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M-S

검색결과 1,199건 처리시간 0.031초

수확 전·후 1-MCP처리가 '후지'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and Postharvest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s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stored 'Fuji' Apples)

  • 유진기;강봉국;이진욱;김대현;이동훈;정희영;최동근;정명근;최인명;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42-549
    • /
    • 2015
  • 본 연구는 수확 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TM}$)와 수확 후 훈증용 1-MCP($SmartFresh^{TM}$) 처리가 '후지'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Harvista^{TM}$ 처리는 수확 1, 2, 3주전 0, 95, 125, $250mg{\cdot}L^{-1}$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SmartFresh^{TM}$ 처리는 수확 1일 후 밀폐된 공간에서 $1{\mu}L{\cdot}L^{-1}$의 농도로 18시간동안 처리하였다. 과실저장은 $0{\pm}1^{\circ}C$ 조건에서 180일간 저장하였다. $Harvista^{TM}$ 처리에 따른 수확 시 과실품질을 보면 과중, 과피 적색도, 내생에틸렌 발생량, 경도, 산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저온저장동안 '후지'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Harvista^{TM}$$250mg{\cdot}L^{-1}$의 농도로 2, 3주전에 처리한 과실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과실 경도 및 산 함량이 더 높게 유지되었으며, 내생에틸렌 발생량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5.5-10.0%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그리고 저장기간 중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arvista^{TM}$ 단독처리와 $Harvista^{TM}+SmartFresh^{TM}$ 혼용처리구는 경도, 산 함량, 내생에틸렌 발생량 모두 저장 180일 후에도 수확 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과실품질이 유지되었다. 요인간 상관분석은 $Harvista^{TM}$ 처리시 처리농도와 무관하게 내생에틸렌 발생량이 경도 또는 산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Harvista^{TM}+SmartFresh^{TM}$ 혼용처리 시 $Harvista^{TM}$ $250mg{\cdot}L^{-1}$$SmartFresh^{TM}$ 처리가 변수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확 후 $SmartFresh^{TM}$처리에 의한 과실품질유지 효과와 함께, 고 농도의 $Harvista^{TM}$처리 또한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 유지에도 큰 효과를 보였다.

The influence of MgO on the radiation protec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ellurite glasses

  • Hanfi, M.Y.;Sayyed, M.I.;Lacomme, E.;Akkurt, I.;Mahmoud, K.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6호
    • /
    • pp.2000-2010
    • /
    • 2021
  • Mechanical moduli, such as Young's modulus (E), Bulks modulus (B), Shear modulus (S), longitudinal modulus (L), Poisson's ratio (σ) and micro Hardness (H) were theoretically calculated for (100-x)TeO2+x MgO glasses, where x = 10, 20, 30, 40 and 45 mol%, based on the Makishima-Mackenzie model. The estimated results showed that the mechanical moduli and the microhardness of the glasses were improved with the increase of the MgO contents in the TM glasses, while Poisson's ratio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MgO content. Moreover, the radiation shielding capacity was evaluated for the studied TM glasses. Thus,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 (LAC),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MAC), transmission factor (TF) and half-value thickness (𝚫0.5) were simulated for gamma photon energies between 0.344 and 1.406 MeV. The simulated results showed that glass TM10 with 10 mol % MgO possess the highest LAC and varied in the range between 0.259 and 0.711 cm-1, while TM45 glass with 45 mol % MgO possess the lowest LAC and vary in the range between 0.223 and 0.587 cm-1 at gamma photon energies between 0.344 and 1.406 MeV. Furthermore, the BXCOM program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effective atomic number (Zeff), equivalent atomic number (Zeq) and buildup factors (EBF and EABF) of the glasses. The effective removal cross-section for the fast neutrons (ERCSFN, ∑R) was also calculated theoretically. The received data depicts that the lowest ∑R was achieved for TM10 glasses, where ∑R = 0.0193 cm2 g-1, while TM45 possesses the highest ERCSFN where ∑R = 0.0215 cm2 g-1.

국내산 양식 흰다리새우 유래의 비브리오균에 대한 소독제의 방제 효과 검증 (Assessment of the Effect of a Disinfectant to Control Vibrio Strain from White Leg Shrimps Cultured in Korea)

  • 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3호
    • /
    • pp.30-34
    • /
    • 2023
  • 2023년 7월, 국내의 흰다리 새우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흰다리 새우가 이상유영을 보이며 식욕부진에 시달리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초기에는 일일 평균 폐사율이 0.1%였으나, 3주 후에는 5%까지 증가하였다. 질병 진단 과정 중, 폐사 새우의 간췌장에서 세균(KNUAFVa-SHP08147)이 분리되었다. 본 세균의 16S rRNA 유전자의 시퀀스 분석결과, 분리주 KNUAFVa-SHP08147은 Vibrio alginolyticus로 동정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주를 대상으로 비브리오 방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소독제의 효능을 검증해보았다. 소독제 VirkonTMS의 효능 검증을 위하여, VirkonTMS를 처리한 후 KNUAFVa-SHP08147의 성장 곡선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VirkonTMS가 KNUAFVa-SHP08147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무의미한 것으로 드러나, 소독제 VirkonTMS의 Vibrio 방제 효과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Smartpeg^{TM}$의 고압멸균소독 및 재사용이 임플랜트 안정성 지수(ISQ) 측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TOCLAVE STERILIZATION AND REUSE OF $SMARTPEG^{TM}$ ON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MEASUREMENT)

  • 강인호;김명주;임영준;김창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44-652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is evaluated as the non-invasive and objectiv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implant stability and has been increasingly us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 the ISQ measurement stability.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utoclave sterilization and reuse of $Smartpeg^{TM}$ on ISQ measurement. Material and methods: $SmartPeg^{TM}$ (Integration Diagnostics Ltd., $G\ddot{o}teborg$, Sweden) of autoclave group (A) was autoclave sterilized 9 times and $Smartpeg^{TM}$ of reuse group (R) was reused 9 times. Ten $SmartPeg^{TM}s$ were allocated to each group and after each autoclave sterilization and reus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were measured 3 times from the two directions a and b at a right angle. $Osstell^{TM}$ mentor (Integration Diagnostics Ltd. $G\ddot{o}teborg$, Sweden) was used and type 1 (article no. 100353) $Smartpeg^{TM}$ was selected according to $Smartpeg^{TM}$ reference list. Osstem Implant US II future (Osstem Co., Seoul, Korea) in $4.0mm{\times}11.5mm$ was embedded in the self-curing acrylic resin ($Orthojet^{(R)}$, Lang Dental, U.S.A.).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alpha}=.05)$ and scheffe test was done w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 Correlation test was also done between ISQ value and the number of autoclave sterilization or reuse. Results: 1. In autoclave group, the means and sd. of ISQ value before autoclave sterilization were $84.97{\pm}0.41,\;84.93{\pm}0.74$ at direction a and b.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utoclave groups at direction a and b (P=.000). 2. In reuse group, the means and sd. of ISQ value before reuse were $85.40{\pm}0.62,\;85.50{\pm}0.57$ at direction a and 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use groups at direction a and b (P>.05). 3. There was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use and ISQ value at direction a and b (${\gamma}=.207$ and .246, P<.01).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ill ninth reuse of $Smartpeg^{TM}$, the ISQ measurement stability did not be affected. After twice autoclave sterilization of $Smartpeg^{TM}$ the ISQ measurement stability was affected.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Streptococcus mutans 검출 방법의 임상적 적용에 관한 연구 (DETECTION SYSTEM OF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USING MONOCLONAL ANTIBODY)

  • 홍희정;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22-530
    • /
    • 2009
  •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Saliva-$check^{TM}$ Mutans키트의 타액 Streptococcus mutans검출방법으로서의 활용도와 임상적 우식지수 및 기존의 세균배양방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2008년 2월에서 5월 중 평촌키즈웰치과에 내원한 만 2세에서 만 8세 사이의 9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Streptococcus mutans 검출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우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인 치면세균막 pH와 타액완충능력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aliva-$check^{TM}$ Mutans 검사결과 양성을 나타낸 아동은 27명으로 29.3%이었고, 음성을 나타낸 아동은 65명으로 70.65%이었다. 우식경험유치면률은 음성 아동 13.89%, 양성 아동 25.23%으로 나타났다. 2.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검사방법 인 Saliva-$check^{TM}$ Mutans와 기존의 세균 배양방법인 $Dentocult^{(R)}$-SM은 각각 상이한 검사방법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검사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Saliva-$check^{TM}$ Mutans검사와 치면세균막 pH검사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p<0.01),타액완충능 검사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검사방법인 Saliva-$check^{TM}$ Mutans는 구강 내 Streptococcus mutans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당하며 또한 검사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사용방법도 매우 간편하게 개발되어 환자들에게 적용함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 $SANique^{TM}$기반의 DBMS 표준 성능 평가 (TPC Benchmark Test for DBMS based on Cluster File System $SANique^{TM}$)

  • 황진호;백은주;이규웅;이장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112-114
    • /
    • 2005
  • 본 논문은 SAN(storage area network)상에 네트워크-부착형 (network-attached) 저장 장치들을 직접 연결하여 파일 서버 없이 직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SAN 기반의 클러스터 공유 파일 시스템인 $SANique^{TM}$의 설계 기법을 설명하고 $SANique^{TM}$ 시스템의 기본 파일 입$\cdot$출력 연산 성능을 집중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상용 DBMS의 기본 연산 트랜잭션을 구성하여 기존 파일 시스템 기반의 DBMS와 비교 분석한다. 또한 표준 성능 평가 도구인 TPC-C 표준 벤치마크 테스트 도구를 활용하여 리눅스 시스템 및 Solaris 시스템 환경의 파일 시스템과 비교한다.

  • PDF

Comparison of SpineJet$^{TM}$ XL and Conventional Instrumentation for Disk Space Preparation in Unilateral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 Huh, Han-Yong;Ji, Cheol;Ryu, Kyeong-Sik;Park, Chun-K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5호
    • /
    • pp.370-376
    • /
    • 2010
  • Objective : Although unilateral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benefits, it does have some technical limitations. Removal of disk material and endplate cartilage is difficult, but essential, for proper fusion in unilateral surgery, leading to debate regarding the surgery's limitations in removing the disk material on the contralateral side. Therefore, authors have conducted a randomized, comparative cadaver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surgery when using conventional instruments in the preparation of the disk space and when using the recently developed high-pressure water jet system, SpineJet$^{TM}$ XL. Methods : Two spine surgeons performed diskectomies and disk preparations for TLIF in 20 lumbar disks. All cadaver/surgeon/level allocations for preparation using the SpineJet$^{TM}$ XL (HydroCision Inc., Boston, MA, USA) or conventional tools were randomized. All 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an independent spine surgeon who was unaware of the randomizations. The authors measured the areas (cm2) and calculated the proportion (%) of the disk surfaces. The duration of the disk preparation and number of instrument insertions and withdrawals required to complete the disk preparation were recorded for all procedures. Results : The proportion of the area of removed disk tissue versus that of potentially removable disk tissue, the proportion of the area of removed endplate cartilage, and the area of removed disk tissue in the contralateral posterior portion showed 74.5 ${\pm}$ 17.2%, 18.5 ${\pm}$ 12.03%, and 67.55 ${\pm}$ 16.10%, respectively, when the SpineJet$^{TM}$ XL was used, and 52.6 ${\pm}$ 16.9%, 22.8 ${\pm}$ 17.84%, and 51.64 ${\pm}$ 19.63%, respectively, when conventional instrumentations were use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when the SpineJet$^{TM}$ XL was used, the proportion of the area of removed disk tissue versus that of potentially removable disk tissue and the area of removed disk tissue in the contralateral posterior por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p < 0.001, p < 0.05, respectively). Also, compared to conventional instrumentations, the duration required to complete disk space preparation was shorter, and the frequency of instrument use and the numbers of insertions/withdrawals were lower when the SpineJet$^{TM}$ XL was used.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hydrosurgery using the SpineJet$^{TM}$ XL unit allows for the preparation of a greater portion of disk space and that it is less traumatic and allows for more precise endplate preparation without damage to the bony endplate. Furthermore, the SpineJet$^{TM}$ XL appears to provide tangible benefits in terms of disk space preparation for graft placement, particularly when using the unilateral TLIF approach.

군용 무인항공기의 TM/TC 데이터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TM/TC data protocol of Military Unmanned Aerial Vehicles)

  • 홍수운;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1-393
    • /
    • 2017
  • 다양한 목적으로 군에서 운용되고 있는 무인항공기는 목적에 따라 수집된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상의 통제장비로 전송하고 비행체의 운용제어 및 상태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군용 무인항공기 체계는 각 체계별 고유 통신방식과 프로토콜, 메시지 구조 등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체계개발 중에 있는 두 기종의 군용 무인항공기 체계의 TM/TC 데이터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무선 통신환경에서 더 효율적인 TM/TC 메시지 설계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향후 다수의 무인기 간 또는 새로 도입되는 무인기 체계와의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기술 표준화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 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plant preservative mixtureTM on in vitro germination of Dendrobium thyrsiflorum Rchb.f. and its application in orchid conservation

  • Tran Trung Chanh;Nguyen Tan Huy;Nguyen Thu Ha;Khanh Le;Nguyen Huu Hoa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08-114
    • /
    • 2023
  • In vitro conserva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rare plant protection, especially for orchid species. To maximize the success rates of in vitro explant establishment (stage I) in conservation programs, the application of tissue culture additives such as Plant Preservative MixtureTM (PPMTM) should be emphasized. In this study, we used Dendrobium thyrsiflorum Rchb.f. (1875) seeds and seedlings as a model for the evaluation of PPMTM's phytotoxicity in the meristematic tissues of epiphytic orchids. PPMTM had no observable inhibitory effect on protocorm, shoot, or root development when it was supplemented at 0.1%. PPMTM supplementation caused adverse effects on D. thyrsiflorum explants at concentrations > 0.2%. At high concentrations, young in vitro seedlings showed damage, especially at the root tissue level. Based on this model, supplementation of 0.1-0.2% PPMTM to culture media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o establish in vitro cultures of other rare orchid species in our conservation program.

Tm2O3가 첨가된 MLCC용 BaTiO3 유전체의 전기적 특성 및 열화거동 (Electrical properties and degradation behavior of Tm2O3 doped barium titanate ceramics for MLCCs)

  • 김도완;김진성;후이;이희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78-282
    • /
    • 2010
  • Tm 도핑에 따른 $BaTiO_3$ ceramics의 전기적 특성과 열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core-shell 형성과 가속열화시험에 의한 미세화학변화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Tm_2O_3$를 첨가하지 않은 $BaTiO_3$와 1 mol%를 첨가한 $BaTiO_3$를 펠렛과 적층 형태의 시편으로 각각 제조하였다. 1 mol% $Tm_2O_3$가 첨가된 유전체 시편의 유전상수는 $Tm_2O_3$를 첨가하지 않은 시편에 비해 약 40% 높게 나타났고 X7R 조건을 만족하였다. 절연저항 또한 1 mol% $Tm_2O_3$가 첨가된 시편은 $5.43{\times}10^{10}{\Omega}$으로 $Tm_2O_3$를 첨가하지 않은 시편의 $1.11{\times}10^{10}{\Omega}$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Tm^{3+}$ 이온이 Ba site와 Ti site에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유전체 미세조직 내에 core-shell 구조를 형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설명된다. 각각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적층 시편의 $150^{\circ}C$, 70 V, 24시간 가속열화시험결과에 따르면, 1 mol% $Tm_2O_3$가 첨가된 $BaTiO_3$는 첨가되지 않은 시편에 비해 전극 층으로의 산소확산이 감소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Tm^{3+}$ 이온의 Ti site 치환에 의해 발생한 산소공공이 Ni 전극과 반응할 수 있는 과잉 산소를 줄여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