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3P

검색결과 15,715건 처리시간 0.051초

맥섬석과 한방제재 첨가급여가 재래닭 교잡종의 계란생산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csumsuk and Herb Resources on Egg Performance and Quality in Korean Native Crssbred Chicken)

  • 김병기;황은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25-131
    • /
    • 2012
  • 본 시험은 산란계에 대한 맥섬석과 한방제재의 첨가급여가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란초기에 있는 재래닭교잡종(재래닭${\times}$레드브로교잡종) 360수를 공시하여 4처리로 임의 배치하였다(각 처리구당 30수${\times}$3반복), 대조구(무첨가), 시험 1구(맥섬석 0.3% 첨가), 시험 2구(한방제재 0.3% 첨가), 시험 3구(맥섬석 0.3%+한방제재 0.3%)로 나누어 8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섭취량과 난중 및 평균 산란율은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그러나 파란율은 대조구(3.41%)가 시험구보다 크게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시험 3구가 가장 낮은 파란율을 나타내었다(P<0.05). 전란 중에서 조지방의 경우는 대조구(11.20%)가 시험구(9.67 - 10.01%) 보다 크게 높게 나타났다(P<0.05). 계란품질에서 호우유니트 계수, 난황색, 난각 두께 및 난각 강도는 시험구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난각 강도는 시험구(36.98 - 37.52)가 대조구(35.56)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난황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 3구(14.91 mg/g)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낮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더 높았으나, 불포화 지방산은 시험구(66.82 - 67.00%)가 대조구(64.58%)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맥섬석과 한방제재 혼합첨가제는 난황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계란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Escherichia coli Contamination on Extended Porcine Semen Parameters

  • So, Kyoung-Min;Sa, Soo-Jin;Kim, Hyo-Jin;Chung, Ki-Hwa;Jung, Byeong-Yeal;Son, Jung-Ho;Kim, In-Cheul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79-48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 coli isolated from porcine semen on sperm viability, motility, and semen pH. Semen samples were prepared using commercial extender, $Seminark^{Pro}$ (Noahbio Tech, Korea) that did not contain antibiotics. And 4 different levels of E. coli were artificially innoculated to semen with following concentrations; 4,000 of sperms with 1 of E. coli (T1), 400 with 1 (T2), 40 with 1 (T3), and 4 with 1 (T4). Semen samples were preserved at $17^{\circ}C$ for 5 days in semen storage box until analyzed by flowcytometer. Aliquots were subjected to measure the sperm viability (Live/$Dead^{(R)}$ stain), motility (mitochondrial function), and semen acidity (pH) from day 0 (day of semen collection) to day 5.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on day 0 (4 hrs after preservation at $17^{\circ}C$) in T3 and T4 compared to control groups an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all groups from day 3. Sample pH was acidic in T3 (6.90~6.86) and T4 (6.86~6.65) from day 3 to day 5 (p<0.05). On the other hand, sample pH was maintained 7.0~7.1 in control, T1, and T2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Sperm motility and viabil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day 0 to day 5 compared to control in samples contaminated with E. coli above a value of 40:1 ($20{\times}10^6$ sperm cells/ml : $5{\times}10^5$ cfu/ml). Even on day 1 in T4 and on day 3 in T3, semen pH was acidic probably due to the acidification of dead spermatozoa. These results suggest that E. coli contamination has a concentration-dependent detrimental effect on extended porcine semen quality.

토지이용에 따른 비점오염부하 특성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according to Landuse)

  • 신민환;신용철;허성구;김웅기;임경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24-182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농촌, 산림 및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원오염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유역으로는 농촌유역인 유포리, 산림유역인 학술림 및 도시유역인 공지천 등 3개 유역을 선정하였다. 유포리 유역의 면적은 $1.96\;km^2$으로 토지이용은 밭 7.5%, 논 11%, 과수원 1.95%를 제외한 70%가 임야지역으로 나타났다. 산림유역은 면적이 $3.9\;km^2$으로 임산실습을 위한 제탄소 등 교육 및 연구시설을 제외한 대부분(99%)이 산림으로 잘 보전되어 있다. 춘천시에 위치한 공지천 유역은 구시가지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0.19\;km^2$중 불투수면적이 $0.15\;km^2$으로 유역면적의 81.9%를 차지한다. 연구유역별로 강우시에는 5분, 건기시에는 30분 간격으로 수위를 측정한 후 수위-유량 곡선을 이용하여 유량으로 환산하였다. 수질 자료는 강우시에는 1일 3회 이상, 건기시에는 2주일에 1회 채취 하여 T-N과 T-P의 분석항목을 환경부 제정 수질 공정시험법의 제반 규정에 따라 분석하여 유역별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농촌 및 산림유역의 T-N과 T-P의 평균농도는 8.3 mg/L 및 0.3mg/L, 2.4 mg/L 및 0.1 mg/L로 나타났고 도시유역의 건기시와 강우시의 T-N과 T-P의 평균농도는 28.1 mg/L 및 3.1 mg/L, 20.6 mg/L 및 2.5 mg/L로 나타났다. 농촌, 산림 및 도시유역의 T-N과 T-P의 연오염부하는 각각 270.60 kg/ha 및 8.64 kg/ha, 223.16 kg/ha 및 13.87 kg/ha 그리고 612.37 kg/ha 및 69.14 kg/ha이 발생하였다. 100mm 이상의 강우가 발생한 $6{\sim}9$월의 유포리와 학술림의 T-N과 T-P의 오염부하가 연오염부하의 86% 및 88% 그리고 66% 및 82%로 나타나 강우량이 오염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유역의 오염부하는 강우량이 많은 $6{\sim}8$월보다 강우량이 적은 5월과 12월에 크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T-N과 T-P의 연오염부하는 도시>농촌>산림유역의 순서로 나타났다. 공장, 가정하수, 생활하수 등의 오염원이 많은 도시유역에서 T-N의 오염부하량은 농촌 및 산림유역보다 $2{\sim}3$배 높게 이상 나타났으며 T-P의 경우는 $5{\sim}9$배 이상 높게 나타나 비점원오염 배출은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변형된 Time Mapped Prime Sequence를 이용한 Wavelength-Time Code for Optical CDMA (Wavelength-Time Codes using Modified Time Mapped Prime Sequences for Optical CDMA)

  • 지윤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10호
    • /
    • pp.29-33
    • /
    • 2010
  • 변형된 time mapped prime sequences를 time spreading pattern에 이용하여 다양한 wavelength-time codeword를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 $P_t$ = 3 일 때는 autocorrelation sidelobe와 crosscorrelation을 1이하로 유지하며 사용하는 파장 수의 제곱에 해 당하는 wavelength-time codeword를 생성 할 수 있으며 $P_t$ = 5 와 $P_t$ = 7 일 때는 crosscorrelation을 1이하로 유지하면서 $P_w$개의 wavelength-time codeword에 대해서 autocorrelation sidelobe를 2이하로 제한하는 범위에서 역시 사용하는 파장 수의 제곱에 해당하는 wavelength-time codeword를 생성할 수 있다.

Mastication에 의한 Polystyrene의 機械的分裂 (Mechanical Degradation of Polystyrene by Mastication)

  • 정기현;성좌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8-305
    • /
    • 1973
  • Roll을 사용한 mastication에 의한 polystyrene(단독시와 rubber와의 blend시)의 기계적 분열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olystyrene 단독시의 기계적 분열속도는 Goto가 밝힌 중합도$(P_t-P_{\infty})$에 관하여 2차인 다음식에 적합함을 알았다. $-\frac{dP_t}{dt} = k_s(P_t-P_{\infty})^2$2 2)Polystyrene-rubber (SBR, BR) blend계에서 polystyrene성분의 분열은 단독시와 비스하게 일어났다. 3)본 실험 조건하에서 polystyrene-rubber (SBR, BR) blend계에서, polystyrene성분의 분열속도도 단독시와 같이 상기한 2차식에 근사적으로 적합됨을 알았다.

  • PDF

식물을 이용한 오수의 고도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vanced Treatment of Wastewater by Plants)

  • 이용두;김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5-81
    • /
    • 1999
  • In recent years increasing production and disposal of wastewater have caused an accelerated eutrophication of receiving waters. Therefore, in order to alleviate the detrimental impact of wastewater discharg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moving the main nutrients, nitrogen and phosphorus, as well as the organic content of the waste water prior to disposal. This is effectively achieved by extended conventional treatment technology. However, the working expenses and energy requirements of such advanced treatment systems are rather high. So in a sparsely populated rural community is required development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mbined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systems are planted with Reeds and Amaryllis In A.C and estimated purification potential of system.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BOD removal rate is 20% in the early stage, the last removal rate is 35% in A.C process and is 65% in Amaryllis+A.C process and is 50% in Reed+A.C process. T-N removal rate by Amaryllis is average 2.6g/$m^3$ㆍd, T-N removal rate by Reed is average 1.76g/$m^3$ㆍd. T-P removal rate by Amaryllis is average 0.27g/$m^3$ㆍd, T-P removal rate by Reed is average 0.25g/$m^3$ㆍd. BOD removal rate constant with retention time is 1.4494(1/d), T-N removal rate constant is 0.5428(1/d), T-P removal rate constant is 0.5287(1/d).

  • PDF

평사에서의 한국재래닭 적정사육수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Stocking Density for Korean Native Chicken Production)

  • 나재천;서옥석;강보석;김학규;김상호;이상진;하정기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49-156
    • /
    • 1999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stocking density for Korean Native Chicke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810 Korean Native Chickens for 16weeks from April 22. 1987 to August 11. 1987. The chickens were housed in pens with varying stocking densities; T1(20 birds per 3.3$m^2$), T2(30 birds per 3.3$m^2$), T3(40 birds per 3.3$m^2$), T4(50 birds per 3.3$m^2$), T5(60 birds per 3.3$m^2$) and T6(70 birds per 3.3$m^2$). Each treatment contained three replicates. At the end of the trial, the average body weight of T1 was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at of T5 (P<0.05),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fed intake. The feed conversion of T3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of T5(P<0.05), and the viability of T1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with that of T5, T1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number, whereas T5 the lowest one.

호주 일 지역의 병원 자원봉사활동 실태와 만족도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y in Australian Hospital)

  • 박금자;최해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9권1호
    • /
    • pp.17-29
    • /
    • 2006
  • 목적: 호주 일 지역의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실제 환자들에게 시행하고 있는 활동내용과 그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101명의 자가보고 질문지에 의해 자료수집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결과: 1. 병원에서의 봉사활동경력은 $5{\sim}10$년이 32.7%, 10년 이상이 30.7%, $2{\sim}3$년이 11.9%, $3{\sim}5$년이 10.9%의 순이었다. 주요 봉사활동 형태는 신체적 간호가 32.7%, 신체 및 정서적 간호가 14.9%, 기타가 18.8%의 순이었다. 봉사업무할당 방법은 봉사활동 조정자에 의해서가 55.7%, 봉사자의 뜻에 따라서와 봉사자와 조정자의 합의에 의해서가 각각 20.5%의 순이었다. 봉사활동을 하는 주요 이유는 아픈 사람을 돕고 싶어서가 61.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여가시간을 선용하기 위해서가 22.8%였다. 봉사활동을 시작하게 된 경로는 자신의 조사에 의해서가 43.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다른 봉사자로부터 듣고서가 30.7%, 대중매체로부터가 13.1%의 순이었다. 봉사활동관련 교육을 받은 여부는 받았다가 80.2%였다. 봉사활동업무가 자신의 기술과 기능에 맞는 정도는 아주 잘 맞는다가 74.0%였고, 다음은 대체로 맞는다가 18.0%로 대체로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에 대해 받는 보상은 토큰이나 점심 혹은 집단 소풍이 3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토큰과 점심이나 집단 소풍이 각각 19.8%였다. 봉사활동에 대한 평가빈도는 이따금이 37.2%, 자주가 30.9%, 항상이 17.0%, 전혀 안 함이 14.9%의 순이었다. 봉사활동조정자와 관계는 매우 좋다가 85.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른 봉사자와의 관계는 매우 좋다가 81.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병원직원과의 관계는 매우 좋다가 69.7%였고, 다음은 대체로 좋다가 21.2%의 순이었다. 봉사활동에 대해 가족이나 친구의 지지는 어떠한가는 매우 좋다가 83.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평점 $3.09{\pm}0.49$(도구범위 $1{\sim}4$점)로 중간정도이었다.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사회적 접촉영역($3.48{\pm}0.61$)이었고, 다음은 성취영역($3.43{\pm}0.53$), 사회적 인정영역($3.35{\pm}0.70$)의 순이었다.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영역은 사회적 교환영역($1.65{\pm}0.63$)이었다. 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t=2.038, P=0.044), 결혼상태(F=3.806, P=0.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 실태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병원봉사활동기간(F=3.326, P=0.008), 봉사활동을 하는 주된 이유(F=2.707, P=0.035), 봉사활동을 위한 교육을 받은 여부(t=-1.982, P=0.050), 봉사활동의 평가 빈도(F=7.877, P=0.000), 봉사활동이 자신의 기술이나 능력에 적합도(F=2.712, P=0.049), 관리자와의 관계(t=-2.517, P=0.013), 다른 병원직원과의 관계(F=5.202, P=0.007), 자원봉사자로서의 활동에 대해 가족이나 친지로부터의 지지(t=-3.394, P=0.001)에 따라 봉사활동 만족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중간정도이었고, 봉사활동 만족도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는 성별(t=2.038, P=0.044), 결혼상태(F=3.806, P=0.01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원봉사활동 실태에 따라서는 병원봉사활동기간(F=3.326, P=0.008), 봉사활동을 하는 주된 이유(F=2.707, P=0.035), 봉사활동을 위한 교육을 받은 여부(t=-1.982, P=0.030), 봉사활동의 평가 빈도(F=7.877, P=0.000), 봉사활동이 자신의 기술이나 능력에 적합도(F=2.712, P=0.049), 관리자와의 관계(t=-2.517, P=0.013), 다른 병원직원과의 관계(F=5.202, P=0.007), 자원봉사자로서의 활동에 대해 가족이나 친지로부터의 지지(t=-3.394, 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를 관리할 때에 위의 요인들을 고려할 것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Improved Reproductive Efficiency in Gilts by Intrauterine Infusion of Killed Boar Semen before Breeding

  • Capitan, Severino S.;Penalba, F.F.;Geromo, F.B.;Dalumpienes, J.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789-792
    • /
    • 2006
  • Two separate trial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uterine priming prior to first breeding and quantify any changes in the reproductive efficiency of gilts. In trial I twelve (12) gil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treatments:T1:infusion of distilled water (control), T2: single infusion of killed semen (KS1), and T3: double infusion of killed semen (KS2). Each treatment had 4 breeding gilts which were bred by natural insemination (NI). In trial II, another set of 12 breeding gilts were randomly allotted to the same treatments and were subsequently bred by artificial insemination (AI). Infusions, through the use of AI catheters, were done during the $2^{nd}$ estrous cycle for T1 and T2, whereas infusions for T3 were made during the $1^{st}$ and $2^{nd}$ cycles. Regular breeding was subsequently made during the $3^{rd}$ estrous cycle. All gilts that returned to cycle were rebred within the 30-day period. In trial I (natural breeding), total piglets born was higher (p<0.05) in T2 (12.75 piglets) and T3 (11.75 piglets) than in the control (10.5 piglets). T3 obtained the highest (p<0.05) litter size (10.25 piglets) and heaviest litter weight (74.12 kg) at 28 days weaning, followed by T2 (9.80 piglets and 65.0 kg, respectively). The control yielded the lowest (p<0.05) litter size (7.50) and the lightest litter weight (47.00 kg) at weaning. For Trial II gilts (artificially inseminated), T3 gave higher (p<0.05) litter size born alive (10.88 piglets), total piglets born (11.72 piglets) and live litter weight at birth (15.30 kg) than those of T2 and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breeding intrauterine infusion of killed boar semen, either single or double, improved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gilts.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하악과두 위치변화 분석 (EVALUATION OF CONDYLAR POSITION USING COMPUTED TOMOGRAPH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최강영;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70-593
    • /
    • 1996
  • 본교실에서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0명(남자 9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와 술전, 술직후,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 및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재발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 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거리(MM')는 $84.45{\pm}4.01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1.89%5.1 $9^{\circ}$좌측 $11.65{\pm}2.09^{\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2mm, 내측점은 7m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3{\pm}3.96mm$ 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8.12{\pm}3.43^{\circ}$ 좌측 $78.09{\pm}6.12^{\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 2. 술전후 과두위치 변화(T2C-T1C)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관찰에 따른 회귀성향(TLC-T2C)에서는 LMD, LLD(p<0.05), RLD, RMD(p<0.01), mm'(P<0.001)는 모두 감소하였다. 3. 측면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술직후와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T3-T2)에서 하악의 초기재발은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으며(p>0.05) 하악전치의 경우만 평균 0.33mm 전방이동하였다(p<0.05). NN'L1, NN'Pog, NN'Gn, NN'Me, over-jet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NN'Ll 1.2%, NN'B 5.0%, NN'Pog 2.0%, NN'Gn 9.1%, NN'Me 10.3%의 총재발량을 보였다. 4. 하악골의 술전, 술후 변화량(T2-T1)이 총재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하악골 변화량(T2-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과 총재발량(TL-T2),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와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그리고 술전 하악골 외형(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에 대하여 단순 및 복잡회귀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총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재발(NN'Ll, NN'8, NN'Pog, NN'Gn, NN'Me)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좌측과두에서는 NN'Ll, NN'Me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7,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술전 하악골외형(T1)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좌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수직고경이 크며, 전돌된 양상으로 나타났다(p<0.05) . 8. 술전 하악골 외형(T1)이 총 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NN'L1, NN'B, NN'Gn, NN'Me, over-jet 둥의 계측점에서 하악골이 전돌된 양상을 보일수록 NN'B에서의 총재발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 수평피개량(over-jet)이 클수록 NN'B, NN'Pog, NN'Gn, NN'Me에서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과두보존술을 이용하여 과두를 안정화시키고 난후 악골 형태를 재구성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생기는 하악과두 이동은 미미하여 술후 재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