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하천

Search Result 55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Optimal Parameters Estimation of Diffusion-Analogy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Model (확산-유추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모형의 최적매개변수 추정)

  • Kim, Joo-Cheol;Choi, Yong-J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3 no.3
    • /
    • pp.385-394
    • /
    • 2011
  • In this study, optimal parameters of diffusion-analogy GIUH were calculated by separating channel and hillslope from drainage structures in the basin.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composed of channel and hillslope, each velocity($u_c$, $u_h$) and diffusion coefficient($D_c$, $D_h$). Tanbu subwatershed in Bocheong river basin as a target basin was classified as 4th rivers by Strahler's ordering scheme. The optimiz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SCE-UA, the estimated optimal parameters are as follows. $u_c$ : 0.589 m/s, $u_h$ : 0.021 m/s, $D_c$ : $34.469m^2/s$, $D_h$ : $0.1333m^2/s$. As a verification for the estimated parameters, the error of average peak flow was about 11 % and the error of peaktime was 0.3 hr. By examining the variability of parameters, the channel diffusion coefficient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hydrological response function. by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model is expected to be simplified in the future.

Effect of Land Use on the Water Quality of Watersheds in Nam Han river. (토지이용이 남한강 유역 수질에 미치는 영향)

  • Byeon, Sangdon;Yang, Dongseok;Lim, Kyeongjae;Kim, Jonggun;Ho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4-164
    • /
    • 2021
  • 우리나라는 최근 도시화 및 산업화 등과 같은 유역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유역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도시화는 지표면의 불투수 면적을 증가시키고, 농업지역의 확대는 비료 및 농약의 사용을 증가시키고, 강우시 토양침식에 따른 흙탕물과 비점오염원의 수계 유출로 인해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은 유역환경의 변화는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미래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하천유역의 유출특성과 영향 인자를 규명해야 효율적인 하천유역관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기후적 특성상 계절에 따른 수질 및 기후변수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하천유역관리에 있어 어려움이 많다. 특히 남한강 유역은 산림 및 고랭지밭 비중이 높은 지역이며, 여름철에는 강우로인한 토양침식이 심각하여 수질 및 수생태계 건강성을 악화시킨다. 남한강 상류 유역에는 송천과 도암호, 골지천과 같은 비점오염관리지역이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하천유역관리가 어려운 지역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남한강 유역에 위치한 17개 수질측정망을 대상으로 GIS시스템을 이용해 17개의 소권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토지이용자료는 환경공간정보 서비스의 2010년대 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질 자료는 유역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는 수질 변수를 선별하여 10년동안의 장기간 수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개의 수질변수는 정규성을 검증한 후 pairwisse t-test를 이용한 시기별 수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수질변수들과 토지이용매개변수 간에 상관관계를 찾아 유의관계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서로 다른 변수간에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역의 특성별 상관도를 평가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방법을 통해 시기에 따른 수질과 토지이용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미래하천유역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Purification Capacity of Vegetable Lactobacillus fermentum Culture System in Closed Environmental Waste Water (식물성 유산균 혼합물을 활용한 환경 폐수의 정화능력 평가)

  • Lee, Deuk Sik;Kim, Nam Kyun;Shim, Sooyong;Lee, Dong Jin;Yoon, Won Byong
    • Food Engineering Progress
    • /
    • v.15 no.1
    • /
    • pp.22-27
    • /
    • 2011
  • Changes in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ate (T.P.) content in environmental waste water upon the reaction of biological purifying reagents were measured and the reaction rate was evaluated.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two biological purifying reagents composed of vegetable Lactobacillus fermentum (V.L.F.), Saccharomyces cerevisiae(S.C), and Bacillus subtilis(B.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water purification system operating by local government. After 18days of reaction, the mixture of V.L.F. and S.C. showed dramatic decrease of T.N.(36.21% of the initial value). The mixture of V.L.F., S.C., and B.S. showed faster reaction rate to decrease T.P. compared with that of the mixture of V.L.F. and S.C. The reaction constant of mixture of V.L.F. and S.C. was estimated to be 0.178 $day^{-1}$ by the curve fitting of the data of changes in T.N. during the reaction.

Water Pollution Status in Streams of Hongsung Area (홍성 지역 하천수의 수질현황)

  • 홍영호;조석형;전용진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6 no.1
    • /
    • pp.27-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environmental investigation in Hongsung and Kwangchun streams is for the finding the degree of water qualit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s are very important. However, that has not been investigated so for especially in stream of Hongsung area, And so, we tried to analyse BOD, TDS, $Cl^{-}$, anionic surfactant, pH, T-N and T-P of stre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H for stream were generally in the range of 6.9 ~ 8.1 which is water quality for stander for stream, water quality of the Hongsung and Kwangchun upstream was not in problem but downstream showed somewhat high concentration in BOD, chlorine ion, T-P, T-N, and anionic surfactants. Especially BOD of Kwangchun downstream was higher than Hongsung downstream and concentration of T-P of Hongsung downstream was kept over 7 mg/liter regardless of inflow BOD ranging from 1.3 to 1.8 mg/liter.

  • PDF

Chemical Properties of Peunggang River and Effect of Irrigation Source on the Growth of Tomato and Cucumber (서낙동강 유역 평강천의 수질 특성과 용수원에 따른 토마토 및 오이의 생육)

  • Rhee, Han-Cheol;Cho, Myeung-Whan;Lee, Si-Young;Choi, Gyeong-Lee;Lee, Jae-Ha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6 no.4
    • /
    • pp.322-327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chemical properties of Peunggang river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igation sources on the growth of tomato and cucumber. The salt concentration in Peunggang river was high by $3.22{\sim}3.62dS{\cdot}m^{-1}s$ from March to May and lower gradually from April to February of next year, which was also lower in upper stream than in middle or low stream of Peunggang river. The growth such as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in tomato and cucumber was better in drain water and tap water irrigation than in PR water (Peunggang river) irrigation. Mean fruit weight was highest in the tap water, and that of cucumber was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s. The number of setting fruit was lower in the PR water than in the treatments, and which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ain water and tap water. The yield of tomato and cucumber was found to be highest by 10,594 and 11,826 kg/10a in tap water, respectively and also lowest in the PR water among the three treatments. The fruit quality, soluble solids of tomato shows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PR water as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 and the rate of blossom-end rote was higher by 13.6% in the PR water. T-N and P content of tomato and cucumber were no significance in the treatments. Ca content was lowest, but Na content highest in the PR water. It was thought that a rain water and tap water as alternative irrigation source of a PR water were proper.

Performance analysis for reduction facilit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성능분석)

  • Lee, Jong-Seok;Kim, Chi-G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3
    • /
    • pp.207-217
    • /
    • 2019
  • This study aims 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acility that is capable of reducing pollution in water quality by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NPSP). NPSP originated from the initial rainfall caused not only large catchment of urban area pass a river but also small watershed pass a stream. For this purpose, the performance tests carried out with the field models from the facility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the tests induced reduction efficiency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suspended solid (SS), respectively. The average reduction efficiency obtained by time interval, and the result showed an excellent reduction performance. As a result, the facility satisfied reduction efficiency of NPSP of the proposed standar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thus it can be used in practical application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Watershed Soundness Index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 Ahn, So Ra;Jung, Chung Gil;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0-3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환경, 수생태환경과 관련된 모니터링자료 및 수문/수질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링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고, 한강유역($34,148km^2$)을 대상으로 표준유역단위 유역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유역건전성 분석 사례를 개선하여 우리나라에 유역 특성에 맞는 통합 유역건전성 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유역건전성은 유역이 본래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를 위한 지표로 자연토지피복, 하천환경, 수문, 수질, 서식지, 수생태 관련 요소를 각각 선정하였다. 자연토지피복 및 하천, 서식지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 DEM, 토지이용도, 하천도, 저수지, 습지자료를 이용하였고, 수생태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6년간(2008년~2013년) 모니터링 된 TDI, BMI, FAI 자료로 이용하였다. 수문/수질 유역건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의 장기모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30년간(1985년-2014년) 모의된 강수량, 총유출, 지표유출, 침투, 토양수분, 중간유출, 침루, 지하수 충진, 기저유출, Sediment, T-N, T-P 결과를 이용하였다. 각 평가지표로부터 표준유역별 sub-index를 도출하였으며, 6가지 sub-index를 이용하여 통합 유역건전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는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나타나며, 1에 가까울수록 유역건전성이 좋은 유역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한강유역의 통합 유역건전성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건전성이 안 좋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정 표준유역에 대하여 자연환경, 수문, 수질, 수생태환경 각각의 유역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Operating Direction of Integrated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기술을 적용한 수문조사시설 운영·관리 효율화 및 방향)

  • Dong Heon Oh;Sang U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9-439
    • /
    • 2023
  • 근래 국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호우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로 급격한 하천 수위상승 및 유량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실시간 자료수집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우리는 물 순환에 관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홍수예보를 위한 수문조사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 하천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시설 특성상 시스템 오류, 전원 이상 발생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자료 결측·손실에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현장 기반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한 연속성 있는 자료 제공을 위해 수문조사시설 중 하천 내 설치된 유량측정시스템에 ICT·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적용하여 현장 환경-정보 등 언택트(non-contact)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 점검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22년 기준 총 508회(현장점검 358회) 점검 중 150회 원격점검을 수행하였고, 이중 74회 즉각 점검 및 복구 조치가 이루어져 점검 시간 단축을 통한 자료 결측 최소화, 현장점검 최소화를 통해 효율적인 시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점검을 위해 현장 이동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으로 탄소중립 효과도 나타낼 수 있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사회환경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비대면 활성화, 탄소중립, 안전하고 건전한 사회환경 조성 등과 같이 대면 위주로 운영되는 현장 시설의 관리 방향 또한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운영, 예산 절감, 자료의 연속성 확보 등을 위해 적극적인 운영 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Study of analysis quantific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by apply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deep placement) (낙동강수계 친환경농법(심층시비) 적용에 따른 비점오염원 정량화 연구)

  • Seok, Jun Young;Kim, Ji Hoon;Lee, Seung Yoon;Kang, Bo Seung;Lim, Tae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3-443
    • /
    • 2021
  • 국내 하천, 호소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30% 이상이 농업 활동 등으로부터 기인한다. 정부 부처는 '04년부터 농업 비점오염원 저감 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나 농촌 인구 고령화, 열악한 재정환경, 관행화·고착화 된 농법 등으로 인해 주민참여 및 대책 적용의 한계가 있었다. 금호강 상류 보현산댐 유역은 대부분 임야로 고현천 등 상류 하천변에 사과원이 밀집되어 있다. 또한, 유역면적이 32.16km2로 좁고, 유로 연장 5km 이내로 짧으며 하천 경사가 급해 강우시 토양 유실량이 많고 유출속도가 빠르다. 이러한 유역 특성상 상류 사과원은 '16년 보현산댐 담수 이후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녹조 등 수질 문제를 초래하는 주요 비점오염원으로 지역사회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K-water는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환경기초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주민들과 논의를 통하여 댐 상류 사과원에 친환경농법(심층시비)를 적용하고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심층시비는 과수 주변 토양 천공 후 퇴비를 시비하는 친환경농법으로 표층시비에 비해 초기 강우유출 오염물질량을 저감하고 퇴비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금번 연구에서 실제 운영 중인 농지('19년 24천평, '20년 27천평)을 대상으로 심층시비를 시범적용한 결과, 퇴비 사용량은 표층시비의 50%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과수 생육 및 품질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시 유출농도는 표층시비 대비 TOC 5.0~41.3%, T-P 4.0~57.3% 감소했다. HSPF 유역 모델링 분석 결과, 전체 과수원 중 70% 농지에 심층시비를 적용한 경우, 하절기 유역 T-P 유입부하량이 5.0~6.8%(소유역 최대 28.2%)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층시비를 확대 적용하고 유역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QUAL2K Model for Daejeon Tandongcheon, A Small Urban Stream and Evaluation of Terrace Land Constructed Wetland (도시 소하천, 대전 탄동천, 수질개선 대안 수립을 위한 QUAL2K 수질모델 구축과 제외지 인공습지공법 적용 효율 평가)

  • Yin, Zhenhao;Seo, D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3
    • /
    • pp.192-199
    • /
    • 2013
  • The Tandong-cheon stream is a 7.4 km long small urban stream that passes through Daeduk Science Town in Daejeon Korea. Despite the stream has great potential as an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site due to its central location in the science town and science museums nearby, environmental aspect especially for water quality has not been evaluated properly. Through field survey, major pollution sources of the stream were identified and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were evaluated using a QUAL2K water quality model for the stream. The study indicated that controlling major pollution sources of the stream alone may not be sufficient for reaching the water quality target. Therefore, additional pollution control methods are necessary. We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nstructed wetland on the terrace land, and analyzed whether the water quality target can be met at the outlet of the strea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a good reference for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small urban stream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