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 Compounds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1초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Ixeris dentata Nakai)

  • 박성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3-142
    • /
    • 2014
  • 씀바귀 80%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12.6%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에 함유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01{\pm}0.63$ GAE mg/g 와 $0.05{\pm}0.01$ RE mg/g을 나타내었다. 3가지의 항산화 측정 모델(DPPH, ABTS, reducing power)을 통하여 씀바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씀바귀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보다는 낮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의 50, 100, 200 및 $400{\mu}g/mL$ 농도범위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p<0.05) 씀바귀 에탄올 추출물을 50, 100, 200 및 $400{\mu}g/mL$ 농도로 하여 항비만 활성을 평가한 결과 씀바귀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Oil red O 시약에 의하여 염색된 지방구는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씀바귀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배출가스 중 BTEX의 비율과 C2-benzenes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BTEX Ratio and Correlation of C2-benzenes in Vehicle Exhaust)

  • 문선희;정택호;정성운;김선문;서석준;이승환;김정화;홍유덕;홍희경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85-191
    • /
    • 2018
  •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BTEX) were well known as ozone precursors from photochemical reactions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hotochemical smog which pose health hazards. Also, some of these compounds directly affect the human health due to their toxicity such as benzene. In this study, BTEX ratios and correlation of $C_2$-benzenes (xylenes, ethylbenzene) in vehicle exhaust from recreational vehicle (RV) and multi-purpose vehicle (MPV) were characterized using a chassis dynamometer. VOCs were collected by tedlar bag and a GC/MS system was used for their quantification. Among all of the BTEX, toluene has the highest concentration(more than 30% in composition of BTEX). The average ratio of toluene to benzene emissions (T/B ratio=2.2) was found in vehicle exhaust. The average m,p-xylene/ethylbenzene and m,p-xylene/o-xylene ratios were 1.0 and 3.0 respectively. As a result, it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C_2$-benzenes ($R^2=0.98{\sim}0.99$).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 marker for effect evaluation to atmospheric environment by vehicle exhaust.

Synthesis of Alkylidyne Complexes of Br$(CO)_2(tmeda)M{\equiv}CC_{6}H_{4}Me$ (M = Cr, Mo, W). Crystal Structure of Br$(CO)_2(tmeda)M{\equiv}CC_{6}H_{4}Me$

  • Park, Joon T.;Cho, Jeong-Ju;Suh, Il-Hwan;Lee, Jin-Ho;Lim, Sung-Su;Ryu, Bo-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2호
    • /
    • pp.266-271
    • /
    • 1993
  • The reaction of $(CO_5$)M=C(OMe)Tol (M=Cr, Mo, W and $Tol=p-C_6H_4Me)$ and $BBr_3$ followed by treatment with tetramethylethylenediamine (TMEDA) yields a mixture of two diastereomers, trans, $cis-Br(CO)_2(tmeda)M{\equiv}$CTol [M=Cr(1a), Mo(2a), W(3a)] and cis, $trans-Br(CO)_2(tmeda)M{\equiv}$CTol [M=Cr(1b), Mo(2b), W(3b)],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as crystalline solids and characterized by spectroscopic (infrared, mass, $^1H$ and $^{13}C-NMR)$ data. The trans, cis-Br(CO)2(tmeda)Cr${\equiv}$CTol (1a), has been examine via a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study : $BrCrO_2N_2C_{16}H_{23}$, Mr=407.27, triclinic, $P{\bar{1}},\;a=12.792(2),\;b=13.400(5),\;c= 11.645(4)\;{\AA},\;{\alpha}=101.26(2)^{\circ},\;{\beta}=103.04(2)^{\circ},\;{\gamma}=91.88(2)^{\circ},\;{\nu}=1907(1){\AA}^3,\;Z=2,\;{\rho}(calcd)=1.418\;gcm^{-3},\;{\lambda}(MoK{\alpha})=0.71069\;{\AA},\;{\mu}=26.25 cm^{-1},\;F(000)=831.97,\;T=295K,\;R=0.0977$ for 1332 significant reflections $[F_0>5{\sigma}(F_0)]$. There are two essentially equivalent molecules in the crystallographic asymmetric unit. Each molecule is octahedral with the bromide ligand trans to the alkylidyne carbon, the two cis-carbonyl ligands, and the bidentate TMEDA ligand.

열탈착/저온농축-GC/MS에 의한 실내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 정량용 기체상 및 액체상 표준물질 첨가한 고체 흡착관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gas and liquid phase standard spiked solid sorbent tubes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ir by TD-GC/MS)

  • 임현우;정성운;강철호;박진숙;박병무;최용욱
    • 분석과학
    • /
    • 제26권4호
    • /
    • pp.287-297
    • /
    • 2013
  • 본 연구는 고체 흡착관과 TD-GC/MS를 이용하여 7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열탈착 분석조건을 최적화하였고, 기체상 및 액상 표준물질 첨가한 고체 흡착관을 사용하여 얻어진 검정곡선으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교 정량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스타일렌을 제외하고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o-, m- 및 p-자일렌을 포함한 6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액상 표준물질에 의한 표준 흡착관법이 기체상에 의해 제작된 표준 흡착관법이 유의수준 (${\alpha}=0.01$)에서 일치한 반면, 스타일렌에 대해서는 기체상 및 액체상으로 작성된 검정곡선에서 감응인자가 15.6%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것은 두방법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BTEX를 포함한 스타일렌을 정량하는데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액상 표준물질을 이용한 고체상 흡착관법을 사용하였다. 바로 그 점이 이 논문의 핵심내용임. 즉, 고가의 표준가스 대신에 저가의 액상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정량하더라도 스타일렌 이외에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기 때문임. 액체상 표준물법 조건에서 7종의 VOCs의 회수율은 $100{\pm}5%$, 재현성은 0.3~7.7%, 검출한계는 o-자일렌의 $0.01{\mu}g/m^3$에서부터 톨루엔의 $0.27{\mu}g/m^3$까지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최적화된 분석방법을 신축 기숙사, 원룸 아파트 및 신차의 실내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정량하는데 적용하였다.

우슬의 뿌리로부터 Phytoecdysones의 분리와 항 아토피 효과 (Phytoecdysones from the Root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and their Anti-atopy Activity)

  • 김기옥;구창섭;김민진;박윤정;류형원;송혁환;김정희;오세량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13-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슬 열수 추출물을 n-BuOH과 $H_2O$로 용매 분획 한 후 n-BuOH 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6개의 소분획물(Fr. 1-6)을 얻었다. 소분획물 6개에 대해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저해활성 검정을 통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분획물 5에서 preparativ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해 3종의 phytoecdysone계열 화합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들은 NMR 및 MS 분석을 통해 ecdysterone (1), 25S-inokosteron (2), 25R-inokosteron (3)임을 동정 하였고, 이들의 활성은 TNF-${\alpha}$ 생산 저해활성은 $200{\mu}g/mL$에서 80-95%의 TNF-${\alpha}$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질형성 세포에 분리한 3종의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각각 51와 23% 이상의 TARC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들의 결과로써, 우슬 추출물과 분리된 화합물들에 대한 항 아토피 활성 결과로 천연물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의 응용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산두근 추출물의 세포주기 정지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G1 Arrest by Extract of Sophora tonkinensis Gapnep in 3T3-L1 Preadipocytes)

  • 정현영;현숙경;최영현;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346-1353
    • /
    • 2011
  • 산두근(Sophora tonkinensis Gapnep)은 예로부터 동양지역에서 전통적인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성숙지방세포로의 분화와 세포 내 지방생성에 대한 산두근 메탄올 추출물(STME)의 효과와 메커니즘에 대해 조사하였다. STME를 0-200 ${\mu}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Oil Red O 염색으로 세포 내축적되는 지방구와 지질의 양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크게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지방세포의 특이적 marker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n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SREBP)의 발현이 STME를 처리하였을 때 현저하게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STME는 지방세포 분화초기 단계인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에서 G1기로 세포주기를 정지시켰다. 더불어 G1 arrest와 관련된 단백질의 변화를 조사 한 결과, 3T3-L1 세포에 STME를 처리하였을 때 p21의 발현량이 확연하게 증가하였으며, Cdk2, E2F-1 그리고 phosphor-Rb의 발현량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여 STME은 메탄올 추출물임에도 불구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성숙지방세포로 분화할 때 G1 arrest를 통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며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항 비만 천연물 소재 탐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사료된다.

비정질 규산염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에 따른 원자 구조 변화 : 고상 핵자기공명 분석 및 양자화학계산 연구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Atomic Structure of Amorphous Silica Nanoparticles: Solid-state NMR and Quantum Chemical Calculations)

  • 김현나;이성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1-329
    • /
    • 2008
  • 비정질 규산염 나노입자는 지각에 풍부한 규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비다공성 나노입자로서 광물학을 포함한 지구환경과학과 산업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한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1}H$$^{29}Si$ MAS NMR분광분석을 통해 7 nm와 14 nm 규산염 나노입자의 규소와 수소 원자 환경을 측정하고, 입자 크기에 따른 규산염 나노입자 원자 환경 변화를 규명하였다. NMR 스펙트럼의 화학적 이동 값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양자화학계간을 통해 $Si_{3}O_{6}H_6,\;Si_{4}O_{5}H_{10},\;Si_{5}O_{4}H_{12}$ 분자계간모델의 화학 차폐를 계산하였다. $^{29}Si$ MAS NMR의 결과, 이중 실라놀(geminal silanol)과 단일 실라놀(single silanol), 실록산(siloxane) 구조의 Si 원자 환경에 해당하는 $Q^2,\;Q^3,\;O^4$가 구분되어 나타나며 입자 크기에 따라 $Q^2,\;Q^3,\;O^4$가 7 nm규산염 나노입자에는 $7{\pm}1%,\;27{\pm}2%,\;66{\pm}2%$, 14 nm 규산염 나노입자에는 $6{\pm}1%,\;21{\pm}2%,\;73{\pm}2%$의 분포를 갖는다. $Q^2,\;Q^3$ 구조는 나노 입자의 표면적에 대부분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두 규산염 나노입자의 표면적 차이에 비해 $Q^2,\;Q^3$ 양의 차이가 적으며, 이는 입자 표면 뿐 아니라 입자 내부에도 $Q^2,\;Q^3$ 구조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1}H$ MAS NMR 스펙트럼은 물리흡착 된 물(physisorbed water), 수소결합 된 수산기(hydrogen bended silanol), 비 수소결합 된 수산기(non-hydrogen bonded silanol)를 구분하여 나타낸다. 14 nm 비정질 규산염 나노입자에 비해 7nm 나노입자에 약 3.4 배의 수소 원자가 존재하며, 더 강한 수소결합 세기를 갖는다. 전체 수산기 중에서 비 수소결합 된 수산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7 nm 규산염 나노입자 보다 14 nm 규산염 나노입자에서 더 높으며, 이는 수소 원자간의 상대적 거리(proximity)가 14 nm 임자에서 더 긴 것을 지시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규산염 나노입자의 입자의기에 의한 다양한 원자 구조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 T.) 스테로이드 사포닌의 항암활성 (Cytotoxicity of steroid-saponins from the tuber of Liriope platyphylla W. T.)

  • 조성지;방면호;이인자;박창기;김무성;김금숙;성재덕;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5호
    • /
    • pp.390-394
    • /
    • 1998
  • 맥문동 괴근을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암세포 A549, SK-OV-3, SK-Mel-2, XF-498 및 HCT-15에 대한 각 분획물의 생장억제활성을 SRB 법으로 측정한 결과 n-BuOH 분획에서 암세포 생장억제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n-BuOH 분획으로부터 Amberlite XAD-II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사포닌을 분리하였고, NMR, IR 데이터의 해석과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spicatoside A와 B로 동정하였다. Spicatoside A가 암세포에 대한 생장억제활성을 보여 A549, SK-OV-3, SK-Mel-2, XF-498 및 HCT-15에 대한 $IC_{50}$ 값이 각각 17.3, 21.7, 14.9, 18.8 및 $15.6\;{\mu}g/ml$를 나타내었다.

  • PDF

다결정 Ge1-xMnx 박막에서 Ge3Mn5 상의 형성과 특성 (Formation of Ferromagnetic Ge3Mn5 Phase in MBE-grown Polycrystalline Ge1-xMnx Thin Films)

  • 임형규;찬티난안;유상수;백귀종;임영언;김도진;김효진;김창수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85-88
    • /
    • 2009
  • 다결정 $Ge_{1-x}Mn_x$ 박막의 자기적 상들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Molecular beam epitaxy(MBE) 장비를 이용해 $400^{\circ}C$ 에서 $Ge_{1-x}Mn_x$ 박막을 성장시켰다. $Ge_{1-x}Mn_x$ 박막의 캐리어 유형은 P타입 이였고, 전기 비저항 값은 $4.0{\times}10^{-2}{\sim}1.5{\times}10^{-4}ohm-cm$이었다. 자기적인 특성과 미세구조의 분석에 기초하여 $Ge_{1-x}Mn_x/SiO_2$/Si(100) 박막에 310 K 이내의 큐리에온도를 지닌 강자성의 $Ge_3Mn_5$ 상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Ge_3Mn_5$ 상이 형성된 $Ge_{1-x}Mn_x$ 박막은 20 K, 9 T의 자기장에서 약 9%의 음의 자기저항을 보였다.

구강 내 세균에 대한 Essential oil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 이선영;김재곤;백병주;양연미;이경열;이용훈;김미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
    • /
    • 2009
  • Essential oil은 식물로부터 추출한 휘발성의 호지방성 화합물로서 essential oil은 잠재적으로 항균, 항진균, 진경련, 항말라리아성, 곤충퇴치능력 등의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향식물에서 추출한 Citral, Pineole, Linalool, Eugenol, Limonene, Pinene 등으로 구성된 다섯종류의 essential oil을 사용하였으며, 여덟 군의 중요한 병원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reptococcus sanguis(S. sanguis), Streptococcus anginosus(S. anginosu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 actinomycetem- comitans), Streptococcus sobrinus(S. sobrin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herichia coli (E. coli)에 대한 저항성으로서 항균능력을 평가하였다. Essential oil의 항균능력은 용액희석방법을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essential oil 농도범위는 10 mg/mL, 5 mg/mL, 2.5 mg/mL, 1.25 mg/mL, 0.625 mg/mL, 0.516 mg/mL, 0.3125 mg/mL, 0.078 mg/mL, 0.039 mg/mL, 그리고 0.015 mg/mL였다. Essential oil은 용량 의존적으로 시험 균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NM을 제외하고 R, LG, FR, O oil은 저농도에서 구강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사용된 essential oil은 E.coli와 S. epidermidis의 성장에는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못했으나 구강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는 특별한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