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cell mitogen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1초

T-2 Toxin이 병아리 비장세포의 유전질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2 Toxin on the Mitogen-Induced Blastogenesis in Chick Splenic Cell)

  • 전향숙;정덕화;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5-589
    • /
    • 1994
  • 시험관 내에서 T-2 toxin이 병아리 비장세포의 blastogenesi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B-cell mitogen인 lipopolysaccharide 및 T-cell mitogen인 concanavalin A 자극에 대해 T-2 tox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출시기를 달리하여 T-2 toxin을 투여한 병아리의 비장세포에서 mitogen 자극에 내한 반응을 안아 본 결과, 부화하기 전과 후에 계속 T-2 toxin에 노출시킨 실험군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화전 혹은 부화후 어느 한 시기에만 T-2 toxin에 노출된 실험군은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almonella typhimurium lipid A를 처리한 식세포 존재 조건에서 mitogen에 유도되는 이자 세포의 증식억제 (Lipid A of Salmonella typhimurium Suppressed T-cell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Murine spleen Cells in the Presence of Macrophage)

  • 강경숙;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07
  •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는 생쥐에 감염되는 Salmonella typhimurium를 모델로 연구되고 있으며, 생쥐에 있어서 S. typhimurium의 감염은 이자세포의 증식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typhimurium lipid A의 처리가 T세포 mitogen에 의한 이자 세포의 증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를 in vitro와 ex vivo조건에서 알아 보았다. Lipid A 단독 처리는 이자 세포의 증식을 보였으나, lipid A 처리 후 T 세포 mitogen인 concanavalin A (Con A)와 phytohemagglutinin (PHA)에 의한 in vitro와 ex vivo 조건에서의 이차 처리는 오히려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로부터 분리한 이자 세포에서 대식세포를 제거하였을 조건에서는 T 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대식세포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T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를 증가하면서 Lipid A를 주사하지 않은 생쥐에서 얻은 이자세포와 혼합 배양하였을 때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가 높을수록 Con A와 PHA에 의한 증식억제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n A와 PHA의 이자세포 증식 기능이 lipid A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직접적인 접촉 작용으로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억제에 관여하는 대식세포 표면분자를 밝히는 것이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Mitogen 투여에 대한 잉어 순환혈액 림프구의 반응 (The response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against in vivo stimulation with mitogen in carp, Cyprinus carpio)

  • 조미영;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5-109
    • /
    • 1996
  • 잉어의 순환혈액 림프구의 기능적 분화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포유류를 기준으로한 T 림프구 또는 B 림프구 mitogen인 Con A, PHA 및 LPS와 비특이적 면역 증강제로 Mycobacterium bovis의 약독 균주인 BCG를 각각 잉어, Cyprinus carpio의 복강 내로 주사한 후 시간 경과별 순환혈액 림프구의 수적인 변화와 DNA량의 변화를 조사하고 로젯형성 반응을 실시하였다. mitogen 투여 결과 림프구수와 DNA량 모두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mitogen 투여 후 1주와 2주째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BCG와 Con A 투여구가 PHA나 LPS 투여구에 비해 자극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었다. 또, 동일한 mitogen의 반복 투여에 비해 T cell과 B cell mitogen을 교차 투여한 실험구의 림프구 자극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로젯형성 반응 결과 BCG와 PHA 반복 투여구의 로젯형성 세포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잉어의 순환혈액내에 기능적으로 분화된 서로 다른 림프구가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 PDF

핵 내에서 분리한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의 Transcription Factor에 대한 인산화 (Phosphorylation of Transcriptional Factor by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Purified from Nucleus)

  • 김윤석;김소영;김태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5-185
    • /
    • 1996
  • 모든 진핵세포에 존재하며 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주로 관계되는 신호전달물질의 하나인 Mitogen-activated protein(MAP)kinase의 mitogen에 의한 핵내 활성화와 기질 인산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P388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이 첨가된 DMEM배지에 배양한 후,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배지에서 24시간 더 배양하고 serum 및 PM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성 장을 위한 최적 농도를 확인한 결과 serum은 5-20% 농도에서 세포성장을 촉진시켰고 PMA는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성장을 거의 촉진시키지 못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어 P388 세포를 serum 및 PMA로 10 분간 활성화하여 파쇄한후 세포질분획과 핵분획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을 10% gel 상에서 전기영동 하여 nitrocellulose paper에 옳긴 후 anti-ERKI antibody를 이용해 확인해본 결과 serum, PMA로 처리된 세포 모두에서 MAP kinase의 핵내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세포질 내에 주로 존재하는 42, 44 Kd의 MAP kinase isoform중 42 Kd의 isoform이 주로 핵내로 이동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MAP kinase의 기질인산화 실험을 위해 serum으로 활성화시킨 세포를 파쇄하여 SP-sephadex C-50, Phenyl superose, Mono Q column의 순서로 chromatography를 시 행하여 MAP kinase를 부분분리 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MAP kinase를 가지고 면역 T세포에 존재하는 tyrosine kinase인 $p56^{lck}$ 의 N-terminal peptide로 구성된 GST-fusion protein에 대한 인산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에서 분리한 MAP kinase를 가지고 transcription factor의 하나인 c-Jun protein에 대한 인산화실험을 실시한 결과 MAP kinase에 의해 인산화 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P388세포는 (1)세포 성장시 외부 신호를 G-protein-coupled receptor/protein kinase C/MAP kinase의 경로보다는 주로 tyrosine kinase receptor protein/Ras/MAP kinase의 경로를 이용하여 핵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추측되 며 (2) mitogen의 처리로 활성화된 MAP kinase중 주로 42 Kd isoform이 핵내로 이동하고, 분리한 MAP kinase가 GST-fusion protein과 transcription factor인 c-Jun을 모두 인산화 시키는 결과로 보아 MAP kinase의 isoform에 따라 표적 compartment가 다르고 결과적으로 표적 기질에 차이가 있을지 모른다고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 PDF

Changes of Cytokine and Chemokine mRNA Expression in Whole Blood Cells from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fter T-Cell Mitogen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Specific Antigen Stimulation

  • Kim, Sunghyun;Park, Sangjung;Lee, Hye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2-167
    • /
    • 2014
  • Tuberculosis (TB) is one of the major global health problems and it has been estimated that in 5~10%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infected individuals, the infection progresses to an active disease. Numerous cytokines and chemokines regulate immunological responses at cellular level including stimulation and recruitment of wide range of cells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eight host immune markers containing of IFN-${\gamma}$, TNF-${\alpha}$, IL-2R, IL-4, IL-10, CXCL9, CXCL10, and CXCL11 in whole blood cells from active pulmonary TB patients were measured after T-cell mitogen (PHA) and MTB specific antigens (ESAT-6, CFP-10, and TB7.7). Among the TH1-type factors, IFN-${\gamma}$ mRNA expression was peaked at 4 h, TNF-${\alpha}$ and IL-2R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 at the late time points (24 h) in active TB patients, TH2-type cytokine (IL4 and IL10) mRNA expression levels in both active TB and healthy controls sampl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 mRNA expression of the three IFN-${\gamma}$-induced chemokines (CXCL9, CXCL10, and CXCL11) were peaked at the late time points (24 h) in active TB patients after MTB specific antigen stimulation. In conclusion, the mRNA expression patterns of the TB-related immune markers in response to the T-cell mitogen (PHA) differed from those in response to MTB specific antigens and these findings ma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TB infection and host immune markers in a transcripts level.

Naegleria 수막뇌염에 있어 세포매개성 면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Imrnunodepression during experimental Naegzeria meningoencephalitis in mice)

  • 임경일;유재숙;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95-198
    • /
    • 1987
  •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Naegleria fowleri를 마우스에 감염시키고 그 급성기에 일어나는 세포 매개성 면역 반응 특히 T림프구 mitogen인 con. A 및 B림프구 mitogen인 lipopolysaccharide에 대한 마우스 비장세포의 배자 발생 정도를 관찰하였다.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에서 T림프구의 기능은 관찰기간인 감염 14일후까지 떨어져 있어다. B림프구의 기능도 감염 3일후부터 14일후까지 계속 떨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내 형광항체가는 1 : 4 내지 1 : 32였다. N. fowleri에 감염된 마우스에서 그 급성기에 세포 매개성 면역이 저하되어 있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기니픽그에서의 실험적 trichothecene (T-2) 독소중독증 (Experimental Trichothecene (T-2) Toxicosis in Guinea pigs)

  • 김종수;박응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3-440
    • /
    • 1991
  • Guinea pigs were administrated with T-2 toxin at a rate of 1 and 0.6mg/kg body weight per day for 21 days to study the immunological and pathological effects of T-2 toxin in guinea pigs. Blood was collected before T-2 treatment and on days 7, 14 and 21 of the trial for hematological and biological examinations and for the mitogen assay using lymphocytes. Myeloid: erythroid ratios were examined from the fernur bone marrow samples taken a day before T-2 toxin treatment began, on day 12 and at death. Guinea pigs received with 1mg/kg body weight of T-2 toxin daily showed leukopenic, lymphopenic and anemic signs on day 7 and 14. The mitogenic responses to the T-cell mitogen, Concanavalin A and B-cell mitogens, lipopolysaccharide were significantly depressed on day 7. Histologically, marked cellular damages including karyorrhexis and depletion of lymphocytes were observed in the actively dividing cell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lymph node, spleen and bone marrow of guinea pigs.

  • PDF

Immunosuppressive Effects of Safrole in BALB/c Mice

  • Kim, Byung-Sam;Jeong, Tae-Cheon;Choe, Suck-Young;Yang, Kyu-Hw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91-203
    • /
    • 1992
  • The immunosuppressive effects of safrole were studied in female BALB/c mouse. Mice were given 100,200and 400mg safrole/kg daily for 14days and evaluated on day 15. The day 4 immunogloblin-M antibody response to T-dependent antigen, sheep red blood cells (SRBC) was inhibited dose-dependently in all doses studied. In vitro antibody response to polyclonal antigen, lipopolysaccharide (LPS) by spleen cell suspensions from safrole-treated mice wer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When safrole was treated for 14days to mice, and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were assayed on day 15, there were significant suppression of responses to B-cell mitogen, LPS and T-cell mitogen concanavalin A(Con A) at a dose of 400mg safrole/kg. Direct addition of safrole on the splenocyte culture also produced a dose dependent suppression on in vitro antibody response to LPS, and mitogen-induced lymphoproliferatin at doses of 100,200,400 and 800${\mu}M$ safrole. The role of metabolic activation in safrole-induced suppression of in vitro antibody response was studied using splenocyte-hepatocyte coculture system. The suppression of in vitro antibody respose to LPS by safrole was not altered when safrole were incubated in the splenocyte-hepatocyte system for 4hr as compared with direct addition of safrole in splenocytes culture. Neither the addition of salicylamide, sulfotransferase inhibitor, nor the addation of inorganic sulfate, sulfation cofactor to the splenocyte-hepatocyte coculture, altered the suppression of antibody response by safro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munosuppression by safrole may not by produced by the reactive metabolites which are mediated in carcinogenesis of safrole.

  • PD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 mediates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induced apoptosis in Jurkat T cells.

  • Kwon, Myung-Ja;Jeong, Kyu-Shik;Choi, Eun-Jeong;Lee, Byung-H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75.3-76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ssociated pathways in medi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induced cell apoptosis in cultured Jurkat T cells. TCDD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0.05 at 10-300 nM). TCDD (10 nM) also time-depende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p<0.05 at 12-48 h). c-Jun NH$_2$-terminal kinase was significantly phosphorylated with TCDD treatment in a time dependent manner. (omitted)

  • PDF

In vitro에서 Levamisole이 양식뱀장어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vamisole on Immunomodulation of Eels (Anguilla japonica) In Vitro)

  • 최민순;박관하;정경민;심현빈;윤성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23
    • /
    • 1999
  • Levamisloe(LMS)이 뱀장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뱀장어의 혈액 및 신장으로부터 백혈구를 분리하여, 림프구의 증식능, MIF 생산능, 자연살해세포활성능, 탐식세포의 탐식능, 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및 lysozyme 활성능 등을 측정하였다. LMS는 T-cell 마이토젠인 Con A 및 PHA 처리시에는 LMS 농도에 비례감소를 보인 반면에 B-cell 마이토젠인 LPS에는 LMS 처리와는 무관하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MIF 및 MAF의 생성에는 LMS 처리 농도에 비례 증가되었다. NK 세포의 활성은 LMS 첨가농도에 비례 증가하였는데, 이는 표적세포에 대한 결합율을 증가시킨 결과 NK 세포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 LMS는 백혈구의 탐식능, superoxide anion의 생성능, hydrogen peroxide 생성능 및 Iysozym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LMS가 어체의 면역작용에 관여하는 작용기전은 면역 작동세포수의 증가를 촉진시키기보다는 분화를 촉진시켜서 cytokine의 방출증가 및 세포의 기능활성을 증강시킴을 알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