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1K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of the Cultured Rat Mammary Epithelial Cells by Triterpene Acids

  • Paik, Kee-Joo;Jeon, Seong-Sill;Chung, Hae-Young;Lee, Kyung-Hee;Kim, Kyu-Won;Chung, Joon-Ki;Kim, Nam-Deu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98-405
    • /
    • 1998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terpene acids (TAs),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A), on the induction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ormal rat mammary epithelial cells (RMEC) or organoids cultured in Matrigel or primary culture system. To elucidate the effects, we tested their differentiation inducing activities with intercellular communication ability, cell cycle patterns, induction of apoptosis,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in the three dimensional extracellular culture system. To study the changes of RMEC subpopulation in culture, the cultured cells were isolated, immunostained with peanut lectin (PNA) and anti-Thy-1.1 antibody and then analyzed with flow cytometry. Four different subpopulations, such as PNA and Thy-1.1 negative cells (B-), PNA positive cells (PNA+), Thy-1.1 positive cells (Thy-1.1+), PNA and Thy-1.1 positive cells (B+), were obtained and the size of each subpopulation was changed in culture with time in the presence of TAs. Intercellular communication was observed in culture for 7 days in TAs-treated cells, but not in culture for 4 days with scrape-loading dye transfer technique. $G_2$/M phase cells and the number of apoptotic population were increased in TAs-treated groups in cell cycle analyses. S phase fractions were reduced and the change of $G_1$ phase cells was not observed. The colonies with distinct multicelfular structures, such as stellate, ductal, webbed, squamous, lobulo-ductal colonies, were observed in Matrigel culture and the frequencies of each colony were changed in the presence of T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A and OA have differentiation inducing effects on rat mammary epithelial cells in primary or in Matrigel culture.

  • PDF

뇌졸중 후 강직(spasticity) 평가를 위한 Tone Assessment Scale의 신뢰도 (Reliability of the Tone Assessment Scale for Poststroke Spasticity)

  • 김태호;정이정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3-14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reliability of the Tone Assessment Scale (TAS) translated into Korean in patients with stroke. The TAS consists of resting posture, response to passive movement, and associated reaction to active effort. Fifteen patients (14 males, 1 female) were examined by two raters.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data at elbow flexor muscle and joint excursion were collected from 6 patient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muscle activity and angular changes of elbow muscl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used.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AS ranged from very good to good (K/Kw=.61~1.00 for intra-rater and K/Kw=.73~1.00 for intra-rater comparisons) in the sections of resting posture and associated reaction. However, in the section of response to passive movement,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ranged from very good to fair (Kw=.29~1.00). In the 11th item, correlation between EMG ratio of elbow flexor and angular changes of elbow joint showed statistically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r=.94, p<.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AS is selectively reliable in the sections of resting posture and associated reaction.

  • PDF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 (Alexithymia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ubclinical Depression)

  • 김석주;유승희;김성연;김동욱;조인희;조성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2호
    • /
    • pp.100-106
    • /
    • 2007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과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386명(남/여=148/238, 평균 연령 : $43.0{\pm}13.9$, 연령 범위 : 19~79)이 연구에 참여했다. 구조화된 임상면담(Structured Clinical Inteview for DSM-IV, SCID)를 이용하여 주요 우울장애 및 기타 1축 정신질환을 진단했다. 우울증상를 평가하기 위해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자가 작성하게 했다. 감정표현불능증은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로 평가했다. 주요 우울장애의 병력이 없는 이 중 SCID에서 경도 우울장애가 있거나, CES-D 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를 준임상적 우울증으로 정의했다. 주요 우울장애군, 준임상적 우울증군, 정상 대조군 세군으로 나누어 TAS 총점과 각 요인별 점수를 비교했다. 결과 : 전체 386명 중, 38명(9.8%)이 DSM-IV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병력이 있었고, 57명(14.8%)이 준임상적 우울증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간 TAS 총점($F_{2,383}=14.0$, p<0.01), 요인 1(감정인식의 장애) ($F_{2,383}=23.4$, p<0.01), 요인 2(감정표현의 장애)($F_{2,383}=7.8$, p<0.01)에 차이가 있었다. TAS 요인 3(외부지향적 사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_{2,383}=1.8$, p=0.16).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TAS 총점, 요인 1, 요인 2의 점수가 높았다(모두 p<0.01). 반면,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TAS 총점 및 각 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상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감정표현불능증이 더 심했다. 한편,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은 감정표현불능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표현 불능증이 주요 우울장애 뿐아니라 준임상적 우울증과도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 PDF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감정표현 불능증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 신동인;함병주;권호인;박건우;김린;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56-60
    • /
    • 2002
  • 목 적 : 긴장성 두통은 병태생리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리적인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통증 증후군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통과 관련된 심리적 요소 중의 하나가 alexithymia이다. 본 연구에서는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alexithymia 정도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우울정도와, alexithymia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만 18세 이상의 긴장성 두통 환자 66명을 대상으로, alexithymia의 정도와 우울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TAS-20K와 BDI를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에서는 TAS-20K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AS-20K는 긴장성 두통 환자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TAS-20K의 점수와 BDI 점수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 긴장성 두통 환자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alexithymia 수준을 보였다. 또한 Alexithymia의 수준은 우울감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진다. 임상의들은 긴장성 두통 환자들의 치료적 접근에서 alexithymia,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요소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5
    • /
    • 1999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재래식 및 공장산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재래식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의 조단백질함량은 멸치액젓이 까나리액젓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pH은 재래식의 경우 멸치액젓이 6.78, 까나리액젓이 5.46이었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낮은 5.06$\~$5.68이었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아미노질소함량은 각각 $888.9mg\%$ (w/v) 및 $813.5mg\%$ (w/v)이었고 산도는 각각 $17.6ml\%$ (v/v) 및 $27.7ml\%$ (v/v)였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약간씩 많았다. 액젓의 색조 비교에서, L값과 b값은 멸치액젓이 약간 높은 반면, a값과 ${\Delta}E$값은 까나리액젓이 높았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2.40g\%$ (w/v) 및 $9.549g\%$ (w/v)로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멸치 액젓의 경우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및 Iysine 등이었으며, 까나리액젓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및 val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함량은 재래식 멸치액젓 $12.1 mg\%$ (w/v), 까나리액젓 $67.8mg\%$ (w/v)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HxR의 함량은 각각 $103.7mg\%$ (w/v) 와 $172.4mg\%$ (w/v)로 까나리액젓 쪽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양시료 액젓의 TMAO, TMA의 함량은 각각 $108.8mg\%$ (w/v), $60.5 mg\%$ (w/v) 및 $60.1 mg\%$ (w/v), $24.1 mg\%$ (w/v)로서 멸치액젓 쪽의 함량이 많았으며, 크레아틴의 함량은 $62.4\~67.6mg\%$ (w/v)로 양자가 서로 비슷하였다.

  • PDF

체중부하 상태의 족관절 검사시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와 편측 족관절 검사의 방사선학적 비교 (Comparison of Radiologic Parameters between Weight Bearing Affected Both Ankle and Single Ankle in Ankle Exam)

  • 차상영;신재한;최남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603-610
    • /
    • 2016
  • 체중부하 상태에서의 족관절 검사 시 양측 족관절을 동시 촬영 했을 때와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각각 촬영 했을 때, 족관절염의 평가에 해당되는 측정값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양측을 동시촬영 할 때, 다리를 모아 촬영하게 됨으로 Tibia axis축이 기울게 되고, 족관절의 external rotation으로 인해 족관절의 각도와 joint space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과 편측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한 영상을 PACS system 이용하여 족관절 평가에 이용되는 TAS, TT, TMM, JSW, Tibiotalar joint, Fibulotalar joint의 측정값을 구한 후 통계 분석 하였다. 각도 측정에 있어, 체중부하 양측 족관절 동시 촬영한 검사의 오른쪽 족관절의 TAS, TT, TMM 측정값은 $87.24^{\circ}$, $6.44^{\circ}$, $26.67^{\circ}$ 이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93^{\circ}$, $2.41^{\circ}$, $19.77^{\circ}$ 였다. 양측 족관절 동시촬영의 왼쪽 족관절 TAS, TT, TMM의 측정값은 $87.25^{\circ}$, $5.71^{\circ}$, $23.92^{\circ}$ 였으며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왼쪽 족관절의 TAS, TT, TMM은 $88.75^{\circ}$, $3.19^{\circ}$, $21.45^{\circ}$ 였다. 양측 족관절을 동시촬영한 검사와 편측을 나누어 촬영한 족관절과의 비교 시, 양측을 동시 촬영한 검사에서 족관절 평가의 중증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왜곡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너비 측정에서 JSW, Tibiotalar joint는 검사 자세로 인한 측정값들 간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Fibulotalar joint 의 양측 족관절 동시 검사에서 오른쪽 0.98mm 왼쪽 1.22mm 로 나타났고, 한쪽씩 촬영한 오른쪽 족관절에서는 1.6mm 왼쪽 1.22mm로 측정 자세로 인한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족관절염 평가를 위한 체중부하 족관절 검사시 양측을 동시에 검사하기 보다는 각각의 족관절을 나누어 촬영하는 것이 족관절염 평가값에 왜곡을 최소화 하며,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불안 장애 환자와 우울 장애 환자의 감정표현불능증

  • 김부용;류석환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9-154
    • /
    • 2015
  • Objective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lexithymia between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The second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lexithymia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Methods : A total of 175 patients with diagnoses of anxiety disorder or depressive disorder were recruited. Demographic, psychosocial, and clinical data were analyzed, as well as results on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 quality of life scale, the Beck Depression scale, and Beck Anxiety Inventory. Results : As compared with the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on the TAS-20K and for factor 1 (difficulties identifying feelings) and factor 2 (difficulties describing feeling) scales of the TAS-20K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f psychosocial well-being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Total scores on the TAS-20K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cores for some subscale on the quality of life scale.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 that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had more alexithymic symptoms and worse quality of life compared with those with anxiety disorder. Also, alexithymic symptoms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Therefore, clinicians should try to focus on relieving symptoms to help patients restor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Outage Probability Analysis of Multiuser MISO Systems Exploiting Joint Spatial Diversity and Multiuser Diversity with Outdated Feedback

  • Diao, Chunjuan;Xu, Wei;Chen, Ming;Wu, Bing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9호
    • /
    • pp.1573-1595
    • /
    • 2011
  • In this paper, the outage performance of multiuser multiple-input single-output (MISO) systems exploiting joint spatial and multiuser diversities is investigated for Rayleigh fading channels with outdated feedback. First, we derive closed-form exact outage probabilities for the joint diversity schemes that combine user scheduling with different spatial diversity techniques, including: 1) transmit maximum-ratio combining (TMRC); 2) transmit antenna selection (TAS); and 3) 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ing (OSTBC). Then the asymptotic outage probabilities are analyzed to gain more insights into the effect of feedback delay. It is observed that with outdated feedback, the asymptotic diversity order of the multiuser OSTBC (M-OSTBC) scheme is equal to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t the base station, while that of the multiuser TMRC (M-TMRC) and the multiuser TAS (M-TAS) schemes reduce to one. Further by comparing the asymptotic outage probabilities, it is found that the M-TMRC scheme outperforms the M-TAS scheme, and the M-OSTBC scheme can perform best in the outage regime of practical interest when the feedback delay is large. Theoretical analysis is verified by simulation results.

정신분열병의 감정표현 불능증과 관련된 임상 및 증상 요인 (Clinical and Symptomatic Correlates of Alexithymia in Schizophrenia)

  • 이경하;김대호;노성원;남정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1호
    • /
    • pp.32-40
    • /
    • 2005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정신분열병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감정표현 불능증과 임상변인 및 정신분열병의 연관 관계를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두 대학병원 정신과 입원 시설에서 1년간 연속적인 수집을 통해 58명의 성인 정신분열병 환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환자들에게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PANSS),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를 시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TAS 총점은 SCL-90-R의 모든 하위 척도와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PANSS의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 정신병리 척도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또한 '주관적 감각과 감정 경험의 혼동' 요인과 '감정 표현의 곤란' 요인은 SCL의 증상 척도와 유의하게 정적 상관하였으나, '공상의 빈곤'은 일부 하위척도와 부정 상관, '외부 지향적 사고'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SCL-90-R의 전체심도지수(GSI)가 감정표현 불능증의 28.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결과 및 객관적, 주관적 검사의 소견의 차이는 정신분열병의 감정표현 불능증이 두 가지 구성체, 즉 '감정 표현과 소통의 장애(상태적 요인)'과 '외부 지향적 사고(특성적 요인)'로 구성됨을 시사한다. 향후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TAS의 구성 타당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식물성 식품중 총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생리활성 탐색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 손은심;오상석;한대석;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04-514
    • /
    • 2001
  •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total antioxidant status and superoxide scavenger activity of edible plants were measured. Among twenty one samples of leafy vegetables and teas, mugwort (Artemesia capillaris) and green teas gave high total flavonoids contents, 48.2 mg/g sample and 44.7 mg/g sample,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flavonoids among eighty nine samples analyzed was 52.1 mg/g sample from propolis. When samples were tested for total antioxidant status, a kind of groundsel showed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Status(TAS) value, 13.4 mM among leafy vegetables and teas and green tea gave high TAS value, 11.84 mM. On the other hand, purslane gave the lowest TAS value, 0.01 mM. The superoxide scavenge activity was measured from the extracts of all edible plants. The superoxide scavenge activity of polygonatum(81.1%) and chrysantemum (78.5%) were the highest among leafy vegetables, teas and medicinalplants. On the other hand, ginseng, poria, cassiae semen and dioscoreae rhizoma showed no superoxide scavenge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