 분노와 계획행동이론의 변인들(주관적 규범, 태도, 행동의도, 행위)과 함께 불평행동 하나인 서명운동의 유무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품 서비스에 대한 감정적 반응(Anger)과 행동이론의 결합이 소비자 행동을 보다 잘 예측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불평행동의 적극적 참여 의도는 서명참여 유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난폭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Main Psychological Factors Contributing to Aggressive Driving)

  • 신용균;류준범;강수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9-98
    • /
    • 2007
  • 오늘날 난폭운전은 도로에서 흔히 마주칠 수 있는 운전행동일 뿐만 아니라 운전자나 보행자와 같은 도로 이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난폭운전과 관련된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가 없고 난폭운전에 대한 정의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난폭운전의 정의를 내리고 이러한 난폭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여러 심리사회적 변인들의 유의성을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85)과 Triandis(1977)가 제안한 '습관' 변인을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예비조사에서 국내운전자들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난폭운전을 조사한 결과, 난폭운전은 과속운전, 신호위반 운전 및 끼어들기 운전 등의 순으로 보고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대표적인 난폭운전의 세 가지 유형 각각에 대해서 인구통계적 특성을 통제하고도 TPB 변인들과 습관변인들이 유의한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과속운전 의도와 신호위반운전 의도의 경우 주관적 신념, 행동통제력 지각, 습관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끼어들기운전 의도에서는 행동통제력 지각 및 습관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과속운전 행동과 신호위반운전 행동은 의도 이외에 습관 변인만이 유의하였으나 끼어들기운전은 의도 이외에 행동통제력 지각 및 습관 변인 둘 다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난폭운전 유형 각각에 대하여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과 습관 변인을 추가한 대안모형을 검증하여 보았으며 이와 관련하여 연구의 제한점 및 난폭운전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창업교육이 중국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Entrepreneurship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학월;김형호;심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11-19
    • /
    • 2020
  • 최근 몇 년 사이 대학생들이 중국 혁신과 창업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TPB 이론을 바탕으로 창업 교육 변수를 도입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창업 교육이 창업 의욕에 미치는 영향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적 행동조절, 기업가정신 교육 및 기업가적 의도 등 5가지 변수가 포함된 설문을 활용하여 중국 길림성에 소재한 6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SPSS23.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된 행동 이론의 세 가지 요소인 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적 행동조절과 비교했을 때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적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대학에서 창업 교육을 강화하는 데 선도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길림성 소재 6개 대학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위해서는 향후 중국 전역으로 연구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남성 직장인의 절주행위 측정도구 개발 -Ajzen의 계획적 행위 이론 적용- (Constructing a Questionnaire on Male Workers' Sobriety Behavior -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

  • 박인혜;김윤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6-16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questionnaire to assess male workers' sobriety behavior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ethods: A primary questionnaire with 56 questions was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tructured interview with male workers.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construct validity was tested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evaluated by Cronbach's ${\alpha}$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test. Results: Fifty two questions showed higher than .8 of CVI. Four factors explained 78.71% of the total variance among items for sobriety intention and direct measure, and six factors explained 67.99% of the total variance among indirect measure items and those factors coincided with the variables of TPB in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of this questionnaire was .873 and the result of test-retest reliabilty test was relatively reliable. A total of 41 items with 7-point scale were constructed in the final version. Conclusion: This questionnaire was valid and reliable to measure sobriety behavior based on TPB in male workers. It can be useful to evaluate the result of a sobriety program for male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