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1K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TAS-20의 한국판 3종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비교 (Comparis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Korean Versions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 정운선;임효덕;이양현;김상헌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1호
    • /
    • pp.77-88
    • /
    • 2003
  • 연구목적: 1985년 Taylor 등이 발표한 TAS는 감정표현불능증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1992년 TAS-20으로 개정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혼재되어 쓰이고 있는 세 가지 TAS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를 비교하여 가장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척도를 통일하여 사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첫 번째 척도는 1996년 이양현 등이 개발한 것{이후 TAS-20K(1996)}이다. 두 번째 척도는 위 연구에서 "어떤 문제를 묘사하기보다는 분석하는 편이다"라고 직역한 5번 항목의 결과가 예측치와 상반되어 '분석하다'라는 단어에 대한 우리나라와 서양의 문화적 견해 차이를 고려하여 5번 문항을 수정 제안한 것{이후 TAS-20K(2003)}으로서, 타당도와 신뢰도의 호전을 검증하지 않은 것이다. 세 번째 척도는 1997년 신현균과 원호택이 TAS-20을 번역한 것(이후 S-TAS)으로 20항목의 원래 항목 수를 23개로 수정 번역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방 법: 의학과 학생 408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척도의 서로 다른 항목, 즉 TAS-20K(1996)의 20항목, TAS-20K(2003)의 수정 제안된 1항목, S-TAS의 23항목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구성된 하나의 척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 척도의 신뢰도를 비교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Cronbach $\alpha$ coefficients)를 구하였고 타당도를 비교하기 위해 확증적 요인 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 과: TAS-20K(2003)은 TAS-20K(1996)보다 내적 일치도가 호전되었다.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척도의 세 요인 구조를 재현하였고, 우수한 내적 일치도와 받아들일 만한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S-TAS는 19번 항목이 요인 2와 상관성이 낮게 나타났고, 이전 연구에서와 같이 2번 항목과 요인 1간의 상관성이 재현되지 않아 본래 요인 2에 속한 19번 항목을 요인 1에도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지 않았다. 결 론: TAS-20K(2003)과 S-TAS는 모두 원본 TAS-20의 번역판으로서 우수한 타당도와 받아들일만한 신뢰도를 보였다. 그러나 TAS-20K(2003)은 원본과 동일한 항목 수와 구조, 동일한 점수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TAS-20은 이미 1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는 도구이나, S-TAS는 항목 수 및 점수 체계, 요인 구조를 원본 TAS-20과 다르게 변형시켜 국제적인 비교 연구를 위해서는 제한점이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감정표현불능증의 국내 연구에서 TAS-20K(2003), 즉 TAS-20K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으로 제안한다.

  • PDF

TAS-20K를 이용한 사상체질의 심리적 특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with TAS-20K)

  • 김광호;김보균;김종우;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3-122
    • /
    • 200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the Korean version of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TAS-20K) was completed by 59 sixth grade students of oriental medical college of KyungHee university who defined as one of Sasang constitution from June 2000 to August, and the mean scores of Yangin versus Eumin and Sasang constitution on TAS-20K was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 on Means of TAS-20K ScoreMann-Whitney U test det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 ranks of TAS-20K scores of male and those of female in F1, F2 and Total,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F3(Mann-Whitney U test, t=2.493. p=.018)2. Comparison between Yangin and Eumin on Means of TAS-20K ScoreMann-whitney U test det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 ranks of TAS-20K scores of Yangin and those of Eumin in F1. F3 and Total,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F2(Mann-Whitney U test. t=-2.805. p=.008)3. Comparison among Sasang constitution on Means of TAS-20K ScoreAlthough mean of TAS-20K score of Taeyangin. Soyangin and Soeum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sang constitution in F1, F2 and F3 as well as Total when mean ranks of TAS-20K scores of Sasang constitution were compaed by one-way ANOVA.

  • PDF

A Design for Evaluation of the Trauma Apportionment in Cerebral Infarction after Trauma

  • Kim, Tae-Hoon;Lee, Kyeong-Seok;Park, Hae-Ran;Shim, Jae-Joon;Yoon, Seok-Mann;Doh, Jae-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1호
    • /
    • pp.19-22
    • /
    • 2015
  • Objective : Posttraumatic cerebral infarction (CI) is a well-known complication of traumatic brain injury (TBI). However, the causation and apportionment of trauma in patients with CI after TBI is not easy. There is a scoring method, so-called trauma apportionment score (TAS) for CI, consisted with the age, the interval, and the severity of the TBI. We evaluated the reliability of this score. Methods : We selected two typical cases of traumatic CI. We also selected consecutive 50 patients due to spontaneous CI. We calculated TAS in both patients with traumatic and spontaneous CI. To enhance the reliability, we revised TAS (rTAS) adding three more items, such as systemic illness, bad health habits, and doctor's opinion. We also calculated rTAS in the same patients. Results : Even in 50 patients with spontaneous CI, the TAS was 4 in 44 patients, and 5 in 6 patients. TAS could not assess the apportionment of trauma efficiently. We recalculated the rTAS in the same patients. The rTAS was not more than 11 in more than 70% of the spontaneous CI. Compared to TAS, rTAS definitely enhanced the discriminating ability. However, there were still significant overlapping areas. Conclusion : TAS alone is insufficient to differentiate the cause or apportionment of trauma in some obscure cases of CI. Although the rTAS may enhance the reliability, it also should be used with cautions.

한국판 텔레겐몰입척도의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 on the Korean Version of Tellegen Absorption Scale)

  • 이준석;이장한;김보라;심종온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2호
    • /
    • pp.88-92
    • /
    • 2007
  • 연구목적 : 한국판 텔레겐몰입척도(the Korean Version of Tellegen Absorption Scale ; 이하 TAS-K)는 몰입 경험을 표현한 자기-기술식 설문 척도로서 최면감수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S-K의 내적 신뢰도를 포함하여 그 요인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소재 일 대학교의 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TAS-K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계산을 위해 내적 일관성 지수인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으며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TAS-K의 Cronbach's $\alpha$의 값이 0.82로 나타나 척도의 내적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고유치 1.0 이상의 요인들을 추출했을 때 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는데, 1요인은 일시적인 유사 해리 경험, 2요인은 상상적 몰두, 3 요인은 지각적 민감성 등을 각각 반영하고 있었으며, 총 분산의 31.06%를 설명하였다. 결론 : TAS-K는 비교적 내적 신뢰도가 높았으며, 하위요인은 최면감수성과 관련된 특성들을 반영하고 있었다.

  • PDF

Relation of serum total antioxidant status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 Kwak, Ho-Kyung;Yoon, S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335-340
    • /
    • 200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to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Anthropometric measures, blood pressure, serum lipids and fasting glucose were determined in 406 men and women. TAS was measured by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Randox kit. Serum TA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weight (p=0.004), body mass index (BMI) (p=0.033), waist circumference (p=0.017), total cholesterol (p=0.038) and triglyceride (TG) (p<0.001). The mean TAS of hypertriglyceridemic subjects (TG ${\geq}$150 mg/d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ubjects whose TG was lower than 150 mg/dl (p=0.001). When central obesity, 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sting glucose and blood pressure were considered as metabolic risk factors, TAS was shown to be elevated with increased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p=0.004).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AS and a number of metabolic risk factors suggests that increased TAS may not always indicate one's healthier condi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AS as a marker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s with various metabolic conditions, it is needed to clarify the factors affecting TAS in relation to changes in metabolic risk factors.

황 농도에 따른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의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in Different Sulfur Concentrations)

  • 이은영;조경숙;류희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8-341
    • /
    • 2006
  •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ulfur-oxidizing bacteria,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AZ11, MET, and TAS were investigated in mineral salt media supplemented with elemental sulfur of 1$\sim$50 g $L^{-1}$. The sulfur oxidation rates of A. thiooxidans. MET and TAS increased highly with increasing sulfur concentration up to 10 g L$^{-1}$, but the rates increased slowly in sulfur concentration over 10 g L$^{-1}$. A. thiooxidans AZ11 showed the parallel increase of sulfur oxidation rate until sulfur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40 g L$^{-1}$. The maximum sulfur oxidation rates (V$_{max}$) of AZl1, MET and TAS were 1.88, 1.38 and 0.43 g S L$^{-1}$ d$^{-1}$, respectively.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s (${\mu}_{max}$) of AZ11, MET, and TAS were 0.33 d$^{-1}$, 0.30 d$^{-1}$ and 0.45 d$^{-1}$, respectively. Although MET and TAS couldn't grow at sulfate concentration of 40 g L$^{-1}$, AZ11 could grow in the presence of 58 g L$^{-1}$ sulfate, the final oxidation product of elemental sulfur.

알코올리즘 환자들의 Alexithymia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Alexithymia in Alcoholism)

  • 이남진;정애자;황익근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42-50
    • /
    • 1999
  • 감정표현불능증은 감정과 공상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기능의 특정 장애를 의미한다. 이는 초기에 정신신체질환에서 언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표현불능증적 특성은 내과적 그리고 정신과적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서 폭 넓게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Scored Archetypal 9 Test(SAT9)파 한국판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20(TAS-20K)를 사용하여 알코올리즘 환자들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20명의 알코올리즘 환자들과 24명의 정상대조군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AT9과 TAS-20K에서 알코올리즘 환자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좀 더 alexithymic하였다. 2) 두 군간 성별사이의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두 군간 나이나 교육정도와 감정표현불능증 척도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은 없었다. 4) SAT9과 TAS-20K은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 PDF

한국인의 단맛수용체유전자 TAS1R2 다형성분석 및 일배체형 연구 (Genetic Polymorph isms and Haplotype Analysis of Sweet Taste Receptor TAS1R2 Gene in the Korean Population)

  • 이혜진;배재웅;권태준;사공보름;김언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62-465
    • /
    • 2010
  • 단맛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감각 중 하나로, 열량을 제공하며 식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인간이 맛물질을 느끼는 민감도 차이에 유전적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98명을 대상으로 단맛을 결정하는 미각수용체 TAS1R2 유전자에 대해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한 단일염기 다형성 종류 및 빈도, 그리고 일배체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TAS1R2 유전자로부터 총 12종류의 SNP이 검출되었으며 약 70%는 아미노산 치환을 일으키는 변이로 확인되었다. 특히, 231번째와 950번째 변이는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발견된 새로운 것으로 한국인 집단에서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SNP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일배체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발견된 20 종류 일배체형 중 세 가지가 주로 한국인이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발견된 TAS1R2 유전자의 SNP은 향후 단맛물질을 감지하는 인간의 민감도차이를 결정하는데 유전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주리라 생각되며 맞춤형 식단 등 영양유전학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Outcomes after Atlantoaxial Fusion with Transarticular Screws and Screw-Rod Constructs

  • Kim, Ji Yong;Oh, Chang Hyun;Yoon, Seung Hwan;Park, Hyeong-Chun;Seo, Hyun 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5권5호
    • /
    • pp.255-260
    • /
    • 201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diological and neurological outcomes between two atlantoaxial fusion method for atlantoaxial stabilization; C1 lateral mass-C2 pedicle screws (screw-rod constructs, SRC) versus C1-2 transarticular screws (TAS). Methods : Forty-one patients in whom atlantoaxial instability was treated with atlantoaxial fixation by SRC group (27 patients, from March 2005 to May 2011) or TAS group (14 patients, from May 2000 to December 200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Numeric rating scale (NRS) for pain assessment,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Frankel grade were also checked for neurological outcome. In radiologic outcome assessment, proper screw position and fusion rate were checked. Perioperative parameters such as blood loss during operation, operation time, and radiation exposure time were also reviewed. Results : The improvement of NRS and ODI were not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significantly. Good to excellent response in Frankel grade is shown similarly in both groups. Proper screw position and fusion rate were also observed similarly between two groups. Total bleeding amount during operation is lesser in SRC group than TAS group, but not significantly (p=0.06). Operation time and X-ray exposure time were shorter in SRC group than in TAS group (all p<0.001). Conclusion : Both TAS and SRC could be selected as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s for C1-2 instability. But the perioperative result, which is technical demanding and X-ray exposure might be expected better in SRC group compared to TAS group.

미각장애와 TAS1R3 및 GNAT3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연관성 (Polymorphisms of TAS1R3 and GNAT3 Genes Are Associated with Patients with Taste Disorder)

  • 배재웅;김언경;권태준;최수진;예미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2-416
    • /
    • 2011
  • 단맛은 우리 몸에 열량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함 감각으로 인지도가 개인마다 조금씩 다르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분자수준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각 장애에 미치는 유전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50명의 미각 환자 및 10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단맛 민감도 차이와 연관이 있는 TAS1R3 및 GNAT3 유전자의 다형성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TAS1R3 유전자 rs307355 및 rs35744813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미각 장애 환자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다형성에 대한 일배체형을 분석한 결과, C-C 및 T-T의 두 종류만이 검출되었으며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일배체형 빈도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GNAT3 유전자에서는 rs7792845의 유전자형 빈도가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었으나, 대립유전자 빈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단맛의 민감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TAS1R3 및 GNAT3 유전자의 다형성에 대한 한국인 집단에서의 유전자형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집단유전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미각장애환자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TAS1R3 및 GNAT3 유전자의 다형성이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해 줌으로써 향후 미각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위에 제시한 연구결과는 향후 추가적인 샘플링을 통해 보다 많은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