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 score

검색결과 4,253건 처리시간 0.029초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양상 및 기능변화에 관한 추적연구 (Follow - up Study on Functional Change and Aspect of Physical Therapy in Stroke Patients)

  • 이승주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2호
    • /
    • pp.41-55
    • /
    • 1998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퇴원 후 1개월까지의 물리치료양상 및 기능변화와 이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1998년 1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약 5개월 간 부산시, 대구시, 구미시 및 안동시 등에 소재하고 있는 1개 병원에서 물리치료를 시작한 뇌졸중환자 87명을 대상으로 물리치료를 시작한 시점, 1개월 후, 퇴원 시, 그리고 퇴원 후 1개월이 지난 시점까지 추적하여 기능변화를 평가하였다.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는 26.32였고, PS점수는 11.34이었다. 물리치료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할 때 입원 1개월 후의 81점수 변화는 평균 16.61(p<0.001). 퇴원 시는 33.51(p<0.001), 퇴원 1개월 후는 43.56 만큼 호전되었다(p<0.001). PS점수도 각각 -2.1, -3.94, 그리고 -5,52만큼 호전되었다(p<0.001). 그리고 퇴원시에 비해 퇴원 후의 변화도 81점수는 10.06만큼, PS점수는 -1.51만큼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p<0.001). 물리치료 시작시점과 회원시의 BI점수 변화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와 연령이었는데(p<0.05), 시작시점의 BI점수가 낮고 연령이 낮을수록 기능호전이 컸다.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변화는 시작시점의 BI점수. 퇴원시의 BI점수, 종교유무가 유의하게 관련이 이었다(p<0.05). 즉, 종교를 믿고 있거나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가 낮고 퇴원시의 BI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호전이 컸다. 퇴원 시와 1개월 후에는 퇴원시의 BI점수와 종교유무였는데, 퇴원시의 BI점수가 낮고 종교를 믿는 환자에서 기능호전이 유의하게 컸다.(p<0.05). 물리치료 시작시점과 퇴원시의 PS점수 변화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PS점수였는데(p<0.05), 시작시점의 PS점수가 높을수록 기능호전이 컸다. 시작시점과 종료시점사이는 시작시점의 PS점수, 퇴원시의 PS점수,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았는지의 여부 등이었다(p<0.05). 즉, 시작시점의 PS점수가 높고, 퇴원시의 PS점수는 낮으면서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은 환자가 기능호전이 켰다. 퇴원 시와 1개월 후에는 퇴원시의 PS접수가 높고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을수록 기능호전이 유의하게 컸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 효과를 BI점수로 평가하면 물리치료 시작시점 및 퇴원시의 BI점수, 연령 및 종교유무가 중요한 요인이고, PS점수로 평가하면 시작시점 및 퇴원시의 PS점수와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 PDF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골밀도 변화와 관련 인자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after Pelvic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 이순신;정태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5-22
    • /
    • 2009
  • 목적: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 부위인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에서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한 부위와 원격 부위의 골밀도 양상 및 골밀도 관련 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골반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외래에서 추적 관찰하면서 2002년 1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골밀도 검사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중 96명을 대상으로 제 1 요추부위,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 전체 부위에서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각 평균치가 각 부위별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환자군의 특성과 관련하여 연령, 체중, 체질량 지수(BMI), 방사선 치료 종료 후 골밀도 검사일까지의 경과 기간, 자궁강내 근접치료(ICR) 추가 유무, 여성 호르몬 치료(HRT) 여부에 따른 T-score와의 관계를 각 부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대의 각 부위별 T-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94, 제 4 요추부위가 -0.42, 대퇴골 경부 전체가 -0.53이었고 각 부위별 Z-score의 평균치는 제 1 요추부위가 -1.11, 제 4 요추부위가 -0.40, 대퇴골 경부 전체가 -0.48이었다. 제 4 요추부위 및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는 제 1 요추부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제4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0세 미만의 연령군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각 부위별 T-score 모두에서 연령, ICR 여부 변수에 대해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5), 체중, HRT 여부 변수에 대해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체질량 지수에 대해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각 변수들이 각 부위별 T-score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 회귀 분석에서 연령은 제 1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으나(p<0.05) 제 4 요추부위와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체중은 각 부위 모두에서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ICR 여부 변수는 제 1 요추부위의 T-score와만 유의한 음의 연관을 보였다(p<0.05). HRT 여부 변수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유의한 양의 연관을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제 4 요추부위와 대퇴골 경부의 T-score와 Z-score가 제 1 요추부위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는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각 부위 간의 의미있는 차이에 대해서 노화나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범위에 인접하거나 포함된 부위에서 더 높은 T-score와 Z-score를 보인 점에서 그 중 방사선의 영향도 부분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선 치료 환자군의 골밀도 특성의 임상적인 의미에 대한 장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 환자에서 골밀도 검사에 의한 골다공증의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통으로 한방치료중인 폐경 후 여성의 대사증후군 요인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on Post Menopausal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Und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 이종덕;김동웅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8-123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April, 2007 to August, 2012 with female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for and suffering from chronic lumbar pain for periods of 6 months and over. The 53 femal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by having a T-Score of <-2.5 in a bone mineral density(BMD), as well as showing signs of metabolic syndrome. This was deduced by taking measurements of blood pressure, carrying out blood-chemical examinations and physical measurements such as weight, height, waist measurement and body mass index(BMI). After 5 minutes rest, the patient's blood pressure,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BMI was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BMI = weight (Kg)/height ($m^2$). The patients had their blood taken in a fasted state(more than 12hours), the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were measured. The average BMD and T-score were calculated by measuring BMD(mg/cc) of L1-L3 using QCT. In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hysical examinations, clinical character of metabolic syndrome and T-score, the result showed that age and T-score had a negative correlation(r=-0.699, p<0.01) as did triglyceride and T-score (r=-0.047, p<0.01), where as weight(r=0.239, p<0.05) and height(r-=0.329, p<0.01) and T-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blood sugar, blood pressure and T-sc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weight, height and T-score.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blood sugar, blood pressure and T-score and that these did not influence bone density. Further research with more subjects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of clinical character of metabolic syndrome and T-score.

DEXA 측정기 간 골밀도 값 비교 (Comparison of the Values of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DEXAs)

  • 이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271-276
    • /
    • 2011
  • 산부인과에서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5월 30일까지 5개월간 Lunar 장비와 Hologic 장비를 사용하여 골밀도 검사를 한 환자를 40, 50, 60대 각각 50, 100, 50명 각 200명, 400명에 대한 척추 L1-L4의 T-score값을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정상인 4명을 두 장비에 같은 날 골밀도 검사를 한 결과와 비교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장비로 검사한 평균 연령은 54.5세와 54.4세로 차이는 없었다. 이때 T-score는 Lunar 장비가 $-1.377{\pm}1.221$이며, Hologic 장비는 $-1.806{\pm}1.123$으로 Lunar 장비의 T-score가 높게 측정이 되었다. 두 장비 간 유의수준은 P=0.000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HO의 기준에 맞추어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해 본 결과 Lunar 장비로 검사한 경우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가 35%로 많은 반면 Hologic 장비로 검사한 경우는 골다공증으로 판정된 경우가 28%로 많았다. 이에 정상인 4명을 동일 장비에 검사한 경우 L1-L4의 T-score 값을 비교해 본 결과 Lunar 장비에서 T-score는 $-0.4{\pm}1.192$, Hologic 장비는 $-1.1{\pm}1.030$으로 나타나 역시 Lunar 장비의 T-score 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두 측정기 간 T-score 값이 다르므로 보정인자를 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경과에 따른 기능변화와 관련요인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Change and Related Factors in Stroke Patients)

  • 이승주;예민해;천병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1호
    • /
    • pp.7-21
    • /
    • 1998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퇴윈 후 1개월까지의 물리치료 양상 및 기능변화와 이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1996년 11월 1일 부티 1997년 3월 31일까지 약 4개월 간 부산시 및 대구시, 안동시 등에 소재하고 있는 10개 병원에서 물리치료를 시작한 뇌졸중환자 101명을 대상으로 물리치료를 시작한 시점. 1개월 후, 퇴원 시, 그리고 퇴원 후 1개월이 지난 시점까지 추적하여 기능변화를 평가하였다.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 시작 시점의 BI점수는 $27.18\pm23.7$이었고, PS점수는 $17.54\pm4.33$이었다. 물리치료 시작시점을 기준으로 할 때 입원 1개월 후의 BI점수 변화는 평균 21.39(P<0.001), 퇴원시는 37.47(P<0.001), 퇴원 1개월 후는 46.49 만큼 호전되었다(P<0.001). PS점수도 각각 -2.02, -4.52, 리고 -6.26만큼 호전되었다(P<0.001). 그리고 퇴원시에 비해 퇴원후의 변화도 BI점수는 9.01만큼, PS점수는 -1.73만큼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물리치료 시작시점과 퇴원 시의 BI점수 변화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와 연령으로 (p<0.05),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가 낮고 연령이 40세 미만에서 기능호전이 컸다. 물리치료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BI점수의 변화는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았는지의 여부, 연령 그리고 수술여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p<0.05). 즉, 무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가 낮고,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은 환자, 연령 40세 미만에, 그리고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에서 기능호전이 컸다. 퇴원시와 퇴원 1개월 후의 BI점수 변화와 관련 있는 변수는 퇴원시의 BI점수, 마비부위, 종교유무 이었는데, 퇴원시의 BI점수가 낮고 좌측마비환자이며 종교를 믿는 환자의 기능호전이 유의하게 컸다(p<0.05). 물리치료 시작시점과 퇴원시의 PS점수 변화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PS점수와 연령이었는데(p<0.05),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PS점수가 높고 40세 미만에서 기능호전이 컸다. 물리치료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의 PS점수 변화와 관련 있는 분수는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PS점수,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았는지의 여부, 연령, 교육수준, 퇴원 후 물리치료 받은 기간, 수술여부 등이었다.(p<0.05). 즉,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PS점수가 높고,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 받은 환자, 연령이 40세 미만, 학력이 높을수록, 퇴원 후 물리치료 받은 기간이 짧은 환자, 그리고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에서 기능호전이 컸다. 퇴원시와 퇴원 1개월 후의 PS점수의 변화는 퇴원시 PS점수가 높고, 학력이 높을수록, 퇴원 1개월 후에 적극적으로 물리치료를 받은 환자, 그리고 퇴원 후 물리치료 기간이 짧고, 남자에서 기능호전이 유의하게 컸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뇌졸중환자의 물리치료 효과를 BI점수로 평가하면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BI점수와 연령이 중요한 요인이고, PS점수로 평가하면 역시 물리치료 시작시점의 PS점수와 연령 그리고 교육수준이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 PDF

DXA를 이용한 전완부와 요추부 골밀도 검사의 보정계수 및 상관관계 연구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orrection factor of BMD in Forearm and Lumbar with DXA)

  • 한만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551-556
    • /
    • 2013
  • 전완부와 요추부의 골밀도 검사를 통해 얻은 골밀도 값, T-score 와 Z-score 수치간의 상관관계 및 보정함수를 구해 어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하는데 목적이 있다. 환자 66명은 연령별로 11명씩 20대에서 70대까지 환자들로 구성하였고 측정된 전완부와 요추부의 골밀도와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세가지 사항들에 대해 각각 상관관계가 있는지 평가하고 그 상관관계를 구하여 보정계수를 찾는다. 골밀도의 상관계수는 R=0.769 이고 보정계수 식은 Y=1.541X + 0.133 이다. T-score의 상관계수는 R=0.768 이고 보정계수식은 Y=0.715X - 0.4 이다. Z-score의 상관계수는 R=0.635 보정계수식은 Y=0.751X - 0.162 이다. 상관관계와 보정계수식를 통해 어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Psychological Factors on Sleep Disturbances in Young Adults

  • Park, Hye Soo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nfluences of psychological factors on sleep disturbances in young adults through the revised version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2). Methods: Two hundred and ninety nine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completed the MMPI-2 and a questionnaire related to sleep disturbanc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odds of tooth grinding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score of hysteria (Hy) scale. The increase of T-score of hypomania (Ma) and social introversion (Si) scal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risk of insomnia. The occurrence of insomnia increased significantly as T-score of somatic complaints (RC1) and psychoticism (PSYC) scale increased. The odds of tooth grinding increased significantly as T-score of anxiety (ANX) and family problems (FAM) scale increased. The occurrence of insomnia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score of type A behavior (TPA) scale. The increase of T-score of dominance (Do) scal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risk of tooth clenching. The odds of tooth grinding decreased significantly as T-score of MacAndrew alcoholism-revised (MAC-R) scale increased, whereas it increased significantly as T-score of addiction potential scale (APS) increased. No scale of MMPI-2 significantly affected the occurrence of snoring. Conclusions: T-scores of Hy, ANX, FAM, Do, MAC-R, and APS scales on MMPI-2 affected the risk of bruxism. T-scores of Ma, Si, RC1, PSYC, and TPA scales on MMPI-2 influenced the occurrence of insomnia. The psychometric instrument such as MMPI-2 is helpful in understanding and managing bruxism and insomnia.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BMD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 분석 (The Study of Technical Error Analysis on BMD Using DEXA)

  • 강영한;조광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4호
    • /
    • pp.229-236
    • /
    • 2006
  • 연구목적: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고,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환자 정보(연령, 체중, 신장, 폐경연령) 입력 오류와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 설정에 대한 오류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환자정보 입력 오류는 연령과 폐경연령을 5살, 10살 많게 또는 적게 입력하고, 신장과 체중도 동일한 조건으로 증감하며 입력하여 척추팬텀으로 각각 10회씩 스캔하였다. ROI 설정 오류는 폐경기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스캔을 실시하여 요추부, 고관절부, 전완으로 나누어 ROI를 변화시키며 $BMD(g/cm^2)$, T-score 값을 얻었고, 각각의 결과 값으로 정밀도 1%를 적용하여 평균에 대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연령과 신장, 체중 폐경연령에 대한 환자 정보 입력 오류는 정밀도 1%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ROI 설정 오류는 요추부 ROI 설정 시 ROI 기준선을 좌우 1 cm, 2 cm 좁혔을 때 평균 $0.006\;g/cm^2$, 0.1 그리고 $0.021\;g/cm^2$, 0.15 감소하였다. 제 12흉추를 포함하였을 때 $BMD(g/cm^2)$와 T-score는 평균 $0.063\;g/cm^2$, 0.3 감소하였고, 제 5번 요추를 포함하였을 때 각각 $0.077\;g/cm^2$, 0.5 증가하였다. 고관절 관심영역을 대퇴골두 위쪽 또는 좌측으로 0.5 cm 이동하였을 때의 결과 값은 평균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소전자 아래쪽 0.5 cm, 1 cm 이동하였을 때의 $BMD(g/cm^2)$와 T-score는 $0.031\;g/cm^2$, 0.3 그리고 $0.094\;g/cm^2$, 0.65로 증가하였다. 전완의 관심영역을 수근부 아래쪽, 위쪽으로 1 cm으로 이동하였을 때 $BMD(g/cm^2)$와 T-score는 $0.042\;g/cm^2$, 0.9 감소 또는 $0.096\;g/cm^2$, 0.40 증가하였다. 좌우 기준선이 1 cm, 2 cm 넓어질 때 $BMD(g/cm^2)$, T-Score는 평균 $0.008\;g/cm^2$, 0.1 증가 또는 $0.021\;g/cm^2$, 0.3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골밀도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는 다양하며, 오류에 따라 정상 BMD 값과 T-score에 변동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정보 입력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연령과 체중, 신장, 폐경 연령에 따른 입력오류는 BMD와 T-score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반적 골밀도 검사 시에는 중요한 요소이다. ROI 지정 오류 시에는 BMD 값과 T-score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확한 골밀도 검사를 위해서는 환자 정보에 대해서도 자세한 파악이 있어야 하겠지만 검사자의 기술적 지식이 결과 값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충분히 인지하고 검사에 임하여야 하겠다.

  • PDF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이 지각한 물리치료사의 이미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Physiotherapist and Self-Esteem of Physiotherapy Students)

  • 김은애;이건철;배원식;김지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physiotherapist and self-esteem of physiotherapy students and desirable image of physiotherapists offer to establish basic materia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nsist of 603 students of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university and college in Busan and Kim-hae. Data are collected from June 9 to July 9 in 2011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at the physiotherapist image score, the highest score question is "Physiotherapist is specialist"(3.45) and the lowest score question is "Physiotherapist is treated samely with doctor"(2.15). 2. at the self-esteem score, the highest score question is "I think that I am at least as valuable as others"(3.37) and the lowest score question is "I can be poorly sometimes"(2.81). 3. at the static results of physiotherapist image score gap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t=2.27, p=.02), similar profession distinction(t=4.30, p=.00), major satisfaction(t=5.74, p=.00), school system (t=-2.54, p=.01). 4. at the static results of self-esteem score gap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years (f=5.14, p=.00), gender(t=4.09, p=.00), religion(f=2.87, p=.04), similar profession distinction(t=3.97, p=.00), major satisfaction(t=4.26, p=.00). 5. at the static results of good reputation of physiotherapists increase self-esteem of physiotherapy students score ques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r=0.53, p=.00). CONCLUSION: Accordingly,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re is a very correlation between image of physiotherapist and self-esteem of physiotherapy students. Therefore, good reputation of physiotherapists increase self-esteem of physiotherapy students.

정상노인과 뇌졸중 환자의 우세측과 비우세측의 골밀도 비교 (Compared to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Dominant Side and Recessive Side in Normal Elderly and Stroke Patients)

  • 민동기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2호
    • /
    • pp.127-134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normal elderly and stroke patients by comparing the dominant side and recessive side was to evaluate the differents between each Methods : Thirty-two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classified two groups: stroke patients group and the normal elderly group. Outcome measur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MD.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age,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D was represented in the osteoporosis index, T-score and Z-score. The measurements of bone mineral density were evaluated on the calcaneus region of the dominant and recessive side, using OsteoPro. The data analyzed using SPSS 17.0 software and the Paired-sample T-test and the Independent-sample T-test Results : OI, T-score, Z-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minant side and recessive side in normal elderly group. But stroke patients group showed OI, T-score, Z-sco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tic side and nonparetic side. Change score subtracted recessive side from dominant sid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oke patients group and normal elderly group. Conclusion : There 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BMD in stroke patients. Therefore, improved physical activity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by reducing osteoporosis in stroke patients, consider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B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